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인의 오리엔탈리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대 그리스인의 오리엔탈리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개요 》
Ⅰ. 오리엔탈리즘이란?
Ⅱ. 오리엔탈리즘의 구조
Ⅲ. 고대 그리스인의 페르시아 인식 사례
Ⅳ. 고대그리스인의 이집트 인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생산량은 이집트인이 소비하고 남아 해외로 수출할 정도였 다고 함.
그리스인들은 규모가 파르테논 신전의 10배 정도 되는 대(大)피라미드와 파라오의 거 대한 조각상을 보고 이집트의 거대한 건축물에 탄복함.
(3) 문화적 선구자로서의 이집트
종교집회, 행렬, 제례를 처음으로 확립함
신들에게 제단, 신상, 신전을 처음으로 부여함
최초로 연으로 시간을 계산하고, 12개단위로 구분함
헤로도토스- 그리스인의 신들의 명칭, 제례를 이집트의 것을 수용한것.
⇒ 디오뉘소스신앙 : 이집트에서 들여옴
헤라클레스 : 이집트의 고유신
도도나의신탁 : 이집트의 테베에서 비롯
솔론- 이집트의 법률을 수용하여 그리스의 법률로 확립.
그리스의 올림픽 경기규칙 제정도 이집트인의 조언을 통해 확립되었다.
그리스인의 방패와 투구는 이집트로부터 받아들인 것이었다.
그러나 그리스인과 구분하여 이집트인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도 함.
이집트인의 정치체계 - 시민들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고, 파라오의 통제가 강요되는 부
당한 체제로 인식
그리스인은 이집트인들이 동물 자체를 신격화하여 숭배하는 것을 지적했다.
- 그리스인은 인간을 다른 동물들보다 더 문명화된 존재라고 봄
⇒ 이집트인들과 구분의식을 지님.
헬레네스 - 바르바로이 (그리스인과 비(非)그리스인)의 구분
⇒ 그리스인은 그리스인의 공통적 기반으로서 혈연적 유대와 문화적 동질성(언어, 종
교)을 가져야 했으므로 이집트인은 수많은 바르바로이 가운데 하나였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Ⅴ. 맺음말
고대 그리스인의 페르시아인에 대한 인식
- 그리스인 위주의 관념적인 산물 ⇒ 페르시아인의 실상을 근거로 한 것이 아님
- 그리스의 국내 문제(끊임없는 전쟁, 경제적 빈곤, 정치적 혼란) 해결을 위한
범그리스주의 ⇒ 페르시아 원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함
고대 그리스인의 이집트에 대한 인식
- 양면적 태도 : 문화적 역량은 인정하나, 바르바로이는 열등하다.
: 이집트인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는 점에서 다른 이민족보다 제법 호의적 태도
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봉철, "고대그리스인의 오리엔탈리즘- 페르시아인에 대한 그리스인의 인식 사례들-,” 《경기사학》 1997, 165-197쪽
김봉철, "고대 그리스 문명과 인종의식- 고대그리스인의 이집트인식-,” 《서양사론》,2001, 43-65쪽
Daum cafe ‘주철민의 역사공부방' 이전 PPT 발표들 참고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