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terms 2010 주요내용 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ncoterms 2010 주요내용 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1


Ⅱ. 본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p. 1 ∼ 7



1. INCOTERMS 개념과 적용범위



2. Incoterms 2010 규칙의 주요특징


1) DAT와 DAP 신설, Incoterms 2000의 DAF, DES, DEQ, DDU 폐지

2) 국내거래 및 국제거래에 사용가능한 규칙

3) Guidance Notes (사용지침)

4) FOB, CFR 및 CIF 조건에서의 인도지점의 변경


3. Incoterms 2010 11개 규칙의 내용

(1) EXW ( Ex Works, 지정인도장소) : 공장 인도규칙

(2) FCA (Free Carrier, 지정인도장소) : 운송인 인도규칙

(3) FAS (Free Alongside Ship, 지정선적항) : 선측 인도규칙

(4) FOB (Free On Board, 지정선적항) : 본선 인도규칙

(5) CFR (Cost and Freight, 지정목적항) : 운임포함 인도규칙

(6)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지정목적항) : 운임․보험료포함 인도규칙

(7) CPT (Carriage Paid To, 지정목적지) : 운송비지급 인도규칙

(8)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지정목적지) : 운송비․보험료 지급규칙

(9) DAT (Delivered At Terminal, 목적항 또는 목적지의 지정터미널)

(10) DAP (Delivered At Place, 지정목적지) : 도착장소 인도규칙

(11) DDP (Delivered Duty Paid, 지정목적지) : 관세지급 인도규칙

Ⅲ.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 7
[참고문헌] ․ ․ ․ ․ ․ ․ ․ ․

본문내용

취급하는 데 수반하는 위험과
비용을 매도인이 부담하도록 의도하는 경우에는 DAP 또는 DDP가 사용되어야 한다.
7) 복합운송 포함 모든 운송방식에 사용 가능하다.
8) 수출통관은 매도인(수입통관은 매수인)이 부담한다.
9) 계약서 기재 예 : DAT New York No.7. USA., Incoterms 2010.
(10) DAP (Delivered At Place, 지정목적지) : 도착장소 인도규칙
1) 위험/비용 분기점 : 지정된 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하 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이는 때
2) 지정된 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하 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
이는 때에 인도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다.
3) 매도인은 그러한 지정장소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데 수반하는 모든 위허을 부담한다.
(The seller bears all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
4) A4 인도 : 매도인은 물품을 합의된 기일에나 합의된 기간 내에 지정목적지에서 또는 그
지정목적지 내에 합의된 지점이 있는 때에는 그 지점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
어둔 채 양하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둠으로써 인도해야 한다.
5) 복합운송 포함 모든 운송방식에 사용된다.
6) 당사자간에 매도인이 물품을 수입통관하고 수입관세를 부담하며 수입통관절차를 수행하
도록 원하는 때에는, DDP가 사용되어야 한다.
7) 수출통관은 매도인(수입통관은 매수인)이 부담한다.
8) 계약서 기재 예 : D A P named place of destination , U.S.A., Incoterms 2010.
(11) DDP (Delivered Duty Paid, 지정목적지) : 관세지급 인도규칙
1) 위험/비용 분기점 : 수입통관된 물품이 지정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하
준비된 상태로 매수인의 처분하에 놓였을 때
2) 수입통관된 물품이 지정목적지에서 도착운송수단에 실린 채 양하준비된 상태로 매수인
의 처분하에 놓였을 때 인도한 것으로 되는 것이다.
3) 매도인은 그러한 목적지까지 물품을 운송하는 데 수반하는 모든 위험을 부담하고, 또한
물품의 수출통관 및 수입통관을 모두 하여야 하고, 수출관세 및 수입관세를 모두 부담하
여야 하며, 모든 통관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담한다.
4) 매도인의 최대 의무 부담 ( Maximum obligation for the seller).
5) ‘Franco Domicile’이라고 하고 ‘Delivered’라고도 한다.
6) 매도인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수입통관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DDP를 사용하지 않
는 것이 좋으며, 만약 당사자들이 수입통관에 관한 모든 비용과 위험을 매수인이 부담하
기를 원하는 때에는 DAP규칙이 사용되어야 한다.
7) 수입시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기타 세금은 매도인이 부담하되, 다만 매매계약에서 명시
적으로 달리 합의된 때에는 그에 따른다.
8) 복합운송 포함 모든 운송방식에 사용가능하다.
9) 수출/수입통관은 매도인이 모두 부담한다.
10) 계약서 기재 예 : DDP Smith's Warehouse 2, Chicago, U.S.A., Incoterms2010.
(DDP Frankfurt, Schmidt Gmbh Warehouse 4, Incoterms 2010.)
Ⅲ. 결론
Incoterms는 각 나라의 무역관행의 차이에 따른 무역조건의 해석상의 상이로 발생하는 마
찰을 없애고 국제무역거래의 관습과 용어의 통일을 위하여 제정되어졌다. 그리하여 국제무
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여 개정 및 추가를 번복하고 있다. 세월이 흘러
언젠간 또다시 무역조거래 조건이 바뀌어 Incoterms2010에서 더욱 새로운 내용이 덧붙여져
새로운Incoterms로 개정되어질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Incoterms 2010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았고, 그에 따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국제상관습의 일부분인 Incoterms에
대해서 상세히 알게 되었고, Incoterms2000과 비교해서 어떠한 점이 달라졌는지에 대해
서도 알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무역실무에 필요한 몇 가지를 좀 더 상세히 알게 된 계기
가 되어서 뿌듯하였다.
[참고문헌]
김덕권, 『BEST 국제무역사』,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2012.
http://trade.kku.ac.kr/winko/data/pds/Incoterms%202010.ppt

키워드

incoterms,   DAT,   DAP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5.31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