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회경제사 정리 - 한대 경학의 발전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사회경제사 정리 - 한대 경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한나라 초기 유학
 2.董仲舒 : 한제국의 이론가
  - 음양가와 유교의혼합
  -《춘추(春秋)》에 관한 해석
 3.한무제의 제자백가 배척과 유가의 독존
  -사상의통일
  -금문과 고문의 투쟁
  -금문학파 고문학파의 비교
 4.경학의 쇠약과 유학의 현학화
[3]결론

본문내용

한다. 기원후 8년 제위를 찬탈하여 신(新) 왕조를 세운 왕망은 새로운 국가 운영 원리와 이념이 필요했고, 그것을 전한 시대에 유행한 금문 경학이 아닌 고문 경학에서 찾고자 했던 것이다. 유흠은 왕망의 후원 아래 고문 경서인 『주례』에 바탕을 두어 전장제도를 새롭게 정했다. 신나라가 왕망 일대에서 끝나고 광무제가 후한을 세운 이후, 전한 부흥의 목표를 내건 광무제는 금문 경학을 부흥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오경박사의 자리를 모두 금문학파가 차지했고 고문학파는 배척되었다. 그러나 고문 경학은 학문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녔기 때문에, 정치적인 부침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 성과가 비교적 착실하게 축적되었고, 결국 후한을 대표하는 경학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렇게 경전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각자가 의존한 경전 원천이 다르고 학풍이 다르며 사상 경향이 다른 금문학파와 고문학파 학파가 형성되었다.
금문학파와 고문학파 사이의 논쟁 결과 경학은 통일의 길로 나아갔고, 양한 경학은 점차 쇠퇴하였다.
후한(後漢) 시대에 들어와 동중서 등의 노력으로 유학이 한나라의 국학이 되었는데 이때의 학풍은 주로 옛 전적을 해석하고 주석을 붙이는 훈고학(訓學)이 주류를 이루었다. 후한시대의 주류적 견해는 고문상서를 진본으로 보았다. 마융과 정현이 다 대표적인 고문학자들이었으며 이들의 주해서도 고문상서에 주석을 붙인 것들이었다. 사마휘와 송충은 정현, 진기(陳紀) 등과 더불어 당대의 명유였으며 이들이 다 고문학파였다는 것을 볼때 당시에는 금문상서보다 고문상서가 더 가치를 인정받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까지 전해진 58편의 상서는 동진(東晉)의 매색(梅)이라는 유학자가 조정에 바쳤다는 매씨상서이다. 매씨상서에는 금문상서와 고문상서가 다 수록되어 있다. 금문상서는 원래 29편이었으나 매색이 편을 나누어 33편으로 편집했고 고문상서는 16편으로 구성되었으나 여기에 9편을 더하여 25편으로 구성되었다. 매색의 매씨상서는 그 당시 유행하기 시작하던 정통론의 영향을 받아 정사를 구분하는 명분론적 경향이 강했다. 따라서 동진과 비슷한 정치적 환경에 처해 있던 남송 시절에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의 고문상서가 진본으로 인정되었었다.
그러나 그의 매씨상서 58편 중 25편의 고서에 대해서는 위작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이를 최초로 고증한 것은 청(淸)나라 초기의 대표적인 고증학자의 하나인 염약거이다. 그는 상서고문소증(尙書古文疏證)이라는 논문을 통해 동진(東晉)의 매색(梅)이 조정에 진상한 상서 58편 중 고문상서 25편은 마융(馬融), 정현(鄭玄) 등이 주석을 단 공벽고문상서(孔壁古文尙書)와 편수(編數)나 편명(編名)에서 일치하지 않고 또 그 내용 상 위작으로 볼 근거가 많다는 것을 조목조목 실증적으로 비판했다.
채방록, 「유학, 전통과 현대화」, 서광사, 1999
4.경학의 쇠약과 유학의 현학화
한나라 말과 삼국 초에 유가 경학이 쇠약해지는 추세가 나타났다. 경학이 쇠약해져 초래된 결과는 유학의 지위가 하강되고 그것의 사회 작용이 쇠약해진 것이다.
