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실험] 화학전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학실험] 화학전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목적

실험원리
 산화 ․ 환원 반응
 화학 전지
 산화 ․ 환원 반응의 자발성
 Nernst방정식
 다이엘 전지

다이엘 전지

실험에 대한 고찰

* 염다리의 조건

본문내용

화 환원반응으로 인하여 생기는 전자의 이동을 이용하여 전류를 얻는 장치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준다. 실험에서 전해질 용액으로는 질산염 1M 용액을, 금속으로는 구리와 아연을 사용하였다. 금속의 반응성으로 봤을 때와 마찬가지로 질산아연에 아연판을 담근 쪽이 산화가 일어났고 그 반대쪽(구리)이 환원이 일어났다. 그러므로 아연이 산화전극이 되고 구리가 환원전극이 된다. 이 두 용액 사이에는 염다리를 연결하였는데, 염다리는 화학전지의 기능을 오랫동안 할 수 있게 하고, 용액이 섞이지 않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화학전지에 직류전압계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 결과, 계산값보다 측정값이 더 낮게 나왔는데, 그 이유로는 전해질 용액에 두 금속이 닿는 표면적이 달라 차이가 나타 날 수도 있고, 직류전압계가 불안정하여 계통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전압이 불안하다면 염다리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거름종이를 KCl용액에 다시 담그던가 제대로 장치 해 줘야 한다. 전압을 측정하고 난 뒤, 두 질산염 용액에다가 암모니아수를 소량 넣어주었는데, 질산구리용액에 넣어주었을 경우에는 앙금이 생성되어 이동되는 전자의 수가 줄어들어 측정 전압보다 떨어지게 되었고, 질산아연용액에 넣어주었을 경우에는 [Zn(NH3)4]2+의 착이온이 형성되어 이온간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어서 전압이 올라가게 되었다.
다이엘 전지 만들고 난 뒤, 시간이 지날수록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구리판 표면에는 Cu2+이온이 환원되어 구리로 석출 된다. 그래서 점점 전압이 떨어지게 되고, 이온간의 화학적 평형상태가 되면 화학전지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화학전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두 금속의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사용하면 되고, 아연판과 구리판을 재사용 할 경우에는 두 금속판을 사포로 문질러 주게 되면 불순물이 제거된다.
우리가 쉽게 실험으로 알아볼 수 있는 전지로 볼타전지가 있는데, 볼타 전지와 다니엘전지의 차이점은 염다리의 유무와 수소기체의 발생 유무가 있다. 볼타전지는 염다리가 없고, 반응의 결과로 수소 기체가 발생되므로 다니엘 전지보다 성능이 떨어진다.
* 염다리의 조건
염다리를 만들 때에는 반쪽 전지의 전극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 KCl, Na2SO4, KNO3과 같은 염을 사용해야한다. 염다리에 사용한 염의 성분이 전해질과 반응하여 앙금을 생성하거나 전해질에 사용한 염의 성분이 전극 반응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그 염은 사용할 수 없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27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