의약분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약분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의약분업 평가
1. 의약품 오남용 감소
가. 의약품의 오용감소
나. 의약품의 남용감소
1) 처방 약품 수
2) 항생제 처방
3) 주사제 처방
2. 국민 건강수준의 향상
3. 비 용
가. 건강보험 재정
나. 약제비 변동
4. 국민불편

Ⅲ. 대안의 검토
1. 대안 검토의 기본원칙
2. 의약분업 정책 대안
가. 선택 분업
1) 임의분업
2) 직능분업을 전제로 한 원내외 조제 국민선택
나. 의약분업 정책의 전면수정
1) 단계적 분업안
2) 의약분업 정책의 중단
다. 현행 정책의 보완

Ⅳ.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료법에 의한 무면허의료행위로 처벌하자는 방안이다. 또한 대체조제의 확대나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비율을 합리적으로 조절하고 일반의약품의 확대 등도 많이 논의되고 있는 사항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분적인 보완으로 현행 의약분업 정책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보험재정의 측면에서 현재와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이며 국민불편도 근본적인 해결이 힘들 것으로 판단되고 수정 보완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들의 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Ⅳ. 결 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의 의약분업 정책은 당초 기대했던 정책목표들을 효과적으로 달성하지 못한 채 국민들에게 심각한 불편 및 비용적 부담을 안기고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건강보험의 재정 위기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정책은 그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 뒤, 평가를 통해서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것인지, 수정할 것인지, 혹은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하며 의약분업 정책도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의약분업의 정책결과들에 기초하여 판단하여 볼 때 의약분업 정책은 대폭적인 수정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능분업에 기초하여 국민들로 하여금 원내외 조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안과 문민정부 시기 의료개혁위원회에서 제시되었던 단계적 분업안이 가장 타당한 안으로 판단된다.
물론 구체적인 대안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이견들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실패한 정책은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재 당과 정부에서는 그 동안 의약분업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 소요된 함몰비용에 집착하여 정책의 대폭적인 수정을 주저하는 분위기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함몰비용은 이미 쓰여진 과거의 비용일 뿐이다. 지금부터 새로 발생하는 비용과 편익을 따져 미래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과거를 단지 불행으로 치부해버리는 것으로는 아무런 발전도 이루어낼 수가 없다. 의약분업의 문제는 아직도 더 많은 논의를 통해서 보다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현재 진행형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축적된 모든 자료를 공개하고 각계의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서 보다 타당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시행하여야 한다. 또한 의약분업 정책이 가졌던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정책적 대안들을 찾아나가는 과정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객관적인 자료와 공정한 판단에 기초를 둔 명확한 현실인식에서 출발하여 국민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정책으로 만들어가야 할 책임이 우리 모두에게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1. 2001년 2/4분기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연대. 모의환자를 이용한 의약분업 이후의 의원 및 약국의 행태 조사 발표. http://www.konkang.or.kr/material/way-board.php?db=d2&j=dn&number=8 visited at 2002/07/23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 의약분업 전후 건강보험 이용실태 비교.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2002. 3. 12.
김병익. 2001. 건강보험 재정파탄 어떻게 할 것인가? 국회정책토론회 자료집. 2001. 12. 17.
김용익. 복지부 기자간담회 발표자료. 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 1999. 12. 10
김재용. 의약분업이 국민의 의료서비스 이용행태와 의사의 처방행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의약분업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7. 2.
김한중. 2000년 의료사태의 경험과 교훈. 보건행정학회지 2001; 11(1): 87-106
김한중. 2001. 건강보험 재정적자 요인분석과 대책. 한국보건행정학회 정책토론회 “건강보험 재정위기 어떻게 할 것인가?” 자료집
류시원 등. 2001. 약국경영평가: 의약분업 이후 경영실태 및 조제수가체계 중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의약분업홈페이지. http://bunup.mohw.go.kr/intro_faq_2.htm visited at 2000/07/24
보건복지부. 2002. 건강보험 약가 조정기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02. 8. 9.
새정치국민회의. 1998. 보건의료 선진화 정책보고서. 새정치국민회의.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1. 의약분업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의료개혁위원회. 1997. 의료부문의 선진화를 위한 의료개혁과제. 1997. 12.
이상돈. 2000. 의료체계와 법. 고려대학교 출판부.
이의경 등. 2001. 의약분업 전후의 약제비 변동요인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선미 등. 2001. 의약분업 전후의 의약품 오남용 실태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상혁 등. 2002. 의약분업 정책 평가. 의약분업정책평가연구회.
정우진 등. 1997. 의약분업의 경제적 효과분석과 도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우진. 의약분업 정책 평가 : 의료 소비자 주의(consumerism)적 시각에서의 고찰. 한국보건행정학회 전기학술대회 연제집, 2002. 6. 7.
조병희. 2002. 의약분업 실시와 의료이용의 변화. 한국보건행정학회 전기학술대회 연제집, 2002. 6. 7.
조재국. 2002. 의약분업이 환자 및 의료공급자 등에 미치는 영향. 의약분업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7. 2.
조재국 등. 2001. 의약분업 시행 평가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재국이상호. 2001. 의약분업 조기정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지영건, 김한중, 박은철, 강혜영. 2000. 의약분업의 비용-편익 분석. 예방의학회지 33(4): 484-94
최병호. 2002. 의약분업 시행이 건강보험재정에 미친 영향. 의약분업 평가 및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7. 2.
한국갤럽. 2001. 의약분업에 대한 여론조사 보고서. 한국갤럽.
한국갤럽. 2002. 의약분업에 대한 여론조사 보고서. 한국갤럽.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5.25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