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 철도 교통 Network 비교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로 & 철도 교통 Network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2.1. 도로와 철도 교통 Network 현황
2.1.1. 교통 Infra 현황
2.1.2. IMD의 국가경쟁력
2.1.3. 정부 SOC 투자 현황
2.1.4. 교통수단간 특성
2.1.5. 교통수단간 수송분담률
2.2. 도로와 철도 교통 Network 문제점
2.2.1. 도로 Network 문제점
2.2.2. 철도 Network 문제점
2.3. 선진국의 교통정책 및 시사점
2.3.1. 선진국의 교통정책
2.3.2. 시사점
2.4. 도로와 철도의 경쟁력 강화 방안
2.4.1. 도로경쟁력 강화
2.4.2. 철도경쟁력 강화
2.4.3. 교통수단간 연계환승체계 구축 강화
III. 결론
3.1. 국내 교통의 미래상
3.1.1. 국내 교통시설 확충
3.1.2. 국내 교통수송분담 구조 개선
3.1.3. 국내 교통 미래상
3.2. 21C 동북아 교통의 미래상
3.2.1. 대륙횡단 철도망 구축
3.2.2. Asian High-way 도로망 구축
3.2.3. 동북아 단일 교통 Network 확대

(붙임)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한 역무 자동화, 열차 신호체계 개선 등을 위한 자동화현대화 시설투자
- (화물운행 효율화) 화물 취급역을 단계별로 거점화하고 화물의 집하보관 및 자동하역장비 등 하역장비 현대화와 정시성 확보를 위한 수송계획 및 화차운용최적화 시스템 구축
철도산업을 고부가가치 성장동력으로 육성
- (철도기술 확보) 기술개발, 경쟁유도, 실용화 촉진을 통한 세계 최고수준의 철도기술 확보 및 고속철도의 기술수준을 고도화하고 도시철도는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여 맞춤형으로 개발
- (해외시장 진출기반 마련) 시공경험 축적, 정부지원, 인력양성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하여 KTX망 확대 구축을 계기
- (철도산업 육성) 철도산업을 시장지향적으로 육성하고, 운영 부문에 민간참여를 확대하여 경쟁환경 조성
(그림2) 국가철도망계획
* 자료 : 국토해양부
2.4.3 교통수단간 연계환승체계 구축 강화
국민에게 단절 없는(Seemless) 교통망을 통한
“다수단 연계, 최적경로”의 선택기회 제공
KTX역 중심의 연계교통체계 구축
- (KTX역 중심의 환승시설 및 대중교통시설 공급) KTX역을 지역교통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KTX 역세권과 주변 도시를 연결하는 네트워크형 광역교통체계 구축
- (광역급행교통망 제공) 간선급행버스(BRT)를 수도권 전역 및 전국 대도시권으로 확대하여, KTX와 연계하고, KTX 역세권 파급효과 확산을 위한 광역급행교통망 제공
교통수단간 연계환승 강화
- (고속국도 환승정류소 확대) 중소도시 고속버스 이용자의 불편해소를 위한 환승정류소 확대 운영
- (지방도시에서 인천공항 연계) 인천공항철도를 활용하여, 지방도시에서 인천공항까지 KTX를 운행 국제국내교통 연계
교통수단간 연계환승 편의 향상
- (다기능형 전국호환 교통카드 개발보급) 전국호환 교통카드 활성화와 이용자의 편의 제고 등을 위하여 교통카드의 전국호환 및 다기능화 추진
- (대중교통정보시스템 개선 및 활성화) 교통 컨텐츠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대중교통정보시스템(TAGO)을 통한 공공 부문의 적극적인 역할 제고
복합환승센터 본격 추진
- (복합환승센터 도입) IT를 접목한 첨단환승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상업문화주거 등 복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복합환승센터 개발
- (복합환승센터의 환승기능 강화) 복합환승센터 이용자의 센터로의 용이한 접근을 위하여 광역환승 및 도심환승을 지원할 수 있는 타 환승센터와의 연계
- (환승시설의 집단화) 효율적인 연계환승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철도역, 자동차 터미널 등 연계환승거점시설을 복합환승센터 내에 집단적으로 입지 추진
