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보(魏良輔)는 당시 유행하던 여러 곡조에다가 북곡의 장점도 가미하여 섬세하고도 우아한 ‘곤산강(崑山腔:崑曲)’을 만들어내었다.
이후 중국연극에는 곤곡이 크게 유행하여 청나라 초기(17세기 중엽)까지 전기의 대부분이 이 곡조에 실려서 상연되었다. 곤곡은 무용성(舞踊性)이 강할 뿐만 아니라 피리 반주를 주로 하였으며, 엄격한 문학형식을 존중함으로써 온아하고도 고상한 연극으로 발전하였다. 무대의 연출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것도 바로 이 시대였다. 배역은 생(生:주역) ·단(旦) ·정 ·축 ·말(단역) 등 원곡이나 남희보다도 더욱 세분되었고, 검보(譜:얼굴 분장)의 창안과 아울러 인물의 신분과 성격에 대한 표현력도 한층 심화되었다. 의상 또한 명대(明代)와 그 이전의 것을 추상(抽象)하여 시대를 초월한 새로운 연극의상이 고안되었으며, 장치나 소도구도 다채롭게 만들어졌다.
그리하여 중국연극의 기본형식은 대개 이 시대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기작품(傳奇作品)은 청대(淸代)로 넘어온 뒤에도 《장생전(長生殿)》 《도화선(桃花扇)》 등의 대작이 나타났으나, 18세기에는 ‘아부(雅部)’라 하여 정통시되었던 곤곡도 이윽고 쇠퇴하는 가운데 ‘화부(花部)’라 하여 업신여김을 받아오던 다른 곡조에 의한 민간극들이 성행하기 시작하였다. 1779년 북곡계(北曲系) ‘진강(秦腔)’의 여장남우(女裝男優) 위장생(魏長生)이 베이징[北京]에 진출하였고, 남곡 익양강계(陽腔系) ‘이황조(二黃調)’의 여장남우 고낭정(高朗亭)이 상경한 것은 90년이었다.
이황조는 19세기에 접어들자 정장경(程長庚) 등의 개혁을 거쳐 ‘경극(京劇)’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난해하고 지루한 귀족예술이 되어 있던 곤곡에 대하여 알기 쉽고 명쾌한 단극(短劇)을 주로 하는 경극은 또다시 대중의 기호에 영합하여 일세를 풍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경극은 독창적인 희곡작품을 거의 가지지 못하였으며, 고래의 전설 ·소설 ·연의(演義) ·전기(傳奇) 등을 제재로 하여 그것을 각색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19세기 말까지 중국의 전통극 형식은 마침내 경극으로 집대성되고, 서사적 ·상징적인 표현양식에 있어서는 거의 완성된 경지의 예술로 무르익어갔다. 한편, 중국정권이 성립한 이후 1960년대부터는 내용면에서 경극의 형식이 변혁되기 시작하였으며, 사회주의 연극으로의 변신(變身)을 위하여 13 ·16 ·18세기에 치렀던 중국 연극의 변혁과 맞먹는 경극의 변질이 오늘날 진행되고 있다.

키워드

  • 가격9,6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28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9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