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식][가족관][진로의식성숙]청소년의식과 가족관, 청소년의식과 진로의식성숙, 청소년의식과 노인관, 청소년의식과 놀이문화, 청소년의식과 가치관, 청소년의식과 컴퓨터, 청소년의식과 통일의식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의식][가족관][진로의식성숙]청소년의식과 가족관, 청소년의식과 진로의식성숙, 청소년의식과 노인관, 청소년의식과 놀이문화, 청소년의식과 가치관, 청소년의식과 컴퓨터, 청소년의식과 통일의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청소년의식과 가족관

Ⅲ. 청소년의식과 진로의식성숙

Ⅳ. 청소년의식과 노인관

Ⅴ. 청소년의식과 놀이문화

Ⅵ. 청소년의식과 가치관

Ⅶ. 청소년의식과 컴퓨터
1. 커뮤니티 활동 정도
2. 가입한 커뮤니티 수
3. 현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커뮤니티의 성격 및 종류
4.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님들의 태도
5. 친구와 인터넷과의 관계

Ⅷ. 청소년의식과 통일의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내고 받거나,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것, 또한 채팅, 정팅, 번개팅 등을 포함한다고 설문지에 명시했다. 결과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6.3%의 학생들이 한달에 1-3회 정도의 활동을 한다고 응답했고, 25.7%의 학생들은 일주일에 1-3회, 23.9%의 학생들은 하루에 1-3회의 활동을 보였으며 하루에 4-6회 활동하는 학생은 7.1%, 그리고 7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학생도 11.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커뮤니티 활동이 이미 학생들의 생활에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기타 인터넷에서의 활동의 경우 남학생들이 훨씬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던데 반해, 커뮤니티 활동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적극적인 양상을 드러내고 있었다.
2. 가입한 커뮤니티 수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청소년들에게 커뮤니티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측면과 함께 여러 가지 정보의 소통 장소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현재 가입하고 있는 커뮤니티가 얼마나 되는지를 주관식으로 물어본 다음 재분류한 결과이다. 가장 많은 학생(29.3%)들이 4-8개의 범주에 속하였고 다음으로 22.4%의 학생들이 1-3개의 커뮤니티에 속해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아직 인터넷상의 커뮤니티에 가입하지 않은 학생이 3.9%인데 반해 46개 이상의 커뮤니티에 가입한 학생은 8.6%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커뮤니티의 성격 및 종류
현재 소속되어 있는 커뮤니티 중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는 커뮤니티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달라는 질문에서는 현재 혹은 과거에 생활을 같이 한,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을 소유한 친구나 선후배들과의 친목관련 커뮤니티가 압도적인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다.(57.6%) 그 다음으로는 자신의 취미나 관심을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커뮤니티가 많은 수를 나타내었고(9.2%), 인터넷 게임을 온라인상에서 즐기는 커뮤니티와 같은 엔터테인먼트 관련 커뮤니티가 4.1%를 차지하고 있었다.
4. 인터넷 사용에 대한 부모님들의 태도
집에서 인터넷을 쓰는 경우 부모님들은 과연 학생들에게 어떤 태도를 취하시는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세 가지 문항은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직간접적인 제한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이었고 마지막 질문은 인터넷과 학습에 대한 부모님들의 생각을 학생들이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마련되었다.
우선 인터넷 사용에 있어 부모님들께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해 놓고 있는지의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의 학교급별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자 중학생이나 여자 중학생 모두 ‘그렇다’와 ‘약간 그렇다’라는 항목에서 고등학생보다 높은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을 부모님께서 설치하셨는지를 묻는 질문에서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남자 중학생 12.7%와 여자 중학생 13.4%가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고 응답한 반면 남자 고등학생과 여자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각각 4.4%와 7.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터넷이 공부를 방해하고 있다고 부모님께서 생각하시는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학교급간의 차이보다는 성별 차이가 보다 잘 드러났다. 남자 중학생과 남자 고등학생이 각각 여자 중학생과 여자 고등학생에 비교할 때 부모님께서 인터넷이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신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인별 인터넷 사용시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5. 친구와 인터넷과의 관계
이번 질문은 친구들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인터넷이 갖는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질문에 대한 응답 속에서 학교급간의 차이보다는 성별간의 차이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친구들과의 대화 중 많은 부분은 인터넷에 관한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남자 중학생의 27.0%, 남자 고등학생의 23.6%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여자 중학생은 10.6%, 여자 고등학생은 10.4%에 그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잘하는 것은 친구들 사이에 인기를 끄는데 중요한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남자 중학생 29.1%, 남자 고등학생 26.3%가 그렇다 혹은 약간 그렇다는 응답을 보여 여자 중학생의 15.1%나 여자 고등학생의 14.4%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나타내 주었다.
Ⅷ. 청소년의식과 통일의식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이데올로기보다는 민족우선의 국제질서 재편 등으로 과거 요원하게만 여겨졌던 민족통일의 문제가 점차 우리의 현실로 부각되고 있다. 통일이 우리세대가 당면하고 있는 시대적인 소명임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지만,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언제쯤 이루어지게 될 지에 관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통일 이후의 우리사회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통일관을 알아보기로 한다.
청소년들은 다소 늦어지더라도 사회적인 혼란이 없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진적인 방식을 선호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통일이 되기보다는 현재의 상태로 있는 것이 낫다는 현지유지형이 그 다음으로, 다소 부작용이 있더라도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는 통일지상주의가 다음으로 나타났다. 잘모르겠다는 극소수에 불과해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자기나름대로의 통일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혼란이 없는 통일의 방식을 선호하는 것은 우리보다 앞서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혼란된 사회상에서 영향받은바가 크리라고 생각된다. 성별에서 남자들은 상대적으로 통일지상주의형이 많은 반면, 여자들 사이에서는 현상유지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통일지상주의가 높게 나타났고 대도시의 학생들이 시군부 학생들보다 현상유지형이 통일지상주의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이장호 / 상담심리학 입문, 박영사, 1984
정하성 / 청소년문제와 지도, 해와달, 1993
체육청소년부 / 청소년백서, 삼진인쇄, 1992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 오늘의 청소년, 송년호, 1988
한국청소년연구원 / 청소년 문제행동 진단을 위한 조사연구(Ⅱ), 1990
함종한 / 청소년학원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