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민속문학][민속예술][전통예술][민속축제][민속놀이][전통놀이][민속화][민속극][민속춤][문학][예술][축제]민속문학, 민속예술(전통예술), 민속축제, 민속놀이(전통놀이), 민속화, 민속극, 민속춤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민속문학][민속예술][전통예술][민속축제][민속놀이][전통놀이][민속화][민속극][민속춤][문학][예술][축제]민속문학, 민속예술(전통예술), 민속축제, 민속놀이(전통놀이), 민속화, 민속극, 민속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속문학
1. 정의
2. 종류
3. 존재양상
4. 민속문학의 성격
5. 말의 뜻

Ⅲ. 민속예술(전통예술)
1. 외국의 국제민속예술제 개최 현황
2. 국내의 국제민속예술제 개최 현황

Ⅳ. 민속축제

Ⅴ. 민속놀이(전통놀이)
1. 아이놀이
1) 남아놀이
2) 여아놀이
2. 어른놀이
3. 마당놀이
1) 정월놀이
2) 단오놀이
3) 추석놀이
4) 곡예

Ⅵ. 민속화
1. 작가명
2. 작품명
3. 시대적 배경
4. 작품의 조형성
5.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정과 분위기
6. 작품의 의미나 상징
7. 작품의 미술사적 또는 개인적 의미

Ⅶ. 민속극
1. 개념
2. 특징
1) 전승 방법
2) 대사의 주된 표현 방법
3) 극의 형태
4) 연의 방법
5) 주된 정신 내용
6) 향유 계층

