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배드민턴 용어]배드민턴의 용어, 배드민턴의 장비, 배드민턴의 썸업, 배드민턴의 리스트 콕, 배드민턴의 그립, 배드민턴의 득점, 배드민턴의 체인지 엔드, 배드민턴의 플라이트, 배드민턴의 교육(지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배드민턴 용어]배드민턴의 용어, 배드민턴의 장비, 배드민턴의 썸업, 배드민턴의 리스트 콕, 배드민턴의 그립, 배드민턴의 득점, 배드민턴의 체인지 엔드, 배드민턴의 플라이트, 배드민턴의 교육(지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배드민턴의 용어
1. 다운(Down)
2. 더블 터치(Double Touch)
3. 더블 히트(Double Hit)
4. 드라이브(Drive)
5. 드라이브 서브(Drive Serve)
6. 러브(Love)
7. 로우-숏 서브(Low Short Serve)
8. 라켓-밸런스(Racket Balance)
9. 러버(Rubber)
10. 러싱(Rushing)
11. 리턴(Return)
12. 랠리(Rally)
13. 레트(Ret)
14. 믹스드 더블즈(Mixed Doubles)
15. 믹스 업(Mix Up)
16. 매치(Match)
17. 매치 포인트(Match Point)
18. 보오크(Balk)
19. 버드(Bird)
20. 백 루움(Back Room)
21. 백 코트(Back Court)
22. 백 핸드(Back Hand)
23. 밴드(Band)
24. 베이스 라인(Base Line)
25. 스매쉬(Smash)
26. 스트로크(Stroke)
27. 스윙(Swing)
28. 슬링(Sling)
29. 세팅(Setting)
30. 쓰로우(Throw)
31. 아웃 사이드(Out Side)
32. 어택킹 클리어(Attacking Clear)
33. 오버 드라이브(Over Drive)
34. 오버 웨이스트(Over Waist)
35. 오버 헤드 스트로크(Over Head Stroke)
36. 오버 핸드(Over Hand)
37. 와이드(Wide)
38. 원 아웃(One Out)
39. 이닝(Inning)
40. 인 사이드(In Side)
41. 앨리(Alley)
42. 앨리 샷(Alley Shot)
43. 엔드(End)
44. 엔드 라인(End Line)
45. 에이스(Ace)
46. 체인징 코트(Changing Court)
47. 커트(Cut)
48. 크로스 코트(Cross Court)
49. 클리어(Clear)
50. 캐리(Carry)
51. 터칭 더 네트(Touching The Net)
52. 포어 코트(Fore Court)
53. 포어 핸드(Fore Hand)
54. 폴트(Fault)
55. 풀 게임(Full Game)
56. 풋 워크(Foot Work)
57. 플릭(Flick)
58. 피봇(Pivot)
59. 패싱 샷(Passing Shot)
60. 페시트(Facet)
61. 페이스(Face)
62. 하이 딥 서브(High Deep Serve)
63. 하이 딥 클리어(High Deep Clear)
64. 하이 롱 서브(High Long Serve)
65. 헤드 룸(Head Room)
66. 헤어 핀(Hair Pin)

Ⅲ. 배드민턴의 장비
1. 배드민턴장
2. 라켓
3. 셔틀
4. 복장

Ⅳ. 배드민턴의 썸업과 리스트 콕

Ⅴ. 배드민턴의 그립
1. 이스턴 그립(Eastern grip)
1) 포어핸드 그립(forehand grip)
2) 백핸드 그립(backhand grip)
2. 웨스턴 그립(western grip)

Ⅵ. 배드민턴의 득점

Ⅶ. 배드민턴의 체인지 엔드

Ⅷ. 배드민턴의 플라이트
1. 클리어
1) 하이 클리어
2) 드리븐 클리어
2. 스매시
3. 드라이브
4. 네트 숏
1) 헤어핀 숏
2) 크로스코트 네트숏

Ⅸ. 배드민턴의 교육(지도)
1. 목표
1) 심동적 목표
2) 인지적 목표
3) 정의적 목표
2. 준비운동 및 보강운동
3. 스트로크 동작의 구분
1) 백스윙
2) 포워드 스윙
3) 임팩트
4) 팔로스루
4. 셔틀 쳐보기
5. 스윙 익히기
6.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2) 클리닉
3) 과제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음 라켓 면이 셔틀이 빠져나가는 방향에 따른 구분이다.
면의 방향에 따라 셔틀 방향이 결정된다.
셔틀콕이 하나가 아니라 3개 이상 한꺼번에 쳐내는 형식으로 스윙한다.
셔틀콕이 라켓에 오래 머무를수록 셔틀콕의 통제와 힘 전달이 좋아진다.
손목을 견고히 한다.
셔틀콕을 보내는 방향으로 몸 전체를 돌리면서 스윙한다.
(1)오버 헤드
타구 후에는 라켓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기본자세로 되돌아간다.
(2)언더 핸드
팔로스루에서 라켓을 위로 휘두르지 말고 왼쪽 사이드로 휘둘러 뺀다.
(3)사이드 암
팔로스루는 짧게 하고 라켓이 쳐지지 않도록 팔꿈치를 올려 조절한다.
4. 셔틀 쳐보기
설명과 시범 후 연습을 하도록 한다.
5~10분 실시한 후 다음 동작으로 넘어간다.
잘 안될 경우 개별 지도나 추가적인 시간할애를 하여 연습한다.
1)한쪽 면으로 치기
2)양쪽 면으로 치기
3)5m 높이 치기
4)걸어 다니면서 치기
5)공중에 매달고 치기
6)벽에 치기
셔틀 쳐보기 지도시 요점
배드민턴 셔틀콕은 콜크에 깃털이 16개 붙어 있어 콜크의 구조상 저항력이 높기 때문에 경기 중 셔틀을 강하게 치면 빠르게 날아가지만 스피드가 차츰 줄어들게 되어 결국은 수직으로 낙하하게 되는 특수한 현상을 설명한다.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라켓 면이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한다.
셔틀콕이 일정한 궤적을 그리기 위해서 타점이 일정하고 라켓 중앙에 맞는지 확인한다. 특히 시선은 셔틀콕과 라켓면이 닿는 순간을 확인한다.
5. 스윙 익히기
2인 1조로 팀을 구성해준다.
설명과 시범 후 연습을 하도록 한다.
5~10분 실시한 후 다음 동작으로 넘어간다.
잘 안될 경우 개별 지도나 추가적인 시간할애를 하여 연습한다.
(1)거울 앞에서 스윙
(2)벽 앞에서 스윙
(3)라켓에 맞추기
(4)연결하기
(5)벽에 치기
6. 평가 및 클리닉
1) 평가
다음의 평가에서 ‘상’은 가장 이상적인 동작을 의미하며 ‘중’은 지속적으로 교정을 필요로 하지만 다음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수준이며, ‘하’는 클리닉을 참고로 하여 더 많은 연습이 필요한 수준을 나타낸다.
등급



