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아][격언][속담][명언][고사성어][한자성어][사자성어][한자숙어][사훈]한글 아 격언, 한글 아 속담, 한글 아 명언, 한글 아 고사성어, 한글 아 한자성어, 한글 아 사자성어, 한글 아 한자숙어, 한글 아 사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 아][격언][속담][명언][고사성어][한자성어][사자성어][한자숙어][사훈]한글 아 격언, 한글 아 속담, 한글 아 명언, 한글 아 고사성어, 한글 아 한자성어, 한글 아 사자성어, 한글 아 한자숙어, 한글 아 사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글 아 격언

Ⅱ. 한글 아 속담
1. 아주머니 떡도 싸야 사 먹지
2. 아주머니 술도 싸야 사 먹지
3. 아침 놀 저녁 비, 저녁 놀 아침 비
4. 아침 안개가 중 대가리 깬다
5.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6. 아홉 섬 추수한 자가 한 섬 추수한 자더러, 그 한 섬 채워 열 섬 만들어 달라고 한다
7. 악마구리 끓듯 한다
8. 악박골 호랑이 선불 맞은 소리다
9. 악으로 모은 살림 악으로 망한다
10. 악이 가끔 승리하나, 정복은 못 한다
11.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내쫓는다
12. 안되는 일은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
13. 안되면 조상 탓이다
14. 안 뒷간에 똥 누고 안 아가씨더러 밑 씻겨 달라겠다
15. 안방에 가면 시어미 말이 옳고, 부엌에 가면 며느리 말이 옳다
16. 안 벽 치고 밖 벽 친다
17. 안보면 마음도 멀어진다
18. 안성 맞춤이라
19. 안질에 고춧가루
20. 안질에 노랑 수건
21. 안팎 곱사등이라
22. 앉아 주고 서서 받는다
23. 앉은뱅이 용쓴다
24. 앉은 자리에 풀도 안 나겠다
25. 알기는 똥파리 손자
26. 알기는 칠월 귀뚜라미
27. 알던 정 모르던 정 없다
28. 알 못 낳는 암탉이 먼저 죽는다
29. 알을 두고 온 새의 마음
30. 알토란 같다
31. 앓느니 죽지
32. 앓던 이가 빠진 것 같다
33. 암소 곧달음
34. 암치 뼈다귀에 불개미 덤비 듯

Ⅲ. 한글 아 명언

Ⅳ. 한글 아 고사성어
1. 아도물(阿堵物)
2. 아비규환(阿鼻叫喚)
3. 아수라장(阿修羅場)
4. 아향(阿香)
5. 악목불음(惡木不蔭)
6. 안도(安堵)
7. 안서(雁書)
8. 안자지어(晏子之御)
9. 안중지정(眼中之釘)
10. 알운곡(遏雲曲)
11. 암중모색(暗中摸索)
12. 앙급지어(殃及池魚)
13. 약롱중물(藥籠中物)
14. 양금택목(良禽擇木)
15. 양약고구(良藥苦口)
16. 양포지구(楊布之狗)
17. 양호이환(養虎貽患)
18. 어부지리(漁父之利)

Ⅴ. 한글 아 한자성어
1. 약방감초
1) 풀이
2) 속담
2. 양두구육
1) 풀이
2) 동의어
3) 유사어
4) 속담
5) 고사
3. 양상군자
1) 풀이
2) 유사어
3) 고사
4. 약육강식
5. 양호상투
6. 양호유환
1) 풀이
2) 유사어

