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생장(식물성장)과 환경요인, 길항과 경합,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생장저해,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참외발효, 식물생장(식물성장)과 민들레추출액, 식물생장(식물성장) 사례,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수질오염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생장(식물성장)과 환경요인, 길항과 경합,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생장저해,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참외발효, 식물생장(식물성장)과 민들레추출액, 식물생장(식물성장) 사례,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수질오염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식물생장(식물성장)과 환경요인

Ⅲ. 식물생장(식물성장)과 길항과 경합
1. 젖산균(혹은 산 생성균)과 부패균의 길항
2. 효모의 길항
3. 쌀코오지에서 국균과 효모의 영양적 경합과 길항
4. 효모와 젖산균의 경합

Ⅳ.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생장저해
1. 야생 할미꽃의 생장을 저해하는 농촌 환경 및 생활 변화 조사
2. 농촌의 생활 변화에 따른 생태 환경 변화
1) 제초제 사용에 따른 할미꽃 생장 저해 사례
2) 농로가의 환경 변화
3) 시골 길 폐쇄에 따른 식물 서식지 감소
4) 시골길 포장에 따른 식물 서식지 감소

Ⅴ.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참외발효

Ⅵ. 식물생장(식물성장)과 민들레 추출액
1. 민들레 추출액에 의한 종자발아와 유식물 생장
2. Phenolic compounds에 의한 종자발아와 유묘․유근의 생장

Ⅶ.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사례
1. 수광형태에 따른 식물생장
2. 토양 수분량에 따른 식물생장

Ⅷ.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수질오염 사례
1. 씨앗의 종류
2. 수질에 따른 싹트기 비교
3. 물 속에서 싹트지 않는 씨앗을 싹트게 하는 방법
1)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싹트기 관찰
2) 물 속 산소 공급량에 따른 싹트기 관찰
4. 수질에 따른 식물의 재배 관찰
5. 물 속에서 싹트는 씨앗과 싹트지 못하는 씨앗의 종류
6. 물의 깊이에 따른 싹트기 비교
7. 수질별 싹트기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을 뿐만 아니라 이들 화합물이 원인이 되어 자생 민들레와 주변식물에 대한 발아와 유식물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생종인 자생 민들레에 대한 귀화종인 서양 민들레의 잠식 원인들 중 이러한 allelopathy 현상이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Ⅶ.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사례
1. 수광형태에 따른 식물생장
각 구간에 주목에 필요한 수광량과 토양 수분량을 조건을 달리 하였다. 수광량의 차이를 주기 위해 크게 3등분 하였는데 Ⅰ,Ⅳ,Ⅶ 구간에는 비음망을 전혀 치지 않아 자연 그대로 직사광선에 노출 시켰고 Ⅲ,Ⅵ,Ⅸ 구간에는 묘목이 식재 된 부분의 서쪽편에 비음망을 벽처럼 만들어 일시적으로 직사광선에 노출되도록 차이를 주어 편광의 효과를 주었다. Ⅱ,Ⅴ,Ⅷ 구간은 전체적으로 비음망을 덮어 씌어 계속적으로 태양빛에 노출을 막아 산란광의 효과를 주었다.
2. 토양 수분량에 따른 식물생장
토양 수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시재료가 식재된 묘포에 고랑을 만들고 시험구에 따라 인위적으로 관수 하였다. Ⅰ,Ⅱ,Ⅲ 구간은 고랑이 항상 축축한 상태가 유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Ⅳ,Ⅴ,Ⅵ 구간은 천연 상태의 토양수분을 측정하여 다른 시험구와 토양수분에 따른 묘목의 생장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Ⅰ Hu1*Li1
Ⅱ Hu1*Li2
ⅢHu1*Li3
ⅣHu2*Li1
ⅤHu2*Li2
ⅥHu2*Li3
ⅦHu3*Li1
ⅧHu3*Li2
ⅨHu*Li3
Ⅰ: 직사광선 * 토양수분유지 Ⅱ: 산란광 * 토양수분유지 Ⅲ: 편광 * 토양수분유지
Ⅳ: 직사광선 * 고랑 Ⅴ:산란광 * 고랑 Ⅵ: 편광 * 고랑
Ⅶ: 직사광선 * 천연상태 Ⅷ: 산란광 * 천연상태 Ⅸ: 편광 * 천연상태
Ⅷ.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수질오염 사례
1. 씨앗의 종류
자연과 교재를 중심으로 아동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씨앗을 선정하여 가정, 종묘상 등에서 구입하고 씨앗 보관 상자에 저장해 두고 사용하였다.
종 류
곡식류
채소류
화초류