평가기준
그립을 잡을 때 엄지와 검지모양이 V자로 자연스럽게 쥔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하면서 30회 이상 계속할 수 있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라켓 중앙에 잘 맞춘다.
그립을 잡을 때 엄지와 검지모양이 V자가 되지 않는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하면서 20회 이상 계속할 수 있다.
손목과 어깨에 과도하게 힘을 주며 타점이 일정하지 않다.
섬업과 리스트 콕을 정확하게 구사하지 못하고 10회 미만이다.
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 있고 주먹을 쥐듯이 그립을 하고 있다.
2) 클리닉
동작
셔틀 익히기
수정내용
섬업과 리스트 콕이 정확하게 구사되도록 한다.
오른손 검지손가락이 건 그립(gun grip)이 되도록 한다.
손목과 어깨에 힘을 빼며 타점이 일정하도록 한다.
팔과 어깨 특히 손목에 힘을 빼고 라켓 중앙에 맞추도록 한다.
3) 과제
스텝과 함께 스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연습을 하면서 임팩트에 초점을 둔다.
스윙 익히기 지도시 요점
옆 사람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랠리는 상대방이 받기 쉬운 곳으로 보내서 오래 계속되도록 한다.
라켓 면이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그립을 확인한다.
반작용의 원리: 백핸드를 구사하기 위해 오른팔을 왼쪽으로 당길 때, 왼팔은 가슴을 껴안듯이 가슴 앞에서 양팔을 교차시킨 후 포워드 스윙 시 오른팔이 네트 방향을 향할 때 왼팔은 왼쪽으로 돌아온다. 이 반작용이 오른팔의 스윙에 더욱 많은 힘을 부여하게 되므로 백핸드에서 매우 중요하다.
Ⅹ. 결론
흔히 배드민턴이란 골목길에서 하는 어린이들의 가벼운 유희정도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배드민턴 경기의 절묘한 기술을 대할 기회가 없었거나 실내에서 실제로 배드민턴 경기에 임해 보지 않은 사람들의 생각이다. 배드민턴의 셔틀콕은 한줄기의 바람에도 영향을 받는가 하면 스피드에 있어서는 시속 0 - 260km 사이의 변화를 연출해 내기도 한다. 하얀 셔틀이 만들어 내는 변화무쌍한 선과 우아한 율동의 조화는 가히 신체예술의 극치라고 해도 좋은 것이다. 그러나 겉으로 드러나는 배드민턴의 격조 높고 우아한 모습 뒤에는 농구경기에 버금가는 격렬함이 숨쉬고 있다. 그리고 현대의 수많은 스포츠종목 중에서도 배드민턴이 훌륭한 스포츠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면은 무엇일까?
그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①첫째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신체적 건강 유지의 측면이다. 배드민턴 경기는 달리기, 도약, 몸의 회전 및 굴곡과 신전으로 이루어져 진신운동을 하게 됨으로서 우리 몸의 형태적인 변화는 물론 기능적인 변화를 가져다준다. 또한 신경계의 발달과 함께 호흡순환계의 발달에 도움이 되고 내장기관을 튼튼하게 한다.
②두 번째로 정신적 건강의 유지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복잡하고 기계화된 현대생활은 근원적인 인간의 활동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극심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배드민턴의 활동형태가 달리고 치는 동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괴적 욕구의 해소는 물론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함으로써 많고 밝은 정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③세 번째로 배드민턴 경기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네트를 가운데 두고 신체적인 접촉 없이 행하여지는 운동경기로서 신사적인 인간성 함양에 도움을 주며, 많은 인원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족, 직장 등의 집단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행할 수 있어 훌륭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민주시민의 자질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신해기(2000), 배드민턴 10계명, 대한운동사협회
○ 이종현(2011), 생활체육 배드민턴·축구 참여가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 이병룡(1999), 배드민턴의 기원과 조직화, 경상대학교
○ 전월식(2009), 배드민턴 지도자의 리더십과 선호도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 정익수(2005), 배드민턴 드롭샷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충남대학교
○ 하명일(2009), 배드민턴 마니아의 참여정도와 재미요인 및 운동중독의 관계, 수원대학교
  • 가격9,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7.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