Ⅵ. 한글 아 사자성어
1. 여세추이(如世推移)
2. 여좌침석(如坐針席)
3. 여필종부(女必從夫)
4. 역린(逆麟)
5. 역지사지(易地思之)
6. 연마장양(鍊磨長養)
7. 연목구어(緣木求魚)
8. 연하고질(煙霞痼疾)
9. 염량세태(炎凉世態)
10. 영고성쇠(榮枯盛衰)
11. 오리무중(五里霧中)
12. 오매불망(寤寐不忘)
13. 오비삼척(吾鼻三尺)
14. 오비이락(烏飛梨落)
15. 오상(五常)
16. 오상고절(傲霜孤節)
17. 오색영롱(五色玲瓏)
18.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19. 오우(五友)
20. 오월동주(吳越同舟)
21. 오합지졸(烏合之卒)
22. 옥석구분(玉石俱焚)
23. 온고지신(溫故知新)
24. 와신상담(臥薪嘗膽)
25. 외유내강(外柔內剛)
26. 요원지화(燎原之火)
27. 요조숙녀(窈窕淑女)
28. 요지부동(搖之不動)
29. 욕속부달(欲速不達)
30. 용사비등(龍蛇飛騰)
31. 용호상박(龍虎相搏)
32. 우공이산(愚公移山)
33. 우문현답(愚問賢答)
34. 우이독경(牛耳讀經)
35. 우후죽순(雨後竹筍)
36. 운니지차(雲泥之差)
37. 원교근공(遠交近攻)
38. 원화소복(遠禍召福)
39. 월태화용(月態花容)
40. 월하빙인(月下氷人)
41. 위편삼절(韋編三絶)
42. 유만부동(類萬不同)
43. 유방백세(流芳百世)
44. 유아독존(唯我獨尊)
45. 유야무야(有耶無耶)
46. 유유상종(類類相從)
47. 유유자적(悠悠自適)
48. 은인자중(隱忍自重)
49. 을축갑자(乙丑甲子)
50. 음풍농월(吟風弄月)
51. 의문지망(依門之望)
52. 의중지인(意中之人)
53. 이관규천(以管窺天)
54. 이여반장(易如反掌)
55. 이율배반(二律背反)
56. 이인동심(二人同心)
57.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58. 이하조리(以蝦牛鯉)
59. 이향이객(異鄕異客)
60.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61. 익자삼우(益者三友)
62. 인고부지족(人苦不知足)
63. 인과응보(因果應報)
64. 인면수심(人面獸心)
65. 인모난측(人謀難測)
66. 인지상정(人之常情)
67. 일거양득(一擧兩得)
68. 일도양단(一刀兩斷)
69. 일망무제(一望無際)
70. 일망타진(一網打盡)
71. 일면여구(一面如舊)
72. 일모도원(日暮途遠)
73.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74. 일사천리(一瀉千里)
75.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Ⅶ. 한글 아 한자숙어
1. 연포지목(連抱之木)
2. 염화시중(捻花示衆)
3. 오풍십우(五風十雨)
4. 외강내유(外剛內柔)
5. 요산요수(樂山樂水)
6. 용두사미(龍頭蛇尾)
7. 용전여수(用錢如水)
8. 우로풍상(雨露風霜)
9. 우이송경(牛耳誦經)

