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의 상자』에 나타난 배경과 상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내의 상자』에 나타난 배경과 상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내가 가고 싶어하던 길이다. ‘길’은 많은 경우 삶의 여정으로 비유된다. 따라서 내면을 지닌 아내는 이러한 오솔길을 따라감으로써 존재의 자유로움을 느껴보고자 했을 것이다.
옆자리를 보니 아내도 그 스포츠카들이 사라진 오솔길 쪽을 쳐다보고 있었다. 그 길이 눈앞에서 완전히 사라지도록 내내 고개를 잔뜩 돌리고 쳐다보았다.
“저 길로 한번 가보고 싶어요”
아내의 목소리는 꽉 잠겨 나왔다. 마치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열려 있다가 그 계절이 지나면 사라져버리는 환상의 길 같다는 말도 했다.
② 외도
아내가 우성이라고 판단한 옆집여자를 통하여 접하고 탈출을 시도한 세상은 오히려 그녀를 물질만능과 쾌락주의를 상징하는 현대사회의 성(性)속으로 아내를 밀어 넣는다. 이것은 아내가 그토록 가고 싶어하던 오솔길이 알고 보니 무덤이었다는 것, 새로운 희망으로 왔던 신도시가 결국은 서울의 강남과 다를 바가 없었다는 것 등과 맞물려 소설의 비극성을 배가시킨다.
③ 무덤
아내가 꿈꾸던 오솔길은 결국 죽음으로 귀결된다. 이는 그 곳(정신병원 또는 요양원따위)에 유폐되어 죽음과 다를 바 없는 상태인 그녀의 모습이기도 하다. 현대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아가 꿈꾸는 길이 결국은 무덤임으로써 작가가 획일화된 도식만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모습에 대한 반감을 더욱더 비극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내면을 가진자의 일탈의 노력을 더욱 억압된 그곳과 죽음으로 귀결지으면서 끝끝내 현실을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나가며....................
우리는 지금까지 소설의 주제를 배경과 상징을 통해 살펴보았다. 소설의 배경과 상징은 주제의 암시와 소설의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 시키며, 극대화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의 구조와 현실의 반영적인 면모도 살펴 볼 수 있다. 소설의 주인공의 심리, 나타내고자 하는 감정을 소설 속에 등장하는 배경과 여러 소재와 대화, 장소 등을 통해 드러나는 상징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에 더욱 가까이 접근 할 수 있다. 이에 『아내의 상자』는 특히 고도의 심리적 표현과 현실의 구조화를 인물의 내면 묘사와 배경과 소재의 상징을 통해 그 주제를 확연히 보여주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참고자료》
현대 소설의 이해 , 우한용 외, 새문사, 1999
현실인식과 인간의 길, 장현숙, 한국문학사, 2004
은희경의 <아내의 상자>와 그 작품 세상, 강상희, 문학사상, 1998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1.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9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