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공학과] - 세라믹스 유전체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재공학과] - 세라믹스 유전체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등에 사용된다.  
다) DRAM D램
- DYNAMIC RAM의 약자.
- RAM이기 때문에 정보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
-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도 주기적으로 정보를 다시 써넣지 않으면 내용이 없어지는 메모리.
- DRAM은 REFRESH를 계속 해주어야한다.
- Memory cell(기억소자)당 가격이 싸고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 대용량 메모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하나의 기억소자는 1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로 구성
- 16M DRAM은 손톱만한 칩 속에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가 각각 1600만개씩 내장된 고집적 첨단메모리, 신문지 128p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라) SRAM S램
- STATIC RAM의 약자.
-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항상 기억된 내용이 그대로 남아 있는 메모리.
- 하나의 기억소자는 4개의 트랜지스터와 2개의 저항, 또는 6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 DRAM에 비해 집적도가 1/4정도이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처리속도가 빠름.
- 컴퓨터의 캐쉬(CACHE), 전자오락기 등에 많이 사용된다.
마) VRAM 비디오램
- VIDEO RAM의 약자.
- 특수메모리로 화상정보를 기억시켜두는 전용메모리.
- 읽혀진 화상정보는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브라운관에 디스플레이 된다.
4. 자성체
1) 자성체의 정의
- 자성을 지닌 물질.
- 자기장 안에서 자화하는 물질.
- 강자성체는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정렬되어 있어 자성이 강한 자성체.
- 상자성체는 원자의 열진동으로 자화가 무질서하게 일어난 자성체이다.
- 반자성체는 외부자기장과 반대방향으로 자화가 일어나는 자성체이다.
2) 자화
- 원자들은 외부의 자기장이 걸리지 않은 상황에서는 불규칙하게 정열 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석과 같은 효과는 없다.
- 외부에서 자석을 갖다 대면 그 원자들이 외부 자기장의 방향으로 배열하려 하기 때문에 자석에 달라붙게 된다.
- 외부 자기장의 영향으로 원자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자화'라고 한다.
- 자화된 물질은 그 자신이 자석처럼 다른 강자성체를 잡아당길 수 있다.
3) 자성체의 종류
가) 강자성체
- 철 ·코발트 ·니켈 및 그 합금이 대표적이다.
- 강자성체는 개개의 원자가 자석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전자스핀이 평행을 이루기 때문에 자화의 원인인 자기모멘트가 합성되어 커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자기구역(磁氣區域)이 평행을 이룬 스핀의 집단이 모여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 자기장 안에서는 그 방향으로 각 자기구역이 향한다.
- 자기장이 없어져도 그 방향으로 장시간 향하고 있어 잔류자화가 나타남.
- 온도를 높이면 열운동 때문에 그 배열이 흐트러져, 강자성을 잃고 상자성체(常磁性體)가 된다.
- 이 온도를 퀴리온도라 한다. 영구자석을 비롯하여 투자재료(透磁材料) ·자기변형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나) 반강자성체
- 전이온도에서 자화율의 극대점을 가진다.
- 그 온도 이상이 되어야 비로소 상자성체와 같은 온도변화를 보인다.
- 외부 자성의 근원이 되는 원자의 스핀이 교대로 반평행(反平行)으로 배열되어 있다.
- 전이온도에 가까워질수록 열운동 때문에 스핀의 배열이 무질서하게 된다.
- 그 이상 온도에서는 상자성체와 다를 바 없는 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 반강자성체라는 명칭은 강자성으로 배열된 두 무리의 스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데에 유래한다.
- 이에 속하는 물질은 일산화망간 ·산화크롬 ·황화철 ·철-망간합금 등이다.
다) 반자성체
- 외부 자기장에 의해서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화되는 물질을 말한다.
-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산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체, 유기물질 ·염류 ·물 ·유리 등이 이에 속한다.
- 유리 ·비스무트 ·안티몬 등은 비교적 큰 자화율을 가진다.
4) 자성체의 응용
-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자기 디스크, 자기테이프를 만든다.
가) 하드디스크
- 하드디스크는 자성체를 입힌 원판형 알루미늄 기판을 회전시키면서 자료를 저장하고 읽어 내도록 한 보조기억장치이다.
나) 자기디스크
- 대용량 보조기억장치로서 자기테이프 장치와는 달리 자료를 직접 또는 임의로 처리할 수 있는 직접접근 저장장치(DASD)이다.
5. 절연체(絶緣體)
1) 절연체의 정의
- 도체에 대응되는 용어.
- 도체를 감싸면 열, 전기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어 절연체라고도 한다.
2) 절연체의 특징
- 부도체로서 전기가 흐르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전도띠와 원자가전자띠 사이에 금지띠[禁止帶]라는 갭이 있다.
- 전자가 원자가전자띠에 충만되어 있어서 높은 에너지를 주어 전도체에 뛰어오르게 한다.
- 불순물 첨가에 의해 금지띠를 메우지 않는 한, 전자가 전도에 기여할 수 없는 것이 부도체의 특징이다.
3) 절연체의 종류
가) PE(POLYETHYLENE)- 일반적으로 PE에는 저밀도PE, 중밀도PE, 고밀도PE의 3종류가 있다.- 저밀도PE는 초고압 고온으로(고압법PE)
- 중밀도PE 및 고밀도PE는 저밀도 PE보다 저온, 저압(중압법 or 저압법PE)에서 얻는다.- 유전율 및 유전정접이 작아 통신용 고주파용의 절연체로 많이 사용된다.
- 절연저항, 절연내력에도 안정되어 있어 저압전력 케이블의 절연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나) XLPE(가교 POLYETHYLENE)- PE와 같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PE와 비교하여 내열성,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켜 열변형 특성, 열노화 특성이 우수하다.
- 내약품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다.- 화학적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
※참고자료
- http://www.sonictech.co.kr/index.asp
- http://www.senbool.co.kr/
- http://ko.wikipedia.org/wiki/%EC%A0%88%EC%97%B0%EC%B2%B4
- http://blog.naver.com/kdalf?Redirect=Log&logNo=50029181662
- http://cafe.naver.com/rollingstocktecknic/124
- http://www.ndsl.kr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05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6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