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김씨][가족 개념][가족 특징][가족 기능][부안김씨][김해김씨][우반동김씨][김홍도]가족의 개념, 가족의 특징, 가족의 기능, 김씨와 부안김씨, 김씨와 김해김씨, 김씨와 우반동김씨, 김씨와 김홍도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김씨][가족 개념][가족 특징][가족 기능][부안김씨][김해김씨][우반동김씨][김홍도]가족의 개념, 가족의 특징, 가족의 기능, 김씨와 부안김씨, 김씨와 김해김씨, 김씨와 우반동김씨, 김씨와 김홍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가족의 개념
1. 전통적인 가족 정의
2. 현대적인 가족의 정의

Ⅲ. 가족의 특징
1. 가족
2. 이익관계 아닌 가족구성원 간의 애정과 이해로 결합한다
3. 공동운명체적인 특성

Ⅳ. 가족의 기능

Ⅴ. 김씨와 부안김씨

Ⅵ. 김씨와 김해김씨

Ⅶ. 김씨와 우반동김씨

Ⅷ. 김씨와 김홍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문서를 폭 넓게 활용하고 있는 점 또한 높이 평가된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움이 있다면, 부안김씨 고문서를 이용하여 한 권의 저술을 완성하고 있으면서도 원자료에 대한 가치와 평가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전제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 이용된 고문서의 분량이 어느 정도인지, 또 현전하는 고문서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이 연구에서 전혀 드러나지 않는 향촌 관련 문서, 예컨대 부안지역 儒林들과 부안김씨와의 교류관계를 알 수 있는 자료라든가, 혹은 지역내에서 상당한 富를 축적한 것으로 보이는 부안김씨와 마을 주민과의 관계 등을 알 수 있는 문서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등등의 문제, 그리고 무엇보다도 부안김씨 고문서 자료의 성격과 특징이 먼저 전제되었을 때 보다 객관적인 자료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Ⅷ. 김씨와 김홍도
본관은 김해이며,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단구(丹丘) 서호(西湖) 고면 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畵士) 첩취옹(輒醉翁)이다. 만호를 지낸 진창(震昌)의 종손 이자 석무(錫武)의 아들이다. 김홍도는 김응환의 제자로서, 신라 때의 솔거 이후 우리 나 라 그림의 전통을 확립한 천재 화가이다. 당대의 감식자이며 문인화가인 호조참판 강세황(姜世晃)의 천거로 도화서화원(圖畵署畵員)이 된 그는 강세황의 지도 아래 화격(畵格)을 높이는 동시에, 그의 훈도 아래 詩文書畵를 익혔기 때문에 성리학적 소양을 어느 정도 몸 에 지닐 수 있었다.이를 바탕으로 조선성리학을 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던 진경시대 문화를 본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듯 하다. 29세인 1773년에는 영조의 어진(御眞)과 왕세자(뒤의 정조)의 초상을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監牧官)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司圃署)에서 근무하였다. 1781년(정조 5)에는 정조의 어진 익선관본(翼善冠本)을 그릴 때,한종유(韓宗 裕)신한평(申漢枰) 등과 함께 동참화사(同參畵師)로 활약하였으며, 찰방(察訪)을 제수받 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따라 단원(檀園)이라 하였 다. 1781년 정조의 초상화가로서 융숭한 대접을 받았으며, 1788년에는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산 등 영동일대를 기행하며 그곳의 명승지를 그려 바쳤다. 이듬해 역 시 왕의 명령으로 김응환과 함께 일본으로 가던 도중, 김응환이 죽자, 혼자서 쓰시마 섬에 가서 섬 지도를 그려 바쳤다. 그리고 1791년 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으며, 그 공으로 충청도 연풍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까지 봉직하였다. 한때 벼슬 에서 물러났다가 다시 왕의 명령으로 용주사의 벽화와 판화를, 1795년에는 5륜 행실도의 삽화와 판화를 그렸고, 그밖에도 여러 선비들의 초상화를 많이 그렸다. 그의 정교하고 호 탕한 작품으로서 현재 남아 있는 그림은 그가 20세 안팎에 그린 그림들이다. 현감 퇴임 후 만년에는 병고와 가난이 겹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여생을 마쳤다.
Ⅸ. 결론
가족은 역사적으로 볼 때 모든 사회의 가장 중심적인 사회제도였다. 대부분 개인들은 가족이라는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 가족은 개인들에게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친밀하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하고 사회와 중재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기 때문에 가족은 우리에게 가장 친밀한 것이어서, 의미를 내린다는 것 자체에 실효성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을 한마디로 정의 내린 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가족의 개념을 어느 한가지로 규정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가족의 개념을 가족의 구성과 역할에 따라 형태적 측면에서의 가족의 의미와 기능적 측면에서의 가족의 의미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구조 기능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마르크스주의 등에서는 가족을 어떻게 정의 내리고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참고문헌
◈ 김상환(2004), 간찰을 통해 본 부안김씨가의 교유관계,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혜영(2010), 한국가족의 특징과 가족정책의 주요 쟁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방규원(2007), 개정민법상 가족의 개념과 가족관계의 등록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 방동수(2004), 김해김씨·허씨·인천이씨 사성 김해김씨의 연원에 대하여, 동양예학회
◈ 이태호 외 1명(2007), 단원 김홍도의 예술활동과 업적, 그리고 화성, 수원학연구소
◈ 전경목(2012), 양반가에서의 노비 역할 : 전라도 부안의 우반동김씨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7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