씨앗별 내용
벼, 보리, 강낭콩, 콩, 땅콩, 완두콩
무, 배추, 상추, 수박, 참외, 오이
과꽃, 코스모스, 수세미, 분꽃, 나팔꽃,
봉선화, 만수국, 금잔화
수량
6종
6종
8종
20종
구 입 처
가정.종묘상
가정.종묘상
가정.종묘상
2. 수질에 따른 싹트기 비교
1) 물 속에서 싹 틀 수 있는 씨앗을 수질에 따라( 시골 개울물, 수돗물, 생활하수, 공장 폐수 ) 싹트기를 관찰하였다.
2) 실험에 이용된 물은 경상남도 보건 환경 연구원의 협조를 얻어 COD, BOD, PH, DO 를 측정하였다.
3) 하천수의 COD 측정
4) 원자 흡광 광도계를 이용한 하천수중의 중금속 측정
5) 가스 크로마토 그래프를 이용한 유기 화합물 측정
6) BOD 시료를 5일간 부란시키고 있는 BOD Incubator
7) 분광 광도계를 이용한 불소등 오염 물질 측정
8) PH meter 를 이용한 PH 측정
9) DO meter 를 이용한 하천수의 용존 산소 측정
3. 물 속에서 싹트지 않는 씨앗을 싹트게 하는 방법
1) 물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싹트기 관찰
(1) 물 속에서 싹튼 씨앗 5종(벼, 무, 배추, 봉선화, 만수국), 물 속에서 싹트지 못한 씨앗 5종( 보리, 콩, 수박, 수세미, 나팔꽃 ) 을 실험 대 상으로 하였다.
(2) 위 실험 세트에서 온도 조절기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별(23℃, 25℃, 27℃, 29℃) 로 싹트기를 관찰하였다.
2) 물 속 산소 공급량에 따른 싹트기 관찰
(1) 실험 대상은 물 속에서 싹트지 못한 씨앗 6종( 보리, 콩, 완두콩, 강낭콩, 나팔꽃, 코스모스 ) 과 수질별 싹트기 관찰에서 싹트지 못한 씨앗과 싹틈이 약한 씨앗 9종( 벼, 무, 배추, 상추, 오이, 참외, 봉선화, 만수국, 금잔화 ) 으로 하였다.
(2) 실험 세트에서와 같이 산소 공급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대량 공급, 용 존 산소에 따른 싹트기를 관찰하였다.
4. 수질에 따른 식물의 재배 관찰
1) 위와 같은 재배 상자에 실험용 씨앗을 재배하고 시골 개울물, 수돗물, 생 활 하수, 공장 폐수 등을 공급하여 수질에 따른 식물의 생장을 비교 관찰 하였다.
5. 물 속에서 싹트는 씨앗과 싹트지 못하는 씨앗의 종류
1.1 물 속에서 싹튼 씨앗과 싹트지 못한 씨앗의 종류
종 류
곡식류
채소류
화초류

싹 튼 씨 앗

무, 배추, 상추, 오이, 참외
봉선화, 만수국, 금잔화
9
싹 트 지 못 한 씨 앗
보리, 강낭콩, 콩, 땅콩, 완두콩
수박
과꽃, 코스모스, 수세미, 분꽃, 나팔꽃
11
1) 벼 이외에도 물 속에서 싹트는 씨앗이 많이 있다.
2) 채소류가 물 속에서 싹이 잘 트며 곡식 중 콩 종류는 싹이 트지 않고 썩 는다.
3) 물 속에서 가장 빨리 싹튼 씨앗은 배추(2일)이고 늦게 싹튼 씨앗은 벼(8일)이고 보통 3-4일 걸린다.
6. 물의 깊이에 따른 싹트기 비교
1) 물의 깊이가 얕을수록 싹이 잘 튼다.
2) 만수국은 깊은물( 25㎝ ) 에서도 싹이 튼다.
3) 물 속에서의 싹트기는 물의 압력과도 관계가 있다.
7. 수질별 싹트기 비교
수질별 싹트기
시골 개울물
실험 씨앗 9종
모두 싹틈
수 돗 물
실험 씨앗 9종
모두 싹틈
생 활 하 수
실험 씨앗 9종 모두
싹이 텃으나 싹틈이
아주 약하며 싹트는
데 걸린 시간이 김
(발아율 10% 정도)
공 장 폐 수
실험 씨앗 9종 모두
싹이 텃으나 싹틈이
약하며 싹트는데 걸
리는 시간이 김
(발아율 18% 정도)
1) 물이 오염되면 씨앗이 싹트지 못한다.
2) 공장 폐수 지역이 가장 오염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으나 의외로 생 활하수 지역이 더 심각하다.
참고문헌
- 권성환(2001), 식물의 세계, 아카데미서적
- 김순영, 한규웅 외 2명(2012), 식물생리학 실험, 월드사이언스
- 박홍덕, 정병갑 외 3명(2007), 요점으로 배우는 식물 형태학, 월드사이언스
- 이인구(2007), 미생물 유래 식물 생장 조절 인자 연구, 경북대학교
- 장덕환(2007),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s) 에 대해서, 한국골프장경영협회
- Peter Scott 저, 김명원 역(2012), 식물생리학, 라이프사이언스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