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복사저포기 (김시습의 사상, 남자환생,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복사저포기 (김시습의 사상, 남자환생,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김시습의 사상

3.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및 특징

4. 만복사저포기의 이해 및 분석
4.1 만복사저포기의 개연성
4.2 만복사저포기의 다양한 시점
4.3 남자환생으로 본 작가의 가치관

5. 마치며

본문내용

머니 여인을 유인하여 그곳으로 들어가니 여인은 거절 않고 (어려워하지 않고) 따랐다. 그들은 서로 즐거움을 나누었는데 보통사람과 조금 도 다름이 없었다. (여인이 어려워하지 않았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전지적시점이 라는 견해도 있으나 해석본에 따른 차이로 보고 이 부분들 거절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수정함)
(2) 전지적 시점 - “길 가는 사람들은 양생이 여인과 함께 가는 것을 알지 못하고서 다만 이렇게 물었다.”
(3) 제한적객관적시점 - “그는 불좌 밑에 숨어서 약속한 배필이 나타나기를 기다렸다. 잠시 후에 한 아리따운 아가씨가 나타나는데 나이는 열대여섯 가량 되어 보였다”
(4) 제한적전지적시점 - “양생은 비록 의심이 나고 괴이하게 여겼으나 여인의 말씨와 웃음 소리가 맑고 고우며 얼굴과 몸가짐이 얌전했으므로 틀림없이 귀한 집 처녀가 담 을 넘어온 것이라고 생각하고는 더 의심하지 않았다.”
5. 마치며
지금까지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금오신화」의 문학적 가치와 의의에 대해서 논의해보았다. 이 과제를 진행하면서 느낀 것은, 막연히만 알고 있던 「금오신화」의 가치에 대해 새삼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에 먼저 발표되어 두 번이나 판을 찍을 만큼 인기를 얻었다니, 소설 자체의 완성도 또한 놀라운 것이다. 고대의 설화로부터 내려온 우리 서사문학은 「금오신화」로 인해 소설의 구색을 갖추고, 이는 조선 후기의 야담으로 이어지고 신소설, 그리고 지금의 근·현대 소설로 이어졌다는 한 가지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 「금오신화」가 중국의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도 있지만, 「금오신화」는 분명 전등신화보다 나은 소설이며 받은 영향 역시 미미하다. 「금오신화」는 우리 문학의 첫 소설 작품이며, 서사문학 양식의 전통을 면면히 이어오는 자주적 서사문학 작품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현대에 와서 고대의 소설을 공부하는 일은 필요성을 많이 느끼지 못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고대 소설의 뿌리를 알지 못하고 현대 소설을 논하는 것 역시 어불성설이다. 근·현대문학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그에 못지않은 고대소설의 가치를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무척 의미 있는 과제였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이종호 『매월당 김시습』, 일지사
심경호 『김시습 평전』, 돌베개
전영진 편저 『금오신화』, 홍신문화사
최철 외 편저 『조선조 후기문학과 실학사상』, 정음사
최운식『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이대형『금오신화 연구』, 보고사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