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산업, 전시산업 의의, 전시산업 효과, 전시산업 동향, 전시산업 독일 사례, 전시산업 과제]전시산업의 의의, 전시산업의 효과, 전시산업의 동향, 전시산업의 독일 사례, 향후 전시산업의 과제 분석(전시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시산업, 전시산업 의의, 전시산업 효과, 전시산업 동향, 전시산업 독일 사례, 전시산업 과제]전시산업의 의의, 전시산업의 효과, 전시산업의 동향, 전시산업의 독일 사례, 향후 전시산업의 과제 분석(전시산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시산업의 의의

Ⅲ. 전시산업의 효과

Ⅳ. 전시산업의 동향

Ⅴ. 전시산업의 독일 사례
1. 하노버
2. 프랑크푸르트
3. 뒤셀도르프
4. 뮌헨
5. 기타

Ⅵ. 향후 전시산업의 과제
1. 전시 산업 내부간 경쟁의 격화
2. 사이버 박람회 출현 및 인터넷의 보편화로 인한 실물 박람회 영향
3. 박람회 참가 예산 축소 경향
4. 박람회 참가업체와 방문객 수의 감소
5. 박람회 참가 신청 및 계약의 단기화
6. 박람회 성장 속도 보다 전시장 면적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7. 박람회 개최 및 참가 취소 증가세
8. 박람회 신규 참가업체 수의 증가 미미
9. 중소 전시 주최자들의 난립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시아, 미국 등지에서 경쟁 박람회개최 증가로 참가 업체와 방문객을 뺏기고 있는 형국이 되고 있다. 이것은 유럽만의 일로 치부할 것이 못 된다. 우리나라도 이웃 나라 중국에서 개최되는 유명 박람회에 참가업체와 방문객들을 뺏기고 있다.
5. 박람회 참가 신청 및 계약의 단기화
과거 독일의 유명 박람회에는 수년간씩 장기 참가 계약을 하는 참가 업체들이 많아 신규로 참가하려면 매우 힘들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경기 침체의 영향과 유사 유명 박람회 수의 증가로 굳이 장기 계약하지 않고 그때그때의 상황을 봐가며 참가하려는 경향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도 참가 신청 마감이임박해서야 신청이 몰리고 있다. 전시 주최자로서는 고정 고객이 많이 줄어든 셈이다.
6. 박람회 성장 속도 보다 전시장 면적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전시장 공급과잉 현상을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박람회 성장 속도는 참가 업체 수, 방문객 수, 전시 면적 등 박람회 3대 요소 면에서 모두 둔화되고 있으나 전시장은 신축 및 증축이 크게 늘고 있다. 우리나라도 현재 신축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전시장이 모두 완공되고 나면 전시장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7. 박람회 개최 및 참가 취소 증가세
특히 금년도의 경우 세계 경기 침체와 SARS 등의 영향으로 박람회 참가 취소가 크게 늘었고 또 참가 업체 모집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전시 주최자들이 임차 계약 자체를 해지하거나 임차 면적을 축소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일부 국가를 제외한 각국 전시장가동률이 작년 수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8. 박람회 신규 참가업체 수의 증가 미미
박람회 참가 업체 대부분이 기존에 박람회에 많이 참가하고 있는 업체들로 이루어지고 있다. 박람회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신규 참가업체 수의 증가가 필수적이다.
9. 중소 전시 주최자들의 난립
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150여 개에 이르는 중소 전시 주최자들이 난립하고 있고 자금력과 조직력 그리고 노하우를 겸비한 대형전시 주최자는 별로 없어 전시 산업 발전의 취약점이기도 하다. 외국의 경우 과당 경쟁요인을 제거하고 사업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중소 전시 주최자들 간에 M&A가 확산되고 있다.
Ⅶ. 결론
전시주최자는 전시산업은 경제회복과 함께 앞으로 한층 더 발전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Novak은 5년동안 Tradeshow의 수익은 BtoB Publication의 광고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경제 전반에 대하여도 괄목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기후퇴 현상은 신속하게 경제전반으로 퍼지고 있지만, 언제 회복기로 전환될 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 단지, 우리는 이런 환경 하에서 어떻게 하면 보다 효율적인지를 실제로 배우게 되고 이러한 것들은 장래 우리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경기후퇴기에 중요한 것은 얼마나 오래 지속될 것이냐 이며, 적어도 경제가 금년 하반기부터 회복된다면 정상적인 성장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지만, 만약 후반기에도 경제성장이 안된다면, 전시산업도 본 궤도에 오르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돈유, 국내 전시산업 현황 및 육성정책, 세종대학교 항공산업연구소, 2011
김봉석, 독일의 전시산업, 한국전시산업진흥회, 2005
박원철, 한국 전시산업의 글로벌화 전략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10
송성수, 세계 전시산업과 우리나라의 발전 과제, 세종대학교 항공산업연구소, 2003
안연희, 전시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세종대학교, 2006
이재익 외 4명, 세계 전시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2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5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