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문화가 개입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문화가 개입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문화와 교육의 개념
3.유아교육현장에서 개입된 교육과 관련된 문화에 대한 논의
4.결론
5.참고 자료

본문내용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그 교육내용의 강화와 수료자에 대한 진로 및 특전의 부여 등을 고려해야한다. 무엇보다 정부예산 지원규모를 늘여 정기적인 보수교육의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3-3. 전통과 인륜 등에 관한 유학적인 문화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을 통하여 추구하는 교육적 인간상은 우리 민족의 유구한 문화 전통을 계승발전시킴과 동시에, 인류 보편가치로서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평등과 같은 민주적인 가치를 구현하는 인간이다. 이러한 인간은 우리 문화를 이해하고 사랑할 뿐만 아니라 문화에 대한 가치를 지닐 수 있으며,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미래 사회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다.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아들이 다른 나라 및 다른 나라 사람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한편,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를 귀중히 여기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데 개정 중점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상징과 전통에 관심을 가지도록 하며, 우리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징에 친숙해져야 한다.또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 풍습과 민속놀이를 자주 접할 수 있도록 계획하여 친밀감을 가지도록 하고, 다른 나라 사람과 그들의 생활 풍습에 관심을 가지고 존중함으로써 편견을 가지지 않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가락, 조형물이나 춤에 친숙해지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우리말과 글에 애정과 자긍심을 가지게 하기 위하여 전래동화나 전래동요를 즐겨 들으며 자연스럽게 우리말과 친해지고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전통 문화교육은 가치관과 문화적 정체성의 확립하고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주장과도 같은 우리의 교유 문화 및 정신의 학습을 통해 세계 공존의 보편적인 원리를 확립하며 민족의 숙원인 통일을 위한 궁극적인 수단으로 수천 년 간 함께 해온 교유문화를 부각시킴으로써 민족동질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 필요하다.유아기는 선호도가 결정되는 시기이므로,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가락, 조형물, 춤에 친숙해지고, 관심을 가지고 접할 수 있게 하며, 전통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의 폭을 넓혀 주어 우리 전통을 잘 전승하며, 전통예술을 귀하게 여길 줄 아는 태도를 길러 유아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우리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상징에 친숙해져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명절 풍습과 민속놀이를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친밀감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4. 결론
문화와 교육의 갈등은 서로 갈등할 수 있는 문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교육에 참여할 때 또는 교육에 대해 논의할 때 야기된다. 다시 말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화를 고정시키고, 그 문화를 중시하면서 일방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문화를 도외시할 때 갈등이 야기된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불가피한 것이다. 그것은 인간은 문화 구속적이며, 이 구속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계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서로 가지고 있는 문화를 드러내고, 그 문화로 교육을 조망할 때 교육에 어떤 일이 어떻게 벌어질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고, 새로운 논의의 가능성을 찾아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 직접 개입하는 것이 학문이며, 이 과정에서 수준 향상을 겨냥하는 것이 바로 교육이다.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교육이 제대로 자리잡는다면 문화도 자연히 교육과 상생의 관계를 유지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의 자각과 개선의 의지가 필요다. 21세기는 유비쿼터스로 대변되는 정보화의 시대이다. 불과 20세기만해도 노트북과 같은 마이크로 칩에 의한 생활이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로도 가능할 정도로 기술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빠른 진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교육도 그에 발맞춰 변화를 맞이한다면 문화와 교육이 상생적 관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5. 참고 자료
윤여각 편저 / 문화와 교육(워크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현섭(2007), 유아교육개론, 학지사
이병승 외, 교육철학 및 교육사, 양서원, 2006
황정규 외, 교육학개론, 서울 : 교육과학사, 2008
석태종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5
김필식 외, 현대 교육학개론 제 7판, 서울 : 형설출판사, 2011
권중돈 김동배(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이태영·이경희(2009), 유아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양서원
  • 가격2,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07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77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