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2-5-(2).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장애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업지도안] 2-5-(2).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장애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 및 단원명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page

2. 단원의 개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page

3.단원 설정 이유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page

4. 단원의 학습목표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page

5. 단원 교수 학습 계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page

6. 교육과정 내용분석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page

7. 교재연구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page

8. 지도상의 유의점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page

9. 단원 평가 계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page

10. 판서계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page

11. 본시 교수ㆍ학습 과정안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15page

12. 활동지 첨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6page

본문내용

특별한 시각으로 보는 차별화의 하나로 볼 수 있다고 해서 이러한 의견이 나왔는데요, 이러한 의견 또한 성공신화의 부담감을 장애우들에게서 덜어주기 위한 방안으로 볼 수 있겠어요.
T. 자, 지금까지 우리가 장애우들에 대한 인식이 그들에게 주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그럼 지금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가 장애우들을 향한 바람직한 시각은 무엇인지 누가 말해볼까요?
한 학생을 지목한다.
T. ○○가 발표해 보세요.
T. 네~잘말해주었어요. 우리는 사실상 장애인에 대한 동정적인 시각이 옳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들에 대한 특별한 기대 즉, 성공신화가 그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생각지 못했을 거예요. 그럼, 다같이 화면에 보이는 글을 읽어볼까요?
T.네, 이화면의 그림은 한 장애우가 다른 친구들의 시선 때문에 힘들어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요. 글과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장애우들에게 있어 신체적 장애보다 더 큰 장애는 우리 비장애인들의 시선이라고 해요. 자 이제 여러분들, 장애우들에 대한 올바른 시각이 무엇인 줄 알겠죠?
T. 네~그럼, 이제 이론적인 부분을 마치고, 다음선생님과 함께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이제는 우리가 직접 장애우를 만났을 때 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어요.
여러분들은 이미 장애우와 꽤 긴 시간을 함께 지낸 적이 있지요. 기억나세요? 언제였죠?
네, 작년에 우리 학교 전체가 특수학교에 봉사활동 나간 적이 있었어요. 그 때를 생각해봅시다.
봉사활동 중에 나는 도와주려고 한 행동인데 그게 잘못됐더라 하는 경우가 있었나요? 이야기 해 볼까요?
맞아요. 학생은 그 아이를 도와주고 싶어하는 마음에서 밥을 먹여주었는데 그것이 오히려 그 아이의 자율성에 방해가 될 수 있었네요.
또 다른 경우 있나요?
그런 경우도 있었네요. 그 장애우 학생은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도 도움을 받는다는 것이 싫었나보네요.
여러분이 겪은 이런 실수도 앞으로 장애우를 더 잘 이해하고 대하는데 도움이 될꺼예요.
이젠 스크린을 보면서 우리가 장애우를 대할 때의 방법을 OX퀴즈로 풀어볼게요. 자유롭게 답을 말해보세요.
장애우가 힘들어 보이면 무조건 도와준다. ( ) 답이 무엇일까요?
정답은 X입니다. 그럼 어떻게 고쳐야 맞죠?
장애인을 돕기 전에 어떤 도움을 원하는지 묻고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도 장애인의 승낙 없이는 도와주지 않습니다. 특히, 도와주겠다는 의사표시 없이 장애인을 붙들거나 목발 또는 휠체어를 잡으면 균형을 잃어 쓰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다음 문제입니다. 장애우가 문을 지나가려고 하면 그의 팔이나 목발을 잡아주어 문을 함께 지나간다.( )
답은 X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장애인이 오면 문을 열어주거나 문을 잡아주어야해요. 장애인의 팔이나 지팡이, 휠체어를 잡아주는 것보다 문을 잡아주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왜냐하면 출입문을 두 사람이 통과하기보다는 혼자 통과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죠.
다음 문제. 장애우가 넘어지면 도움이 필요한지를 묻거나 손을 내밀어, 필요하면 잡고 일어서도록 한다. ( )
답은 O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도움이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혼자 일어나는 것이 더 편한 사람도 있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지를 묻는 것이 옳습니다.
간단하게 장애우를 대하는 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것으로 보아 장애우를 도울 때 마음속에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래요. 장애우의 요구로 장애우를 도우며 그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듣고 행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업이 끝나가네요. 힘내세요.
만약 우리반에 장애우가 전학을 와서 함께 공부해야 한다면 어떨거 같나요? 자신을 생각을 활동지에 써보고 발표해봅시다.
좋아요. 비록 한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여러분들의 장애우에 대한 시선을 조금은 달라진 것 같네요.
여러분, 무엇보다도 먼저 장애를 가진 사람도 장애를 가졌다는 특수한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들과 똑같다고는 점을 기억합시다.
장애우에게 도움을 주는 것은 잘못된 일이 아닙니다. 그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장애우에겐 큰 도움보다 친구가 더 필요합니다. 기억해둡시다.
자 이것으로 수업을 다 끝났고 이 수업이 여러분과 한 사회의 이웃으로 살아가고 있는 장애우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S. 네
S. 한 장애인이 버스에 타지 못하고 있어요.
S. 장애우가 너무 불쌍해요.
S. 장애우는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힘들꺼 같아요. 도움없이는 살아가기 힘들 것 같아요.
S1. 네손가락의 피아니스트요~
S. 수영선수 진호예요.
S. 멋져요.
S. 장애인도 운동을 잘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S. 신체적 장애는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 같아요.
S. 네손가락 소녀나 진호와 같이 성공한 장애우들은 대단하지만, 보통의 다른 장애우들은 많이 힘들어보여요.
S. 아니요~
S. 아니요~
S. 네~
학생들이 손을 든다.
S. 장애우들을 너무 동정적으로 바라보지 않고, 또한 그들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져선 안 될 것 같아요.
S. 장애는 장애가 아니다!
S. 네~
작년 11월이요
처음 간 날 점심시간에 저는 도우려는 마음으로 내가 담당한 아이에게 밥을 떠먹여주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보시곤 그 아이는 혼자 먹을 수 있는데 옆에서 도우면 자기가 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스 스로 하도록 해라고 했어요
점심시간 마치고 이를 닦는데 전 생각 없이 칫솔에 치약을 발라주고 양치질 해주려고 하니까 그 학생이 칫솔을 뺏으면서 자기가 할 수 있다고 했었어요. 그 때 당황했어요.
O요, X요
학생들의 여러 대답
장애우의 요구가 있을 때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파워
포인트
PPT 자료
PPT
자료
활동지
자유롭게 답을 말하도록 하고 정답에 대한 이유가 뭔지 생각하게 한다.
자신의 경험을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 (장애우) ☆
‘장애우’라고 하면 생각나는 단어나 느낌을 자유롭게 빈칸에 채워봅시다.
만약 우리 반에 장애우가 전학 와서 함께 공부하고 생활해야 한다면 어떨까?
나의 생각을 써 봅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