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시민혁명 리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의 시민혁명 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민혁명 이전의 영국의 상황
1) 의회
2) 사회경제적 상황
3) 정치적·종교적 상황

2. 시민혁명의 전개
1) 청도교혁명
①발생배경
②전개과정
2) 명예혁명
①발생배경
②전개과정

3.혁명의 의의

본문내용

것과는 다른 별개의 방법으로 국왕에게 소요되는 금전을 징수하는 것도 위법이다.
5. 국왕에게 청원하는 것은 신민의 권리이다. 청원을 했다는 이유 때문에 수감 혹은 소추를 함은 위법이다.
6. 평시에 국회의 승인을 받지 않고 국내에서 상비군을 징집하여 이를 유지하는 것은 위법이다.
7. 신교도인 신민은 그 상황에 따라 법이 허락하는(범위 내에서) 자위를 위한 무기를 소유할 수가 있다.
8. 국회의원의 선거는 자유롭지 않으면 안 된다.
9. 국회에서의 언론은 자유와 토익 또는 의사절차의 자유는 국회이외의 어떠한 법원 또는 다른 장소에서도 이 를 비난하거나 문제로 삼아서는 안 된다.
10. 과다한 보석금을 요구해서는 안 된다.
11. 배심명부에 등재하는 자는, 정당한 방법으로 선출되지 않으면 안 되며 (그 중에서) 배심원은 정당한 방법 으로 선출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대역죄로 소추된 자의 심리를 맡는 배심원은 자유 토지 보유자에 한 한다.
12. 유죄 판결을 있기 전에 그자에게 (과해질) 벌금 혹은 몰수에 관해서 권리를 주거나 약속을 하는 것은 모 두 위법이며 무효이다.
13. 또한 일체의 불평을 구제하기 위해 또한 법률을 수정하고 강화하며 또한 보전하기 위해 국회는 자주 개최 되어야 한다.
을 통과 시켰으며 새로운 국왕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이를 통과 시켰다. 권리장전은 왕권을 제한하고 의회의 권한을 강화하며 인권을 증대시킨 것으로 영국 헌정사는 물론 미국 헌법과 프랑스 인권선언서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의회는 권리장전에 이어 일련의 혁명적 조치들을 취함으로써 명예혁명의 성과를 확고하게 하였다. 군대의 통수권을 의회가 장악하는 반란법, 비국교도인 신교도에 대한 예배의 자유를 보장하는 관용법, 3년마다 의회의 정기소집을 규정한 3년제법,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검열법의 폐지, 영국 국왕은 영국 국교회에 속해야한다고 규정한 왕위 계승법 등이 그것이다. 메리의 여동생으로 윌리엄 3세를 계승한 앤 여왕은 1707년 스코틀랜드 왕국을 영국에 정식 통합시킴으로써 '대 브리튼 통일왕국'을 성립시켰다. 앤 여왕은 후사 없이 사망했고 제임스 1세의 외증손자인 하노버 공이 조지1세로 영국 왕위를 계승하였다. 조지 1세는 독일 출신으로 영국 사정에 어둡고 영어도 잘 못하였으므로 정치를 각료들에게 맡겼고, 이로부터 의회의 다수당이 내각을 조직하여 의회에 대해 책임지고 정치하는 내각책임제의 전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세희, 『풀어쓴 서양근대사 강의』, 삼영사, 2005, pp.154~156
데이비드 파커외 『혁명의 탄생-근대 유럽을 만든 좌우익 혁명들』,교양인,2009,pp.129~157
3. 혁명의 의의
청교도혁명과 명예혁명은 정치적, 종교적 자유의 확대와 의회정치의 기초를 확립하는 한편 의회의 권한 강화, 도시 상공업자와 지방 젠트리 등 중산층의 세력 강화를 가져왔다. "국왕은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는 의회 중심의 입헌군주정의 전통이 이때부터 수립되어 영국은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앞서서 정치발전을 이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업혁명과 해외진출 및 자본주의 발전에 앞장설 수 있었다. 이세희, 『풀어쓴 서양근대사 강의』, 삼영사, 2005, p.156
종교적 자유의 확대에서는 비국교도들이 제임스 2세의 정책에 등을 돌리고 압도적인 지지로 명예혁명을 함께 수행한 점이 인정되어야 했고, 이는 대부분의 국교도 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 의회는 1689년 '관용법' 관용법(Toleration Act)-명예혁명 이후 제정된 여러 법률가운데 하나인 관용법은 영국 국교회를 따르지 않은 신교도들에게 일정정도의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겠다는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이다. 하지만 가톨릭에 대한 엄중한 저지는 분명하고, 신교도인 비국교도에 대한 관용이란 것도 형벌을 줄여준 것이 고작이지, 선서를 강요하는 등 그 많은 속박은 자유와는 거리가 멀다. 국가는 비국교도를 개종시킬 의도는 버렸으니 알아서 조용히 처신하라는 메시지이다.하지만 국왕이 신봉하는 교의를 정치적으로 실현하려는 의도를 버렸다는것만으로도 이전 시대와는 획을 긋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을 의결했다. 이것은 정치적·공적 분야에서 행해지는 비국교도에 대한 차별을 완전히 제거한 것은 아니었지만 왕정복고 시대의 완고한 교회와 종교 체제로부터 결별을 의미했다. 영국 국교회에 속하지 않은 신도들은 지속적으로 예배와 종교의 자유를 누리게 되었다. 페터 벤데 엮, 『혁명의 역사』, 시아출판사, 2004, pp.73~74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9.27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2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