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 일본방송영상산업, 일본애니메이션산업]일본문화와 일본방송영상산업, 일본문화와 일본애니메이션산업, 일본문화와 일본전통예술, 일본문화와 일본대중음악, 일본문화와 일본영화, 일본문화와 일본정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화, 일본방송영상산업, 일본애니메이션산업]일본문화와 일본방송영상산업, 일본문화와 일본애니메이션산업, 일본문화와 일본전통예술, 일본문화와 일본대중음악, 일본문화와 일본영화, 일본문화와 일본정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본문화와 일본방송영상산업
1. 일본 대중문화의 유입 경로
1) 합법적 유입
2) 불법적 유입
3) 직접 유입
4) 간접 유입
2. 연관영상산업
3. 모방, 표절의 문제점

Ⅱ. 일본문화와 일본애니메이션산업
1. 출판만화 산업의 발전이 애니메이션 제작을 뒷받침
2. 탄탄한 스토리 구성
3. 다각적인 마케팅
4. 제작의 2중 구조

Ⅲ. 일본문화와 일본전통예술
1. 가부키
2. 분라쿠
3. 노

Ⅳ. 일본문화와 일본대중음악

Ⅴ. 일본문화와 일본영화
1. 일본영화의 역사
2. 일본영화 부흥의 이유

Ⅵ. 일본문화와 일본정원
1. 지센(自薦)식 정원
2. 카레산스이(枯れ山水)식 정원
3. 로지(露地)
4. 초암식 정원
5. 쇼인(書院)식 정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이른바 인디펜던트 영화시대가 도래하기 시작했다. 독립 프로덕션들은 회사의 어려운 재정을 타개하기 위해 저예산 포르노영화를 제작하였고 이것을 ‘로망 포르노’라고 불렀다. 마침내 1987년 국내흥행에서 꾸준히 우위를 지켜온 일본 영화의 자존심이 무너지고 말았다. 일본영화가 45%, 외국영화가 55%를 차지한 것이다. 1980년대 들어와 모든 것이 서구중심이 되고 젊은이들은 서구 문화에 젖어들었다. 이런 변화는 제작현장에도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현장경험이 아니라 대학 동아리 등의 서클활동으로 익힌 이른바 슈퍼 8밀리 감독이라는 새로운 영화광들이 대거 입문했다. 침체한 일본영화를 그나마 지킬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런 감독들의 활약 때문이었다. 1990년대 일본 영화는 “일본영화는 사양길에 접어들었다”는 비관론과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는 낙관론이다. 이는 예술성과 오락성을 겸비하며 일본 영화 제2의 전성기를 예고하는 신인감독이 대거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새로운 영상세대 주자로 떠오른 구로자와 기요시, 츠카모토 신야, 이와이지, 카와세 나오미 등에 기대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2. 일본영화 부흥의 이유
침체기에 접어든 70년대부터 일본영화는 자구책을 마련하기 위해 로망포르노 같은 극약까지 투여했다.
불황으로 인해 메이저 영화사의 통제가 느슨해진 틈을 타고 가능했다. 게다가 성이란 소재는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사회를 비판하기에는 적절한 소재였다. 은폐된 성을 폭로하면 안정된 일본사회의 허상을 맹렬하게 공격했다. 로망 포르노의 가장 긍정적인 효과는 젊은 영화인들이 공력을 쌓을 기회를 준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독립영화의 산실인 PFF(Pia Film Festival)가 있었다. 일본영화의 르네상스는 독립영화의 활성화 없이는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었다. 문화예술 정보지를 출간했던 PIA 출판그룹은 유망한 신인들에게 제작금을 지원했다.
Ⅵ. 일본문화와 일본정원
첫째.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표현한다는 원리.
계절의 변화에 따라 피어났다가 시드는 싸리에 인간의 흥망성쇠나 희노애락의 감정을
이입시켜 아무런 꾸밈없이 자연과 인간의 만남을 표현하고자 한다.
둘째. 자연을 인간의 품 안으로 끌어들인다는 \"차경\"의 원리.