위(魏) ㆍ 진(晋)에 이르러서는 현학(玄學)이 유행하였다. 현학은 유가 ㆍ 도가사상이 위 ㆍ 진 사회의 특정 조건에서 융합된 산물이다. 현학이 명교와 자연의 관계를 조화시키는 사유 과정에서 유학도 점차 현학화되었다. 유가와 도가의 융합은 한 ㆍ 위 시기의 명리학 가운데서 이미 단서를 보였다.
유학 경학의 쇠약은 역사적 원인도 있겠지만 그 사상의 자체 발전상의 원인도 있다. 역사적 방면에서 보면 동안 말기 당고의 재난(黨錮之禍)에 의한 타격은 경학이 점차 쇠약해진 직접적 원인이 된다. 동한 말년의 통지 계급 내부의 모순 충돌은 끝내 환관 ㆍ 외척 ㆍ 황권이 힘을 합쳐 사족(士族)과 경학 지식인들을 타격하는 당고의 재난을 빚어냈다. 당고의 재난 후 경학 진지는 점차 흩어지고 부진해졌다. 그리고 일부 경학자들은 방법을 바꾸거나 임시응변으로 형세의 변화에 대처했다.
경학이 쇠약해진 더욱 중요한 역사적 원인으로는 한나라 말기 농민 봉기의 거대한 충격을 들 수 있다. 유학은 이 세찬 파도의 충격에 의해 위신이 떨어지고 인심을 틀어쥐는 역할을 상실했다.
경학 자체의 발전을 놓고 보면 그것이 쇠퇴하는 두 가지 원인이 있다. 한 가지 원인은 한조 중후기에 흥기된 사회 비판 사조의 충격이고 다른 한 가지 원인은 경학 자체의 자아 부정이다.
양한 시기에 경학의 쇠약으로 인하여 유가 독존의 국면이 점차 타파 되었다. 통치자들은 이전의 여러 가지 학설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새롭게 평가하기 시작했으며 제자백가의 사상 가운데 통치에서 수요되는 무기를 찾고 새로운 이론을 세우는데 주의력을 돌렸다.
위진 시기 사회에 혼란한 국면이 나타남에 따라 이전보다 사상이 자유롭게 되었고 유학과 도가 ㆍ 명가 ㆍ 법가 등 사상이 합류되는 정황이 나타났다.
5.결론
중국 문화는 넓고도 깊으며 근원이 멀고 흐름이 길다. 그 발전과 변화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 유학이 점차적으로 중국 문화 발전의 주류가 되었고 아울러 광범하고도 깊이 중국 문화의 모든 영역에 스며들어 중국 문화 발전의 방향을 주도해 왔다. 그러므로 유학의 특징은 상당한 정도로 중국 문화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록 유가 문화가 강대하고도 선명한 주체 의식을 지니고 있다고는 하더라도 유학은 자신의 정체성을 견지하는 동시에 적기 않은 다른 문화의 사상적 성분을 흡수하여 자기의 사상 체계를 풍부히 발전 시킴으로서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해 왔다.
유학은 중국 문화의 정치 ㆍ 윤리 ㆍ 철학 ㆍ 교육 ㆍ 예술 ㆍ 종교 등의 각 영역에 스며들었으며, 아울러 전통적인 이상적 인격과 가치 취향, 전통적 사유 방식 등에 대해 깊이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중국 문화와 한 몸이 되어 유학의 특징은 곧 중국 문화의 기본 특징을 이루었다.
<참고문헌>
김동휘, 「中國儒學史」 1권, 신원 문학사, 1997
김동휘, <中國儒學史> 2권, 신원 문학사, 1997
채방록, 「유학, 전통과 현대화」, 서광사, 1999
풍우란,「중국철학사」형설출판사, 1989
김근, 「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한 대 경학의 해부)」,민음사 1999
  • 가격9,66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2.0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