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치료학] 호흡운동에 관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치료학] 호흡운동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놓도록 한다.
-환자에게 천천히 깊게 숨을 들여 마쉬도록 지시한다.
-그 다음 환자는 느슨하게 입술을 오므려 숨을 내 뱉는다.
7) 기타 호흡운동
호흡운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타 호흡운동에는 풍선불기나 촛불끄기, 강하게 휘파람불기, 벨트를 이용한 호흡운동, 이완운동 등이 잇다.
(1) 풍선불기
풍선불기는 어린아이들에게 시행할 경우 치료에 흥미를 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주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풍선이 늘어나면서 저항을 하기 때문에 풍선을 크게 불수록 호기근의 작용을 더욱 많이 요구하게 된다. 호기의 능력은 한번 내쉴 때 커지는 풍선의 크기를 보면서 환자에게 스스로 평가하게 하면 환자가 더욱 흥미 있어 하면서 좀 더 크게 불려고 노력하게 된다.
(2) 촛불끄기
풍선불기와 비슷한 원리의 호흡훈련법으로 환자의 전방에 환자의 입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 초불을 켜 놓고 입으로 불어서 끄게 한다. 이 훈련은 환자의 입오므리기를 촉진한다. 환자의 호기능력이 커질수록 환자와 촛불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해준다. 이 때 주의해야 할 것은 환자가 지나치게 잘 하려고 하는 의욕이 앞서 몸을 구부린 상태에서(촛불까지의 거리를 가깝게 하려고) 촛불을 끄지 않도록 해야한다. 체간을 전방으로 굴곡할 경우 흉곽이 압박되어 호기근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3) 병에 물 이동하기
병에 물 이동하기는 풍선불기나 촛불끄기보다 좀 더 강력한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용되는데 임상에서 간단하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약 2L의 병 두 개를 준비한 다음 물을 절반 정도 채우고 관으로 연결하면 된다. 환자는 기립자세나 앉은자세에서 한쪽 병의 물을 다른 쪽 병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그 압력에 의해 이동시킨다. 이동되는 물의 양을 환자 스스로 보면서 하기 때문에 자신의 호흡능력 증가 정도를 스스로 평가 할 수 있다.
8) 이완운동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등에서는 빠른 흉식 호흡을 반복함으로써 호흡곤란을 피하려고 하는 경향이 잇는데, 이것은 원래의 정상적인 호흡양상이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호흡의 작업량을 증가시켜 호흡곤란을 더욱 가중시키며 정신적, 신체적 피로를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 이완운동이 필요하다.
근이완을 위한 기술로는 Jacobson의 방법 즉, 점진적 이완기술이 많이 이용된다. 이완을 위한 방은 조용하고 안락해야하며 빛이 너무 강하거나 어둡지 않고 적당해야 한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를 취하게 하는데 머리에는 적당한 높이의 베개를 받쳐주고 필요할 경우에는 무릎 아래에도 베개를 받쳐 약간 무릎을 구부려 준다. 근육의 이완은 사직의 가 부분마다 수축을 시킨 다음 이완하게 함으로써 이완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된다.
9) 발작성 숨가쁜 호흡의 예방과 관리
(1) COPD환자들은 신체적 활동이나 알레르기 물질 등과 접촉되었을 때에 주기적인 호흡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 어떠한 활동이나 상황들이 호흡 곤란을 유발 시키는지를 파악하고 조절된 호흡으로서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2) 환자의 제한된 호흡기능 범위내에서 보행이나 게단 오르기, 작업수행 등 기능적인 일상생활 활동에 종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록 환자가 자신의 기능적 활동범위를 제한적으로 잘 수행하고 있어도 환자에게 호흡 곤란의 지기징후를 빨리 인식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미약하게나마 숨가쁜 호흡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즉시 하던 활동을 멈추고 호흡곤란이 가라앉을 때까지 입술 오므려 호흡하기를 실시한다.
(3) 방법
-환자로 하여금 힘을 빼어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게 하면, 횡경막 호흡을 쉽게 자극하게 된다(내장기가 앞쪽으로 내려가서 횡경막을 더 쉽게 하강 시킴으로).
-필요하다면 기관지 확장기를 사용한다.
-환자로 하여금 자신의 호흡을 조절하면서 호기동안 입술 오므려 호흡하기를 이용하여 호흡수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환자가 강제적인 호기를 하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환자에게 호흡의 호기단계를 강조한다.
-오므린 입술로 숨을 내쉰 후에 흡기 보조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횡경막으로 흡기하도록 한다.
-환자로 하여금 이 자세를 유지시키고 가능한 한 힘을 뺀 자세로 계속 흡기하도록 유도한다.
@참고문헌
민경옥 : 근골격계 및 호흡기계 운동치료학, 하늘뜨락, 2005
키스너 콜비 : 운동치료 총론, 영문출판사, 2004
FRANK H. NETTER, M.D. : THE CIBA COLLECTION OF MEDICAL ILLUSTRATIONS, 정담, 2000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2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