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 알코올중독 가족에 대해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3

Ⅱ.본론------------------------------------3

 가. 알코올 중독의 개념------------------------------3
  (1)알코올 중독의 정의 및 증상-----------------------3
  (2)알코올 중독의 원인-----------------------------4
  (3)알코올 중독의 실태-----------------------------4
  (4)알코올 중독의 문제 -‘신체와 정신건강’--------------6

 나. ‘가족병’으로서의 알코올 중독----------------------10
  (1)알코올 중독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10
  (2)가족의 반응 및 가족 내 관계---------------------11
  (3)치료를 위한 가족의 역할------------------------12

 다. 알코올 중독의 치료와 사회복지의 개입--------------13
  (1)알코올 중독의 치료 및 회복----------------------13
  (2)알코올 중독자와 가족을 위한 복지정책--------------17

 라. 알코올 중독과 교회의 역할-----------------------19
  

Ⅲ.결론-----------------------------------20

<참고문헌 및 사이트>------------------------21

본문내용

을 두고 사역해야 하고, ‘죄’보다는 ‘질병’으로 인식해야 한다. 교회는 전문 상담원을 양성하고, 전문 목회상담이나 과정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또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일학교 예배 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우리 사회는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극도의 개인주의 속에 살아가고 있으며, 이들을 감싸 안아야 할 교회가 이러한 현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처럼 교회는 역사 속에 중독과 관련해 책임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동안 의사들은 너무 치료에만, 종교인들은 너무 치유 쪽에만 치우쳐서 그들을 본 경향이 있다. 이제는 두 가지 방식이 병행되어야 한다. 치료를 거쳐 치유로 가는 것이 하나님의 방식이라고 믿는다.
교회 활동은 영적인 치유의 능력은 별개로 하더라도 영적인 측면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실제 모임 등을 통해 교류가 일어나는 등의 장점이 있다. 교회가 이들을 잘 받아주고 따뜻하게 이끌어 주어야 한다. 일부이긴 하지만 교회가 때로는 중독자들에게 마음의 상처가 되는 경우도 있다. 왜냐하면 어떤 종류인건 중독을 “질병의 개념”으로 보지 않고 “죄의 개념”이나 “의지의 문제” “믿음의 부족” 등으로 몰아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더 큰 상처만을 앉게 된다. 특히 자존감이 심하게 손상되어 있는 중독자들에게 이런 접근은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때로는 신앙 자체에 대한 회의를 갖는 경우도 생긴다.
목회자의 설득이나 충고도 때로 도움이 되겠지만 오히려 거리감이 있어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믿음이 좋은 구역의 식구나 가까운 사람들이 함께 나서 소그룹 활동으로 인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가능하면 자연스럽게, 또한 중독 문제를 직접 공략하는 것 보다는 주변부를 두드리는 작업이 더 좋다. 초점을 바꾸어보는 것이다. 가능하면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독자들이 좋아하는 활동을 하도록 돕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봉사활동을 권장하는 것도 좋다. 이를 통해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고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회가 있는 그대로 그들을 받아주는 자세를 갖추는 일이다. 그들이 보통사람들과 다른 점은 중독이라는 병을 앓고 있는 것뿐이다. 결코 성격결함자도 아니요, 죄인이 아니다. 교회는 중독에 빠져 고통 받는 그들과 가족들에게 따뜻한 쉼터가 되어야 한다. “얼마나 고생이 많습니까?” 그들의 두 손을 잡고 우리가 그들에게 해야 할 말이다.
Ⅲ.결론
알코올 중독은 단순한 개인의 중독문제가 아닌, 온가족에게 영향을 줄 만큼 커다란 문제라는 것을 깨달았다. 경제적·정서적으로 온가족이 관심을 쏟고 항상 마음에 져야하는 책임 이 있기에 알코올 중독자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 공동의 문제이다. 아내는 물론이고 자식과 그 자식의 자식까지도 영향을 미칠 만큼 알코올 중독은 심각한 문제점이며 가족치료의 대상인 것이다.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서 중요하다고 느낀 것은 치료 이전에 예방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알코올 중독자들에 대해 조사하고 뉴스를 통하여 보고 들으면서 그 치료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쉽게 깨달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알코올 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각한 중독의 상태로까지 발전되기 전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가장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바로 가족일 것이다. 중독자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를 통해 알코올 남용이 중독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도와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가족을 돕는 것이 바로 지역사회와 국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중독자가 되는 것을 예방하는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이 물질적 어려움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에 처하지 않도록 구조와 체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알코올 중독의 원인에는 개인적 요인도 있지만 분명 사회문화적 요인도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가가 올바르게 형성되지 않는다면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가족, 지역사회에서 더 나아가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해야 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그들의 문제를 그저 그 가족의 문제로만 치부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지지하고 이해하며 그들의 문제를 함께 해결 할 수 있는 교회의 역할을 잘 감당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참고문헌
1. 김은영, 임승희, 박소연 공저『가족복지론』학현사, 2009.
2. 김영화, 이진숙, 이옥희 공저『성인지적 가족복지론』양서원, 2010.
3. 『잊고 싶은 현실, 잃어버린 자아 알코올중독』 학지사. 2000.
4. 『알코올백과.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02
5. 박성석 외, 『가족복지론』양장, 2009.
6. 윤명숙, 『알코올중독 가족개입 프로그램 개발』한국음주 문화 연구센터, 2001.
7. 제임스 버진,『알코올중독으로부터 회복되는 길』하나의 학사, 2009.
8. 학지사, 『잊고 싶은 현실, 잃어버린 자아 알코올중독』 2000.
9.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알코올백과』2002
10.산드라 윌슨 저. 이관직 역. 두란노. 『알콜 중독 상담(기독교상담시리즈 21)』
참고사이트
1)http://www.alcohol114.com/
2)http://www.jinhospital.com/
3)http://health.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health_detail&sm=tab_txc&ie=utf8&query=%EC%95%8C%EC%BD%94%EC%98%AC%20%EB%82%A8%EC%9A%A9%20%EB%B0%8F%20%EC%9D%98%EC%A1%B4
4)http://cafe.naver.com/hannarabinna/97
5)http://blog.daum.net/juk6960/8778560
6)http://www.rko.co.kr/sub/sub6_7.htm
7)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44744
8)http://cafe.naver.com/sos129.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15&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