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의 거래제도, 농산물유통의 활성화, 농산물유통의 정책,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상품생산, 농산물유통의 교육과정,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유통과, 농산물유통의 농업직인력수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의 거래제도, 농산물유통의 활성화, 농산물유통의 정책,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상품생산, 농산물유통의 교육과정,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유통과, 농산물유통의 농업직인력수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농산물유통의 거래제도

Ⅲ. 농산물유통의 활성화
1. 유통활성화를 위한 기본방향
2. 물류시스템의 개선
1) (공동)물류센터 설치․운영
2) 산지유통센터의 활용
3) 농산물의 정보체계 구축
3. 품질관리제도 개선
1) 품질관리제도의 정비
2) 품질관리제도의 홍보
4. 판매망의 확충과 판촉활동 강화
1) 판매망 확충
2) 판촉활동 및 농산물 차별성 교육 강화
5. 유통 관련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개선

Ⅳ. 농산물유통의 정책
1. 우리나라 농산물 유통정책
1) 농산물 유통정책의 개념
2) 농산물 유통정책의 목적
2. 농산물 유통정책과 정부의 기능
1) 농산물 유통 통제기능
2) 농산물 통제조성기능
3) 경쟁을 유지해 주는 기능

Ⅴ.농산물유통의 농산물상품생산
1. 1910년경
2. 조선후기
3. 20세기 초

Ⅵ. 농산물유통의 교육과정

Ⅶ.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유통과
1. 성격
2. 내용
1) 농산물 유통의 기초
2) 농산물 유통 기능과 조직
3) 공동 판매와 협동조합 유통
4) 농산물 유통 정보
5) 우리나라의 농산물 유통
6) 국내외 농산물 유통의 변화와 전망
3. 연계 과목

