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냉전질서의국제 정치이론과 한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냉전질서의국제 정치이론과 한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학>에서 김예림은「1960년대 중후반 개발 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판타지의 문화정치학」에서 중산층 가정 모델에 내포된 개발국가의 현실과 욕망의 거리를 드러내고 1960년대 중후반 한국사회에 나타난 변화의 배후에 냉전 시스템과 반공적 군사주의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음을 논했고, 신현준과 뷔리야 사왕초트는 「음악적 공공 공간과 ‘순수/퇴폐’의 문화정치(학): 1970년대 냉전기 한국과 태국에서 청년문화의 출현과 종언」에서 대중음악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양국의 청년문화를 조명했다. 이들은 서양(미국)의 대중음악이 다양한 계층에 어떠한 차별적 영향을 미쳤는가, 그리고 태국의 ‘삶을 위한 노래’와 한국의 ‘포크송’이 학생운동의 좌파정치와 어떤 연관을 갖는지 등에 대해 분석했다. 한편 이동연은「주변부 스포츠 이벤트의 탄생과 국가나르시시즘: 1970년대 아시아 국제축구대회의 근대표상」에서 ‘아시아적 발전 모델’의 상징적 분출구라 할 수 있는 ‘아시아 국제축구대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냉전시대 스포츠를 매개로 삼아 그 표상의 장소를 획득한 국가 나르시시즘의 문화정치학을 비판적으로 재고했다. 특히 월드컵이 최대 화제가 되고 있는 지구촌 시대에 돌아볼 때, 메르데카컵, 킹스컵, 박스컵 등의 아시아 축구 이벤트들이 “아시아를 매개로 한 세계화에 대한 (국가 나르시시즘의) 욕망”(495)이었을 수도 있다는 진단은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이들 각론이 전체 주제와 어떻게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또한 각론 사이에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있는지 등에 대한 평가는 보다 꼼꼼한 독서를 필요로 한다. 한 가지 지적할 것은 『풍경 1』에서와 마찬가지로 『풍경 2』에서도 ‘아시아’는 동아시아의 범주를 넘어서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백원담의 글을 제외하면, 거개가 한`중(타이완과 홍콩 포함)`일의 협의의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고 동남아시아에 관한 몇 편의 글을 합해도 넓은 의미의 동아시아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 연구도 14편 가운데 3편에 불과하고 아세안(ASEAN) 10개국 가운데 인도네시아 화인, 필리핀 영화정책, 태국의 청년문화를 다룸으로써 지역적 불균등 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에 충실하느냐, 동아시아에 동남아시아를 포함시키느냐, 아니면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까지 포함한 명실상부한 아시아로 나아가느냐는 제목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은, 동아시아연구소의 향후 발전 방향과 연계된 문제로 보인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25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8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