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기 무네요시(柳 宗悅) 수용과 극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야나기 무네요시(柳 宗悅) 수용과 극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야나기 이론의 영향
 2)한국에서 야나기가 큰 영향을 미치는 이유
 3)이전 비판들의 한계
 4)야나기 평가의 새로운 방향
3.결론

본문내용

기의 미학에 대한 본질적인 해결책은 그의 이론에 대한 철저한 고증, 또는 영향과 야나기 본인을 떼어 놓고 보는 논리적 모순없는 분석이 아니라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 작업이다. 새로운 틀을 제시할 수 있을 때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야나기의 미학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이 자신의 예술을 평가할 수 있는 자체적인 시각을 스스로 창조하지 못하고 타자의 시선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가 이미 드러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야나기 이론에 대한 동일유사한 반복을 해내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미술을 전 시대별로 아우르는 분석을 통해 새로운 미학관을 제시해야하만 야나기의 미학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나카미 마리(中見眞理) 지음 ; 김순희 옮김 『(미학적 아나키스트) 야나기 무네요시 평전』
효형, 2005.
이데카와 나오키(出川直樹) 지음 ; 정희균 옮김. 『인간부흥의 공예 :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를 넘어서』 학고재, 2002.
*참고 논문
가토 리에 「한국인에 의한 야나기 무네요시 연구사」
김희정 「조선에서의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수용 양상」2003
김희정 「문화 이데올로기로서의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론」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3.04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