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회의 감시와 프라이버시’- 파놉티곤(정보사회 정보감옥)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사회의 감시와 프라이버시’- 파놉티곤(정보사회 정보감옥)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등으로 점차 바뀌어 감을 설명한다.
마지막 4장과 5장에서는 전자주민카드, 전자건강보험증서 등 권력에 의해 휘둘러질 수 있는 전자파놉티콘의 가능성에 대해 다룬다. 또한 역파놉티콘에서 반대의 가능성도 지적한다.
전자, 정보 파놉티콘의 예를 몇 가지 제시하면서 설명하는 방식으로 얘기한다. 전자 파놉티콘과 벤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정보 파놉티콘에서는 사람에 대한 정보 수집, 직접적 통제와 규율이 하나로 합쳐지고, 정보는 벤담의 파놉티콘에서의 시선을 대신하여 규율과 통제의 기제로 작동한다. 컴퓨터나 전자기기를 통해 얻은 정보가 간수의 시선을 대체했지만, 벤담의 파놉티콘과 정보 파놉티콘은 '불확실성'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파놉티콘에 갇힌 죄수가 자신이 감시를 당하는지 아닌지를 모르듯이. 전자 파놉티콘의 정보망에 노출된 사람들 또한 자신의 행동이 국가나 직장의 상관에게 열람될지 않을지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의 행동이나 작업에 주의를 기울이곤 한다. 전자 감시는 파놉티콘의 감시 능력을 전 사회로 확장했다, 무엇보다 시선에는 한계가 있지만 컴퓨터를 통한 정보 수집은 국가적이고 전지국적 이기 때문 이다. 프랑스 철학자 들뢰즈에 의하면 규율 사회는 증기 기관과 공장이 지배하고 요란한 구호에 의해 통제되는 사회이지만, 통제 사회는 컴퓨터와 기업이 지배하고 숫자와 코드에 의해 통제되는 사회이다. 벤담의 파놉티콘이 규율 사회에 적합한 감시의 메카니즘이라면 전자 파놉티콘은 통제 사회에 적합한 감시의 메카니즘인 것이다. 감시가 범사회적이고 일상적인 것이 되면서, 간수가 '중앙'탑에 숨어서 주변의 감방을 감시했던 파놉티콘과 달리, 전한된 소규모 감시 네트워크가 독립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한다. 또 이런 경우에 감시자가 피 감시자를 일자파놉티콘에는 '중앙'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졌다. 물론 '중앙의 분산화가 감시의 느슨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중앙'의 감시능력을 '주변'에서 나누어 가지면서 더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감시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소비자 데이터베이스는 수퍼파놉티콘(superpanopticon)을 말한다. 수퍼파놉티콘의 중요한 특성이 "감시를 당하는 사람이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정보 파놉티콘이나 전자 파놉티콘을 가능케 하는 정보기술이 시놉티콘이나 중앙이 전체를 감시할 뿐 아니라 전체가 중앙을 감시하는 역파놉티콘도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