차경이란 먼 산이나 사원의 지붕이나 탑 등의 아름다운 조망을 그대로 정원의 일부로 끌어 들인다는 것인데, 이 정원에서 조망 할 수 있는 경관의 아름다움은 자연의 경치를 차용 한다 라기 보다는 감상자 자신이 자연에 그대로 동화 되어 어디까지 정원이고 어디까지 자연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순수하게 보존하여 최상의 상태를 그대로 어느 공간에 모아 놓는다는 정원 이념이 바로 차경의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자연을 압축하여 만든다는 \"축경\" 원리.
정원을 만든다는 의식, 즉 정원을 인간의 추상적인 의지를 구체적인 형상으로 조성해 내는
것을 말한다. 축경의 원리는 불교적 우주관을 가지고 정원을 소우주로 표현 하려는 조경의 의식은 아스카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한마디로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세계를 정원에 구상화 하는 것이다.
1. 지센(自薦)식 정원
기본적으로 연못을 파서 그 주위에 감상 거리를 만드는 정원을 말한다.
여기서 또 세 가지 다른 지센식 정원이 있는 데 첫 번째, \"회유식\"정원은 연못주위에 산책길을 만들어 놓고, 그 길을 따라 연못을 돌면서 감상하는 정원을 말한다. 두 번째, \"주유식\"정원은 배를 띄울 수 있을 정도로 연못을 파서 배를 타고 돌면서 연못 주변의 경관을 감상하며 즐기는 정원을 말한다. 끝으로 세 번째, \"차경식\"정원은 정원에서 내다보이는 주위의 경관과 정원을 조화롭게 배치함으로써 이미 좋은 경치를 자기 정원의 일부인 것처럼 경치를 빌려다 쓴다는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2. 카레산스이(枯れ山水)식 정원
연못이나 흐르는 물 없지만 바닥에 잘게 부순 돌이나 흰모래를 깔아 물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내는 방식이며 고도의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또 두 가지 다른 카레산스이 식 정원이 있는데 우선, “선원식”정원은 불교 사원 가운데 선종의 선원에서 정원에 카레산스이 식 정원을 만들어 참선하게 좋게 만드는 정원을 말하고, \"지정식\"정원은 모래나 하얀 돌을 잘게 부수어 바다나 강물 모양이 나도록 깔아두는 형식이로서 물이 없으면서도 연못이나 강 또는 바다를 상징하는 정원을 말한다.
3. 로지(露地)
로지는 다실의 차 마시는 방의 정원을 말한다. 다실에 온 손님들은 다실 앞의 로지를 통해서 다실로 들어가는데 다실에 이르는 통로로서 다도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도록 꾸민 정원이다. 다도의 정원이라는 뜻으로 차니와(茶庭) 라고도 합니다.
4. 초암식 정원
다실을 암자처럼 작고 소박하게 짓고 지붕은 초가지붕으로 만들어 초암과 같은 분위기가 나도록 지었을 때 초암에 어울리도록 규모도 작고 소박하게 한적한 느낌이 들도록 만든 정원을 말한다.
5. 쇼인(書院)식 정원
쇼인에 딸린 정원 양식을 말한다. 쇼인은 무사나 귀족들이 모이는 일종의 사교장으로서 차를 마시기도 하고 미술품을 감상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곳을 귀하고 화려한 물건을 장식하기도 한다. 쇼인 주위에도 로지 즉 정원을 만드는데 쇼인 건물에 어울리도록 만드는 정원을
쇼인식 정원이라고 한다. 쇼인은 원래 선사에서 승려가 서적을 읽는 방을 가리켰는데, 햇빛을 받아들이기 위해 벽에 창호지를 바른 문을 만들고 책상대신에 고정식 책 선반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것이 무로마치 시대가 되자 귀족들의 저택에 도입되어 쇼인즈쿠리(書院逗り)라는 주택양식의 하나로 정착되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 문철수(1997), 일본 영상산업의 현황과 발전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 백지성(1988), 일본정원에 있어서 수경의 구성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 서청석 외 2명(2004), 일본 영화산업의 경쟁력 결정요인 분석, 국제지역학회
▷ 오태헌(2011),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 이지선(2009), 일본전통 공연예술, 제이앤씨
▷ 임진모(1999), 일본 대중음악 개방, 서울지방변호사회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