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바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케바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이케바나란 무엇인가

2.이케바나의 시작과 발달
 1)이케바나의 전개
 2)이케바나 양식의 출발

3.이케바나의 기본 이론과 기법

4.이케바나의 즐거움

5.기능적 의미로서의 이케바나의 가치

본문내용

의 본체를 드러나도록 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또한 ‘방원설(方圓說)’이라는 정사각형과 원형에 관한 이론을 세워, 천지인의 원칙에 따라 꽃을 꽂은 이론을 전개했다. 오늘날에도 유서있는 유파의 한가지로 오사카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조직을 지니고 있으며 분류파(分流派)도 100가지가 넘을 정도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미쇼사이 잇포
에도 후기의 이케바나 작가로 미쇼류의 창시자이다. 젊어서부터 풍류를 즐기는 일에 뜻을 두고 전국 각지를 유랑한 후에 오사카에 정착하여 미쇼류를 창시했다. 만년에는 실명(失明)했지만, 문하생들의 지도를 계속하며 이케바나의 이론인 ‘허실등분설’을 내세워 꽃꽂이의 삼각 형식의 체계를 세우는 등 이론적인 면에서도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실명 후에 그의 이론을 정리하여 이케바나 이론서인 ‘본조삽화백련(本朝揷花百練)’을 간행했다.
4. 발전,확산 되고 있는 이케바나
1966년에는 ‘일본 이케바나예술 협회’가 결성되어,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며 사회적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 이케바나 대전시회’를 개최하여 일본 문화를 국제적으로 소개 하려는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현대의 이케바나는 대중화 되어 일반 여성의 교양이나 취미 활동으로 널리 보급되어 현재 이케바나에 관련되어 있는 인구는 1000만에서 1500만명에 이른다고 한다.
오늘날 일본 사회에서 이케바나는 실생활과 유리된 호사가들의 놀이가 아니라, 환경 디자인 예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케바나를 통하여 어떻게 생활 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쾌적하게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초점을 두고, 생활 예술로써 이케바나가 전개되어 가고 있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철학적,기능적 의미로서의 이케바나와 그 가치
1. 오늘날 이케바나의 가치
오늘날 이케바나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현대인들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제공한다.
첫째, 이케바나가 제공하는 정신적 측면이다. 이케바나에는 천지인이라는 우주와 그 3자의 화합, 그리고 인간과 자연의 합일 등이 담겨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인간이 자연과의 관계나 인간 사이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야 할 길을 말해주고 그것의 작업과정을 통해서 평정과 침착, 몰입 등을 통해 정신적 수양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둘째. 이케바나는 인간의 실제 생활을 윤택하게 해준다. 이것은 실용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거주공간을 아름답게 해주는 장식적 효과를 가져다준다. 뿐만 아니라 손님을 접대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심신이 피로한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케바나는 하나의 독자적인 영역을 가진 가치있는 예술이라고 하겠다. 그것은 오랜 역사와 다양한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에 들어 독자적인 예술영역을 확보하였다. 이로써 이케바나는 접대예술, 생활예술 등 이케바나가 제공하는 실용적인 측면을 예술의 수준으로 향상시켰으며 전문성과 관심을 가진 순수예술로도 자리잡았다.
2. 이케바나의 예술로서의 형태적인 특징
우선, 예술적 관념에 있어서 이케바나는 수수하고 단촐한 느낌이 강하다. 이런 느낌은 이케바나에 사용되는 화재가 색깔이 은은하고, 양이 적은 반면 길이가 길기 때문이다. 이케바나는 내향적이고 평온한 인상이 짙다. 이에 비해 서양식 꽃꽂이는 균형, 율동, 조화, 강조 등 미적 표현 요소를 감안하여 만들기 때문에 일반적인 꽃 디자인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식 꽃꽂이는 종류와 모양이 다양하고 빛깔이 화려하여 이케바나에 비해 외향적이다.
그리고 이케바나는 천지인의 개념에 따라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재현하는 형체이다. 이에 비해 서양식 꽃꽂이는 자연상태의 재현이 아니라 인간에 의한 재구성을 통해 환경에 적응하는 모양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이케바나와 서양식 꽃꽂이는 기법이나 받침대 등 기술적인 면에서도 일정한 차이를 보여준다.
3. 이케바나, 문화로서 그것을 발전시켜가는 일본, 일본인
꽃에 대한 사랑은 동서고금이 다를 바 없다. 그리고 꽃을 어딘가에 꽂아두고 즐기는, 넓은 의미의 꽃꽂이는 인류보편의 전통이자 생활습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의 꽃꽂이, 즉 '이케바나'라는 독특한 이름처럼 단순히 꽃을 꽂는 행위와는 엄청난 거리가 있다. ‘꽃을 살린다(生花)’는 이름은 분명 일본식 멋부리기의 결과이지만 꽃과 풀, 나무 등의 자연물을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혀 새롭게 가공하고 재생 시키면서 고도의 작위를 교묘하게 감추는 일본식 꽃꽂이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이름이기도 하다. 유파에 따라 다르다고는 하지만 크게 보아 이케바나는 있는 그대로를 중시하는 한국이나 중국의 전통 꽃꽂이와 달리 자연스러움을 만들어내고 이를 위한 기술과 형식, 절차를 강조한다. 이런 특성은 이케바나가 꽃을 보고 즐기는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일찌감치 독립된 예술로서 뿌리를 내렸기 때문이다.
화려하고 다양한 서양꽃들이 밀려들어오면서 우리나라 전통의 꽃꽂이는 그에 흡수되어 그 정체성을 잃은 반면에 이케바나는 전통을 고수하면서 그 바탕에 새로운 시도를 받아들여 그 화사함을 더해갔다. 이케바나는전통 고유의 문화를 지키며 발전해 왔지만 새로운 시도와 노력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중 하나로서 성장해 왔고, 지금도 성장해 가고 있다.
참고문헌
http://myhome.naver.com/dangunkwon/omosiroijp/ikebana.htm
http://sejata.or.kr/before/data/yonsu2000/parkj.htm
http://www.leejisun.com/lec-2003-2JTCulture%28under%29/JTC009%28under%29.htm
http://trcskim.cafe24.com/html/jaryo/seikatumunha.htm
http://sejata.or.kr/before/data/yonsu2000/parkj.htm
http://trcskim.cafe24.com/html/jaryo/ni-munhwa/culture-20.htm
<현대일본의 이해> 학문사 김인현저
<일본문화의 이해> 학문사 최관저
<일본의 문화와 예술> 박전열 외, 한누리 미디어, 2000
<일본전통문화론> 박전열·이영 공저, 한국 방송 대학교 출판부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10.2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