Ⅷ. 민속춤
1. 조사방법
2. 조사결과
1) 교사들은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에서의 어려움을 느낀다
2)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자료 선호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마당놀이
1) 정월놀이
연날리기, 기마전, 편싸움, 고싸움놀이, 동채싸움, 쇠머리대기(6종)
2) 단오놀이
씨름, 그네놀이, 길쌈놀이(3종)
3) 추석놀이
줄다리기, 가마싸움, 장치기(3종)
4) 곡예
줄타기, 죽방울받기, 장대타기, 마상재(3종)
Ⅵ. 민속화
1. 작가명
변상벽
2. 작품명
고양이와 참새
3. 시대적 배경
18세기 후반-즉 조선 후기에는 한국 미술이 가장 융성하게 발전한 시기이며, 대중들에게 알려진 화가들이 가장 많이 배출된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18세기 후반 조선 후기에는 실학사상과 함께 사실론이 대두되어 사실주의적 기법이 유행하였고, 역사적으로 중국의 화풍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화풍이 발전하였다.
4. 작품의 조형성
S자형으로 뒤틀며 올라간 나무는 먹으로 거칠게 표현되었고 가운데 부분을 하얗게 남겨놓아 나무의 뒤틀린 모양새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나무를 기어오르다 내려다보는 고양이와 고개를 돌려 그를 올려다보는 고양이들의 눈동자에서는 살아있는 듯한 생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농담을 살려 힘차게 표현된 나뭇가지와는 대조적으로 고양이의 털 하나하나를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나뭇가지 위의 참새 여섯 마리의 동작 표현도 매우 생동감이 있다.
나무와 나무 아래에 있는 고양이가 조화를 이루어 안정감이 있는 구도를 나타내며, 여백은 안정감을 더욱 강조한다.
5. 작품에서 느껴지는 감정과 분위기
나뭇가지 위에 앉아 조잘거리는 듯한 참새 모습에서 고양이를 보면 날아가 버릴 듯한 생동감이 느껴진다. 나무를 기어오르는 고양이가 위를 올려다보는 고양이의 시선(?)을 깨닫고 나무에 매달린 채 놀란 눈으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 같다.
나무에 매달린 고양이를 올려다보는, 바닥에 있는 고양이의 태도와 눈빛이 너무 사실적이라 놀랍다.
배경이 전혀 없고 나뭇가지 뒤로는 모두 여백으로 남겨두어 배경이 매우 고요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고양이와 참새가 눈에 잘 띄고 생동감이 더 살아나는 것 같다.
6. 작품의 의미나 상징
고양이와 참새 그림은 고양이를 뜻하는 한자인 ‘묘’가 70세 노인의 뜻인 ‘모’ 와 중국어 발음이 같기 때문에 70세 노인을 뜻하며, 기쁨을 뜻하는 참새 ‘작’과 까치 ‘작’의 음이 같은 것을 이용하여 고희 축하용의 그림으로 제작되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7. 작품의 미술사적 또는 개인적 의미
변상벽은 18세기에 동물을 잘 그리는 것으로 유명하였는데, 특히 닭과 고양이 그리기를
즐겨하였기 때문에 변고양이, 변계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변상벽은 이암과 함께 동물화의 쌍벽을 이룬다.
Ⅶ. 민속극
1. 개념
(1) 가장한 배우가 대화와 몸짓으로 사건을 표현하는 전승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전통극이라고도 한다.
(2) 이것의 유형으로는 무극, 가면극, 인형극, 창극 등이 있다.
(3) 무극은 굿에서 연행되던 굿놀이를 말하며, 가면극은 각 지역에서 행해지던 탈놀이를, 인형극은 남사당이라는 유랑 연예 집단에 의해 연희된 <박첨지극>을 말한다.
2. 특징
민속극은 농민이나 사당 등의 서민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나아가서 서민들을 관중으로 삼았기 때문에 서민들의 언어와 삶의 모습이 생생히 드러나 있다. 또한, 관중들을 오락적으로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어야 했기 때문에 자연히 거기에 알맞은 넉살이 있고 신명이 있고, 또한 상류 계층에 대한 심리 보상적인 비판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1) 전승 방법
구전, 세습
2) 대사의 주된 표현 방법
풍자와 해학
3) 극의 형태
무극, 가면극, 마당극, 인형극
4) 연의 방법
춤, 대사, 음악
5) 주된 정신 내용
서민 정신, 풍자와 해학의 정신
6) 향유 계층
평민
Ⅷ. 민속춤
1. 조사방법
기초 실태조사 내용 및 방법
내 용
‘한국의 춤사위’ 학습자료 선호도
‘한국의 춤사위’ 교수학습에서의
어려움 인식
대 상
인천시 초등학교 담임교사 20명
인천시 초등학교 담임교사 20명
도 구
설문지
(연구자 자작)
설문지
(연구자 자작)
방 법
설문내용분석
설문내용분석
시 기
2002. 11
2002. 11
2. 조사결과
1) 교사들은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에서의 어려움을 느낀다
교사들이 ‘우리나라 민물고기’ 교수학습에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을 설문 조사한 결과이다. 교사들이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에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학습 자료의 부족과 실물자료를 보여 줄 수 없어 이해도가 낮아진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실물자료를 대신할 수 있는 보다 쉽고 흥미 있게 학습할 수 있는 적절한 자료의 개발이 절실하다.
2)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자료 선호도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자료 선호도를 연구자가 자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기존의 자료가 아닌 자료를 개발하려고 할 때 어떤 자료가 가장 효과적일까?’를 질문한 것이다.
또한 VCR 자료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선호하는 이유를 설문하였다.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에서 교사들은 VCR자료와 멀티미디어자료가 35%씩으로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VCR자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학습 내용을 정확히 보여주고 선명한 화질로 아동들의 인지도가 높다’라고 나타났다. 멀티미디어자료를 선호하는 이유는 ‘아동들의 흥미가 높고 개별화 학습이 쉽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춤사위’ 내용을 학습하기 위한 자료의 개발은 VCR 자료와 멀티미디어자료를 중심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VCR 자료는 다수 개발되어 있으나 멀티미디어자료의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며 개별화된 교수학습을 진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춤사위’ 교수학습 자료는 멀티미디어 자료가 적합할 것이다.
참고문헌
류정아(2009), 민속축제의 관광자원화 과정에 대한 비교문화적 고찰, 실천민속학회
박진태 외 1명(2003), 민속학 교육으로서의 민속극 교육, 비교민속학회
임재해 외 1명(2003), 민속문학의 교육적 기능과 문예 창조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정병흠(2011), 미술교육에서 민속예술의 활용 가치, 한국미술교육학회
한양명(2009), 한국 민속놀이 연구의 시각과 전망, 비교민속학회
황만영(1986), 한국과 인도의 민속화에 대한 비교연구, 한인문화연구회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