III. 결론
3.1 국내 교통의 미래상
3.1.1 국내 교통시설 확충
(도로) 기존 17,596km에서 19,854km로 총 연장 2,258km 증가
(철도) 기존 3,378km에서 4,955km로 총 연장 1,577km 증가
(공항) 기존 498천회/년에서 825천회/년으로 운항횟수 총 327천회 증가
(항만) 기존 2,186만TEU/년에서 3,412만TEU/년으로 컨테이너 하역능력 총 1,226만TEU/년 증가
3.1.2 국내 교통수송분담 구조 개선
지역간 수송(시군간)을 대상으로 산정
여객 수송분담률 변화(인km 기준)
- 도로는 2008년 81.4%에서 2020년 69.3%로 감소
- 철도는 2008년 15.9%에서 2020년 27.3%로 증가
화물 수송분담률 변화(톤km 기준)
- 도로는 2008년 71.1%에서 2020년 60.2%로 감소
- 철도는 2008년 8.1%에서 2020년 18.5%로 증가
3.1.3 국내 교통 미래상
글로벌 한반도 가치 재창출을 위한 간선도로 서비스 품격 향상
광역경제권간 90분대, 광역경제권내 30분대 통행권 형성을 통한 단일 대도시권 통합
인천공항 화물수송실적 및 부산항과 광양항 항만물동량 증대를 통한 동북아물류 중심국가 부상
지속가능한 교통체계 구현으로 에너지 소비량 및 CO2 배출량 대폭 감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는 교통정보 제공으로 교통혼잡 예방
고령자나 교통약자도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전국 어디에나 불편 없이 이동
(그림3) 국가기간 교통망계획
* 자료 : 국토해양부
3.2 21C 동북아 교통의 미래상
3.2.1 대륙횡단 철도망 구축
(지정학적 기회 활용 필요) 비행기로 3시간 거리 이내에 인구 100만명 이상의 도시 60개에 접근이 가능한 위치에 입지
- 특히, 세계 3대 경제권인 동북아경제권의 중앙에 위치하여 인적물적 교류의 관문 역할 가능
(대륙연결 철도망) 유라시아지역의 공동 번영과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한반도~중국ㆍ러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철의 실크로드 구축
- 한반도철도망과 TCR, TSR 연결운영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제도적 장애요인 제거
(그림4) 대륙횡단 철도망(안)
* 자료 : 국토해양부
3.2.2 Asian High-way 도로망 구축
(아시안 하이웨이) 아시안 하이웨이의 결손부분인 북한지역 연결 및 유럽국제도로망 연결을 위한 당사국간 실질협력 추진
- 우리나라와 관련한 AH1(경부고속도로), AH6(일반국도 7호선)에는 ’10년까지 해당 구간에 아시안 하이웨이 표지판 설치 완료
- 북한의 경우,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정부간 협정에 서명하지 않고 있으나, 추진하는 경우 협정 부속서의 “도로분류 및 설계기준”에 적합하도록 포장 및 개량 필요
홍보표지(안)
노선표지(안)
3.2.3 동북아 단일 교통Network 확대
(1단계: 협력제도화 기반조성) 한중일러 등 동북아 교통장관회의 설치 및 정례화
(2단계: 교통물류협력 본격화) 한반도 철도망과 TSR, TCR 연결운영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제도적 장애요인 제거
(3단계: 단일시장 활성화) 통합 교통물류시장으로 완전이행
(그림5) 동북아 단일교통시장 추진전략
* 자료 : 국토해양부
참고문헌
[1]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10.
[2]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수정계획 연구, 2007.
[3] 국가교통DB센터, 2009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 2010.
[4] 국토해양부, 도로업무편람, 2010.
[5] 국토해양부, 국가기간교통망계획 제2차 수정계획, 201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3.09.30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