Ⅷ. 한글 아 사훈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자가 서로 싸움
32. 우공이산(愚公移山)
- 어리석게 보이는 일도 꾸준하게 한다면 아무리 큰일이라도 할 수 있음
33.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대답
34. 우이독경(牛耳讀經)
- 쇠 귀에 경 읽기
35. 우후죽순(雨後竹筍)
- 비 온 뒤에 죽순이 나듯, 무슨 일이 한꺼번에 많이 일어남
36. 운니지차(雲泥之差)
- 서로의 차이가 심함
37. 원교근공(遠交近攻)
- 먼 나라와 사귀어 가까운 나라를 치는 국책
38. 원화소복(遠禍召福)
- 화를 멀리하고 복을 불러들임
39. 월태화용(月態花容)
- 달 같은 자태와 꽃 같은 얼굴
40. 월하빙인(月下氷人)
- 중매쟁이
41. 위편삼절(韋編三絶)
- 공자가 읽던 책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것에서 유래함. 독서에 매우 전념함
42. 유만부동(類萬不同)
- 모든 것이 서로 같지 아니함
43. 유방백세(流芳百世)
- 꽃다운 이름을 후세에 길이 전함
44. 유아독존(唯我獨尊)
- 이 세상에는 내가 제일이라고 자만함
45. 유야무야(有耶無耶)
- 어느 쪽도 아님. 흐지부지함
46. 유유상종(類類相從)
- 같은 무리들끼리 서로 사귐
47. 유유자적(悠悠自適)
- 속세를 떠나 한가롭게 세월을 보냄
48. 은인자중(隱忍自重)
- 괴로움을 참고 몸가짐을 조심함
49. 을축갑자(乙丑甲子)
- 무슨 일이 제대로 안되고 순서가 바뀜
50. 음풍농월(吟風弄月)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노래함. 풍류를 즐김
51. 의문지망(依門之望)
-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마음
52. 의중지인(意中之人)
- 마음 속에 새겨져 잊을 수 없는 사람
53. 이관규천(以管窺天)
- 우물 안 개구리
54. 이여반장(易如反掌)
- 손바닥 뒤집는 것처럼 쉬움
55. 이율배반(二律背反)
- 서로 모순되는 두 명제, 또는 그 관계
56. 이인동심(二人同心)
- 절친한 친구사이
57. 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 자두나무 아래서는 갓을 고쳐 쓰지 말라. 남에게 의심 받을 일을 하지 말라
58. 이하조리(以蝦牛鯉)
- 새우로 잉어 낚기. 적은 밑천을 들여 큰 이익을 얻는다는 뜻
59. 이향이객(異鄕異客)
- 이향(異鄕)은 타향(他鄕)과 같은 뜻으로 여행 중의 몸이란 뜻
60.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61. 익자삼우(益者三友)
- 사귀어 보탬이 되는 세 벗. 정직한 사람, 신의 있는 사람, 학식 있는 사람
62. 인고부지족(人苦不知足)
- 사람은 물질에 만족치 못하는 것을 괴롭게 여긴다는 뜻
63. 인과응보(因果應報)
- 좋은 원인에는 좋은 결과가 나오고, 나쁜 원인에는 나쁜 결과가 나옴
64. 인면수심(人面獸心)
- 허울은 좋으나 속마음이 음흉한 사람
65. 인모난측(人謀難測)
- 사람의 마음은 간사함을 헤아리기 어려움
66. 인지상정(人之常情)
-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마음
67. 일거양득(一擧兩得)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의 이득을 봄 ☞일석이조(一石二鳥)
68. 일도양단(一刀兩斷)
- 한 칼에 둘로 나뉘듯이 일이나 행동을 선뜻 결정함을 가리키는 말
69. 일망무제(一望無際)
-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70. 일망타진(一網打盡)
- 한 그물에 모조리 잡음
71. 일면여구(一面如舊)
- 서로 모르는 사람이 처음 만나되 옛 벗처럼 친밀함
72. 일모도원(日暮途遠)
- 날은 저물었는데 갈 길은 멀음. 이미 늙어서 앞으로 목적한 것을 쉽게 달성 못함
73.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 어진 사람을 맞아들임에 열심임
74. 일사천리(一瀉千里)
- 물이 단번에 흐르는 것처럼 일의 처리가 매우 빠름
75.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 날로 새로워짐 ☞일취월장(日就月將)
Ⅶ. 한글 아 한자숙어
1. 연포지목(連抱之木)
- 아름드리 되는 큰나무 
2. 염화시중(捻花示衆)
- 염화미소와 같은 말. 이심전심의 묘처를 말한 것. 석가가 연화를 들어 제자들에게 보였으나, 아무도 그 뜻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 때, 가섭만이 홀로 미소를 뗬으므로, 석가가 그에게 불교의 진리를 주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3. 오풍십우(五風十雨)
- 기후가 매우 순조로운 것. 또는 세월이 평화로움 
4. 외강내유(外剛內柔)
- 겉으로는 굳고 안으로는 부드러움 
5. 요산요수(樂山樂水)
- 산과 물을 좋아함 
6. 용두사미(龍頭蛇尾)
- 처음엔 그럴 듯하다가 종말이 흐지부지한 것 
7. 용전여수(用錢如水)
- 돈을 물 쓰듯 함 
8. 우로풍상(雨露風霜)
- 모든 경험 
9. 우이송경(牛耳誦經)
- 쇠 귀에 경 읽기. 우이독경(牛耳讀經) 
Ⅷ. 한글 아 사훈
인화단결 기술향상 성실시공
인화단력 책임완수 창의개발
일등기술 성실시공 고객만족
일류 직원 일류 성장
愛己愛他(애기애타 : 옛것을 익혀 그것으로 새로운 것을 알아라)
良農不爲水早不耕(양농불위수조불경 : 훌륭한 농부는 홍수나 가뭄을당해도 밭을 가는 손을 멈추지 않는다)
言必忠信行必誠實(언필충신행필성실 : 말은 반드시 진실하고 미덥게하고, 행실은 반드시 참되고 진실하게 하라)
染常淨(염상정 :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 하라)
念成執一(염성집일 : 한가지 일에 생각을 모으면 이루어진다)
禮不可廢(예불가폐 : 어느 때 어느 장소 에서나 예의를 지켜라)
禮失則昏(예실칙혼 : 사람이 예의를 잃으면 뜻을 잃고 혼란해진다.(예의를 잃지 말라는 뜻)
吾唯知足(오유지족 : 남과 비교하지 말고, 오직 자신에 대해 만족함을 알라)
欲觀千歲,則審今日(욕관천세,칙심금일 : 먼 장래 일을 알고자 한다면 우선 오늘의 일을 명확하게 알도록 하라)
欲尊先謙(욕존선겸 : 남에게 존경을 받고자 하면, 먼저 겸손하라)
참고문헌
김상규 / 학습 동기 촉진을 위한 사자성어 활용의 경제교육,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8
이영호 / 잠언과 동양의 격언, 대한기독교서회, 2009
이신유 / 명문,명언에 사용된 수사 기법 분석, 홍익대학교교육연구소, 2001
유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고사성어의 대조 연구, 상명대학교, 2011
진위명 / 한국 한자성어의 개념과 범위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1
황지민 / 속담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방법 연구, 청주대학교, 2011

키워드

한글,   ,   격언,   속담,   명언
  • 가격9,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