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패키지디자인을 위한 전략_이니스프리(innisfree)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of the Sustainable Package Design_Focused on the Cases of Innisfree Cosmetic Product)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속가능 패키지디자인을 위한 전략_이니스프리(innisfree)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of the Sustainable Package Design_Focused on the Cases of Innisfree Cosmetic Produc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지속가능 디자인
2.2 지속가능 제품 디자인
2.3 전과정 디자인(LCD:Life Cycle Design)

3. 전과정 제품디자인 프로세스
3.1 분석단계
3.2 종합개발단계
3.3 생산단계
3.4 유통단계
3.5 사용단계
3.6 회복단계

4. 지속가능디자인과 패키지

5. 이니스프리(innsfree)의 지속가능 패키지디자인
5.1 이니스프리 브랜드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5.2 이니스프리 패키지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5.3 이니스프리 패키지 디자인의 지속가능 전략 및 프로토타입 제안

6.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Identity)
‘향기가 나는 치유 효과가 있는 식물’이라는 의미를 가진 허브를 핵심소재로 자연적인 소재와 패키지, 컬러까지 자연의 아름다움을 지향하였다. 재활용이 가장 쉬운 PETE 용기에 재생가능한 종이라벨을 사용하여 자연 속의 허브의 이미지를 담아냈다.
SI
(Space
Identity)
SI
(Space
Identity)
도심 속 작은 허브 가든을 컨셉의‘허브스테이션’컨셉으로 브랜드샵과 대형마트내 샵을 운영하고 있으며, 허브 장식과 나무소재를 활용해 허브가든으로 연출하였다. 또한‘가든 오브 이니스프리’ 농장이라는 허브 농장을 실제로 조성해서 S.I 컨셉인 ‘허브스테이션’이미지를 강화하였다. 원목 느낌의 배경에 허브를 포인트로 사용해 공간의 외부컨셉과 동일하게 인테리어도 허브 가든의 느낌을 표현하였다. 허브 가든 모습은 계절에 따라 변경하면서 살아있는 허브 가든의 느낌을 전달한다.
5.2 이니스프리 패키지 디자인의 아이덴티티
이니스프리 패키지는 긴 원통형 바디와 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은 정원형이고 모서리 부분만 약간 곡선적으로 디자인되었다. 캡부분이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장식은 없다. 전체적으로는 조금 딱딱하고 직선적인 느낌이다. 바디샵 패키지의 바닥은 정원형이고 윗부분은 곡선적으로 표현된 원기둥형이다. 높이가 가로의 2배 정도밖에 되지 않아 조금 통통한 느낌을 준다. 용기와 캡만으로 이루어진 심플한 구조로 캡이 개폐식으로 되어 있고, 캡의 윗부분에 바디샵 로고가 양각으로 새겨져있다. 아베다 역시 바디와 캡으로 구성된 심플한 구조이며 높이가 가로의 3배가 넘는 길쭉한 형태이다. 바디 윗부분은 곡선적으로 디자인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주었고, 바디 목 부분에 아베다 로고가 양각으로 새겼다.
이니스프리 패키지의 색채는 화이트의 부드러운 색상에서부터 카키, 브라운 등의 무거우면서 정적인 느낌의 색채와 청그린, 퍼플 등 동적이면서 무거운 컬러가 같이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차가운 느낌의 색상들보다는 따뜻한 느낌의 색상들이 주를 이루고 있고, 반투명으로 표현되어 전체적으로 차갑거나 동적인 느낌보다는 무게감이 느껴지는 따뜻한 분위기이다. 무게감 있는 용기 색상에 부드럽고 소박한 느낌의 종이 라벨을 사용하여 자연적인 느낌을 표현하였다. 바디샵 패키지는 빛 차단이 필요 없는 경우 바디 자체를 투명하게해서 내용물 색상이 그대로 드러나도록 하였다. 옐로우, 그린과 블루, 오렌지색 등의 내용물 색상이 그대로 표현되어 밝고 동적이며 전체적으로 컬러풀한 느낌을 준다. 용기에 색상을 넣은 경우에는 페일 핑크, 퍼플, 베이지 등의 옅은 파스텔 색조의 색채를 사용하였다. 아베다 용기 색상은 페일 핑크, 페일 카키 등 옅은 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부드럽고 정적인 느낌을 주었고, 일부 제품은 어두운 카키색상도 사용하여 정적인 느낌을 주었다. 캡 색상도 바디와 동일하거나 투명하게 하여 통일감을 주었다.
소재의 측면에서 자연주의 브랜드는 PVC등 유독물질 발생 가능성이 있는 소재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재활용된 플라스틱이나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나 알루미늄을 사용하였다. 또한 바디와 캡 부분에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 소재만을 사용해 재활용 시 용이하도록 한다. 자연주의 화장품 모두 크롬도금, 컬핏트, 핫스탬핑, 고광택 UV코팅 등의 후가공을 배제하여 소재의 순수성을 유지하였다.
5.3 이니스프리 패키지 디자인의 지속가능 전략 및 프로토타입 제안
이니스프리의 여러 제품 중 더 그린티 씨드 세럼 (The Green Tea Seed Serum)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제품은 내용물 생산을 위해 녹차잎과 씨앗을 사용하였다.
이니스프리의 지속가능 패키지 디자인 개발을 위해 키워드 도출과 분류를 통해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이를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개념모델에 대입평가를 거쳐서 디자인 방향과 개선 디자인을 제안하고 대상제품과 비교·분석하여 최종 디자인안을 개발하였다. 키워드는 Reduce, Recycle. Replacement<그림 2>이며 디자인 컨셉은 내용물 원재료(씨앗)폐기물(씨앗의 껍질) 활용, 패키지의 환원성, 패키지의 사용성 확대, 내용물의 대체성이다. 원재료의 폐기물인 씨앗의 껍질을 Ecovative Design 2011년 그린아일랜드에서 시작한 기업으로 버섯의 균사체를 이용해 메밀 껍데기, 귀리 껍질, 또는 무명 털은 같은 부산물 등의 주위 자라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기업의 혁신적인 EcoCradle 방법을 통해 사용하여 재료공정비 및 생산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을 대체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하여 제품 사용 후 폐기하지 않고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컨버젼스 패키지이다<그림 3>.
환경성을 중심으로 디자인의 심미성, 새로운 형태 등에 초점이 맞춰진 디자인 안이다.본래 이니스프리의 패키지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 내용물의 대체가 가능하도록 공간 활용성을 향상하였다.
6.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에서 제안한 지속가능 디자인 개념모델은 사회윤리성, 경제성, 환경성에 대한 요소를 바탕으로 제품디자인의 프로세스를 고찰하여 도출하였다. 디자이너는 제품의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제품의 조형성, 사용성과 함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개발을 통해서 디자인 측면과 지속가능성을 통합적으로 적용해야 할 시대적 의무가 있다. 따라서 제품 디자인 초기 단계부터 지속가능 디자인 요소가 고려된 디자인을 하여야 하며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 항목에 대하여 개선가능한 부분을 위해 사회적인 역할을 인식해야 한다.
연구의 결과물은 지속가능 개념을 접목한 제품디자인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발전된 지속가능 디자인 개념모델은 타 제품개발 시에 적용 가능한 하나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지속가능 개념을 전과정에 적용하는 촉매제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지속가능제품 개발 프로세스 전과정에 반영하여 적용과 검증을 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내용을 반영하여 지속가능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보완·확장해야 한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