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의 원가혁신 사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기업의 원가혁신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OSCO
2. LG전자 TDR
3. 삼성석유화학
4. 삼성SDI
5. 아시아나 항공

본문내용

기반으로 2000년 총 8개의 노선을 폐지하거나 줄였고 대신 9개 노선을 신설하거나 증가시켰다. 적자기종 매각 | 아시아나 항공은 또 어떤 기종이 돈 안 되는지를 파악하는데도 ABM을 활용하고 있다. 아시아나 항공은 실제로 적자가 나는 기종을 ABM을 통해 파악해 이를 매각하기도 했다. 보잉767 ER 기종이 바로 그것이다. 미국에서 보잉767 ER 기종은 제법 수익을 내는 기종이었기 때문에 아시아나 항공은 11대 정도를 운항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ABM을 통해 알아 본 결과 아시아나 항공에서는 별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나 항공은 11대에 달했던 보잉767 ER 기종을 매각해 현재는 두 대만 운항하고 있다. 아시아나 항공 ABM 프로젝트를 실무 추진했던 회계 팀의 최 재성 차장은 “이전까지 어떤 기종이 돈이 되는지를 알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즉 원가를 계산하는 것이 관련된 사람 몇 명의 감에 의해 이뤄져 왔던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제는 시스템에서 나온 정보를 가지고 원가를 계산하고 있다. 정확한 데이터를 근거로 노선별, 기종별, 지점별 원가가 계산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원가 정보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선 스케줄 조정 | 아시아나 항공은 가장 수익성이 좋은 운항 스케줄을 짜는데도 ABM을 활용하고 있다. 즉 같은 비행기라도 수요일 나가서 금요일 들어오는 것이 좋은지, 아니면 화요일 나가서 목요일 들어오는 것이 좋은지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아침에 나가서 오후에 들어올 것인지, 오후에 나가서 새벽에 들어올 것인지를 결정하는데도 ABM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은 ABM을 통해 나온 과거의 원가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통계정보를 활용해 어떤 요일에 나가서 어떤 요일에 비행기가 들어오는 것이 수익이 가장 극대화되는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업 지점 평가 | ABM은 각 영업지점의 영업 성과를 정확하게 평가하는데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전까지 영업지점에 대한 평가는 일정한 목표를 정해 놓고 그 목표를 달성했는지 혹은 달성하지 못했는지를 보고 이뤄져 왔다. 이 경우는 수익성이 좋은 상품이건 수익성이 좋지 않은 상품이건 따질 것 없이 매출만 많이 올리면 된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지금은 각 지점에서 사용되는 비용과 벌어들이는 수익을 정확히 비교해서 영업지점이 운영되고 있다. ABM을 통해 수익이 높은 상품을 위주로 영업전략을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비용도 구체적으로 어디를 줄여야 하는지 ABM을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비용절감 정책을 가져갈 수 있다.
5. 원가 시뮬레이션
아시아나 항공이 ABM과 관련해 앞으로 추진할 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ABM을 통해 나오는 원가 정보를 필요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현재는 ABM을 통해 나온 원가 정보는 본사와 9개 영업지점에서만 볼 수 있다. 아시아나 항공은 이 달까지 모든 영업지점에서 필요로 하는 원가정보를 볼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영업지점에서는 자기가 쓰는 돈이 얼마이고 버는 돈이 얼마인지 그리고 판매 노선의 단가는 적정한지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판매 노선의 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는 본사 관련 부서에 이야기를 해서 적정 수준으로 단가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시아나 항공은 모든 조직에서 원가 정보를 가지고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본사의 담당부서 뿐 아니라 현장의 영업지점에서도 전략적인 경영을 위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아시아나 항공은 ABM을 기반으로 원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지난 3월부터 시작돼 오는 10월까지 진행될 원가 시뮬레이션 작업은 가상의 경영환경을 미리 그려 봄으로써 이를 미리 예측하는 도구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노선을 띄울 경우 이 노선의 수익은 어느 정도 될지를 미리 확인함으로써 보다 전략적으로 조직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 보잉767 ER 기종을 서울과 사이판 노선에서 서울과 LA노선으로 변경할 경우 원가 및 수익성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하는 것을 미리 볼 수도 있다. 아시아나 항공 원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실무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회계팀의 최재성 차장은 단체 손님을 예로 들어 원가 시뮬레이션의 가치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단체손님이 몰려와서 임시기를 빌려달라고 할 경우 빌려줘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 경우 원가 시뮬레이션을 돌려 봄으로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아울러 가격을 현재 보다 더 올려야 하는지 아니면 내릴 수 있는 여지가 있는지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전까지 이러한 것을 판단하려면 아시아나 항공은 5~6일 정도를 작업해야 했다. 그러나 원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도입되면 1~2시간이면 데이터가 나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나 항공은 98년부터 ABM을 경영에 활용하면서 보다 전략적이고 수익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이를 보다 세련된 모습으로 진화시키고 있다.
※ 참고문헌
강한 현장이 강한 기업을 만든다, 김영사, 허남석외 지음
포스코 홈페이지
LG그룹 홈페이지
아시아나항공 홈페이지
이코노믹 리뷰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lbswish/80013247263)
삼성경제연구소(http://www.seri.org/)
다음 블로그 - 임동재기자의 울산속으로(http://blog.daum.net/dj8936/16148078)
조선일보, ‘세계시장서 우뚝 선 포스코·삼성·LG, 그 비결은...’, 2010.04.20 김은미 기자
Overview of LG Electronics
삼성경제 연구소 韓교수의 실무지식경영지원대학교 블러그
LG전자 원가절감의 혁신 전략
월간풍월 2000년 3월호 박영가 기자 기사 인용
김무곤, NQ로 살아라, 김영사
삼성경제 연구소 LG전자의 인사평가제도 보고서
동아일보의 김용석 기자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6.18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