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단춘전’변치 않는 사랑, 그리고 변하는 우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옥단춘전’변치 않는 사랑, 그리고 변하는 우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옥단춘전 들어가기
2. 등장인물의 성격
3. 등장인물의 대립구도
4. 인물과 사건의 유기적 관계를 이루는 끈
5. 옥단춘전 정리하기

본문내용

단춘의 순정과 절의, 그리고 이혈룡과 김진희라는 친구 사이의 그릇된 우정문제를 다루면서 ‘신의’를 유기적 끈으로 하여 전개되는 소설이다. 작품의 초점이 당대 현실에서와 달리 신분이 낮은 여성(옥단춘)에게 맞추어져있어서 신분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몰락양반의 이야기가 기녀신분갈등형 애정소설 모티프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된 소설이기 때문에 양반의 향락적 세태를 넘어서서 몰락양반과 기녀사이의 만남을 현실적인 조건 속에서 그려내고 있다. 이렇게 현실적이라는 이유 때문에 인물의 성격에서도 비교적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고, 다른 소설에 비해 긴장감이 떨어지는 면도 있다. 하지만, 소설중에 나타나는 이혈룡의 수난이 서민층이 아닌 양반이라는 점에서 독자층인 민중들과의 공감대 형성을 이끌어 내어 인기 있던 소설 중에 하나였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워낙 비현실적 요소가 적게 개입된 소설이기 때문에, 마지막 부분에 김진희가 갑자기 번개를 맞아 죽게 되는 것이 문맥상 엉뚱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것은 결국 독자층이 평안감사 김진희를 단순히 친구 사이의 의리를 배신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하늘이 벼락을 내려 징계하여야할 탐관오리의 전형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라고 해석해 보았다. 즉, 권선징악의 결말을 이끌어내는 하나의 장치가 되는 것이다.
또 한가지 생각해볼 문제는 ‘김진희가 이혈룡을 왜 배신하였는가?’ 에 대한 문제이다. 소설원문에는 김진희가 이혈룡을 배신 할 만한 원인이 들어나 있지 않아서 문맥의 흐름상 자연스럽지 못한 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옥단춘전>이라는 제목에 대한 문제이다. 이 작품의 구성에서 이혈룡의 수난과 이야기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목이 <옥단춘전>인 이유는 사실상 이작품은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과 경제적으로 여유를 얻은 비천한 신분의 기녀가 결합하여 자신들의 현실적인 욕구를 해소 했다는 현실적인 이야기를 그린 것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이작품의 제목이 <이혈룡전>이었다면, 글을 읽는 독자층의 동감을 얻어내지 못했으리라 생각한다.
조선 후기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신분문제를 몰락양반과 기녀와의 사랑, 그리고 지기지우의 배신이라는 모순된 점들이 내포된 주제로 현실적 애정소설을 그려낸 <옥단춘전>이 현대 우리에게 어떤 시사점을 주고 있는지 생각하며 이번 발표문을 마친다.
<참고문헌>
우리고전다시읽기 옥단춘전, 구인환, 신원문화사,2004
조선시대의 애정 소설 , 박일용, 집문당, 1993.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14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9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