Ⅷ. 농산물유통의 농업직인력수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Ⅶ. 농산물유통의 농산물유통과
1. 성격
농산물 유통 관련 학과의 학생이 ‘유통 관리Ⅰ’, ‘유통 관리 Ⅱ’ 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초 과목이며, 다른 학과의 학생에게는 농산물 유통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총론적 성격의 기초 이론 중심 과목이다.
2. 내용
1) 농산물 유통의 기초
⑴ 농산물 유통의 의의
⑵ 농산물의 생산, 소비, 교역 및 가격 결정
2) 농산물 유통 기능과 조직
⑴ 농산물 유통 기능
⑵농산물 유통 구조와 조직
3) 공동 판매와 협동 조합 유통
⑴공동 판매의 의의와 종류
⑵ 공동 판매의 실태
⑶ 협동 조합 유통
4) 농산물 유통 정보
⑴농산물 유통 정보의 종류
⑵농산물 유통 정보의 활용
5) 우리 나라의 농산물 유통
⑴ 양곡 유통
⑵ 청과물 유통
⑶ 화훼류 유통
⑷ 축산물 유통
⑸ 가공 식품 유통
⑹ 농업 생산 자재 유통
6) 국내외 농산물 유통의 변화와 전망
⑴ 외국의 농산물 유통
⑵ 국내의 농산물 유통
3. 연계 과목
유통 관리Ⅰ, 유통 관리 Ⅱ
Ⅷ. 농산물유통의 농업직인력수요
농산물 유통 관련 직종의 인력수요는 먼저 농업직의 인력수요 추이를 살펴본 후 농업인력 중 농산물 유통 관련 직종의 인력수요 추이를 살펴보는 과정을 택했고, 농업정보 분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의 농업정보의 개념, 정의, 직종 분류가 자세히 이루어지지 않아 secondary data인 정보인력의 추이로 농업정보의 인력수요를 유추해 보고자 한다.
농업직에 대한 인력수요 추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보고서로 작성된 ‘농업부문 장기 인력수급에 관한 연구’와 과학기술처의 ‘장기 인력수급 전망’ 그리고 한국개발연구원의 ‘복지사회의 인력정책과 취업안정’을 근간으로 하여 인력수요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부문 장기 인력수급에 관한 연구’에서 보면, 농업직의 인력추정을 농업생산업 및 농업관련(관계)산업의 생산액에 각 산업별 고용계수를 곱하면 산업별 고용량(수요량)을 얻을 수 있다. 고용계수는 한국은행의 ‘산업 안전관련표’에 나타난 자료를 이용하였고, 산업별 고용계수도 또한 산업은행의 ‘산업구조 변화와 정책방향’에서 추정한 결과를 이용하였다.
농산업에서 농업 산업과 농업관련 산업의 생산액 추이를 알 수 있는데 농업관련 산업을 농산업 전체에 대비해 보면 39.5%에서 49.4%으로 변하면서 농업생산업보다 농업관련 산업의 생산액 추이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농업관련 산업 생산액 추이 중에 농업관련 유통산업의 생산액은 1,449억원~14,118억원으로 생산액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농업생산부문 취업자는 연 3.14%씩 감소하지만, 농산물 가공 산업의 취업자는 2.86%, 농업자재산업은 5.32%, 농업관련 유통산업의 취업자는 0.86%씩 증가하여 농업생산 및 농업관련 산업의 취업자수는 5,078천명에서 4,337천명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농업관련 유통산업의 취업자수는 375.1천명~404.2천명으로 기복이 있으면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고용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분야는 농기계산업(연 7.6%), 화학비료산업(연 5.28%) 등이고 축산가공(연 4.10%)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농업관련 산업 중 농산물 유통 관련 산업인 농산물 및 농업자재 판매 산업은 287,420명이 종사하던 것이 378,026명으로 차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운수 및 보관(저장)산업은 103,575명이던 것이 26,126명으로 차츰 감소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운수 및 보관(저장)산업이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농업관련 산업에서 농업정보 직종에 대한 인력수요 추정은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이 없어 이론적 배경에서도 고찰했지만 농업정보의 범위에서 살펴볼 때 농업정보를 농업분야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 정보 관련 지식과 이용지식을 보아야 하기 때문에, 정보 관련 인력수요를 살펴봄으로써 정보 속의 농업정보 관련 인력수요 추이를 살펴보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어진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의 정보처리 인력 현황과 전망조사에서 보면 한국정보산업연합회에서는 정보처리 인력을 대상으로 정보 직종을 구분하여 인력실태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산업계 기업(138개)와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업(202개)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정보처리 인력을 시스템컨설턴트, 시스템분석가, 시스템엔지니어, 프로그래머, 오퍼레이터, 키펀처, 전문분야 기술자 등의 직종으로 구분하고 정의함으로써 미시적 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90.6.30을 기준시점으로 조사한 결과, 직종별 구성비를 보면 프로그래머가 34.8%로 가장 큰 비중을 점하고 있으며 시스템분석가, 시스템컨설턴트, 프로젝트관리 등의 고급직종은 17.3%와 6%에 그치고 있다. 또한 향후 5년간의 인력수요 증가율은 연평균 22%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는 국내 정보관련 업종의 예상증가율로서 이 분야의 원활한 인력공급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정보처리인력의 부족정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정보 산업계나 컴퓨터 이용 기업 모두가 전 직종에 걸쳐 정보처리 인력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현재인원에 대한 부족인원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부족율이 평균 42.1%에 달하고 있는데 정보산업 관련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상의 인력수요 추이를 통해 농업관계직의 농산물 유통 및 농업정보 부분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권원달, 주요국의 농산물 유통정보 체계, 농수산물유통공사, 1993
김규창, 농산물 유통 및 농업개발센터 조성을 위한 사례연구, 대구경북마케팅학회, 2001
박법제, 소비자 만족도 제고를 위한 농산물유통구조의 개선방안, 건국대학교, 2009
배흥규, WTO 체제하 농산물 유통정책의 방향, 동아대학교, 1996
이강권, 농산물 유통체계 제고를 위한 대형유통매체의 개선방안, 건국대학교, 2008
조창욱, 농산물 유통구조의 합리화방안, 고려대학교, 1979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