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케이스스터디(Case Study)[Tsutsugamushi]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케이스스터디(Case Study)[Tsutsugamush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ase Study]

1.대상자의 건강 양상
2. Admission note
3. 약물
4. 검사
5. 간호과정

본문내용


검사명
정상범주
단위
결과
임상적의의
10/19
10/20
Ammonia(NH3)
20~120
㎍㎖
78
107
Fasting Glucose
BUN
creatinine
Bilirubin total
AST(SGOT)
ALT(SGPT)
Amylase
sodium(s)
Potassium(s)
chloride(s)
70~110
8~23
0.6~1.2
0.2~1.2
8~36
5~33
60~160
135~145
3.5~5.5
98~110
㎎/㎗
㎎/㎗
㎎/㎗
㎎/㎗
IU/L
IU/L
Unit
mEq/L
mEq/L
mEq/L
88
18.0
1.18
1.0
228
261
57
135
4.0
98
196
10.9
0.98
0.5
290
282
61
137
4.1
102
AST(SGOT)↑:급만성염증(특히 급성감염시 현저하게 증가), 심근경색증, 간암, 담낭염, 간경화(약간 증가 또는 기준치 범위)
ALT(SGPT)↑:급만성간염, 담낭염, 담관염, 간암
Amylase↓:임상적 의의 없음
검사명
정상범주
단위
결과
임상적의의
10/19
10/20
CBC
WBC
Hb
Hct
PLT
Seg N.
4000~10000
13~17
36~46
15~45만개
42~75
/microL
g/㎗
%
%
6100
12.3
36.1
161ⓚ
57.4
6600
11.3
34.4
208ⓚ
33
BC
FBS(Glucose)
BUN/Cr
TB(Total bilirubin) DB(direct bilirubin)
AST
ALT
Na
K
Amylase
PT(INR)
65~110
8-23/0.8~1.2
0.2~1.2
0~0.4
5~33
5~40
135~145
3.5~5.5
60~160
1.5↓
㎎/㎗
㎎/㎗
㎎/㎗
㎎/㎗
U/L,
U/L
mEq/L
mEq/L
Unit
88
18.0/1.18
1.01
0.2
228
261
135
4.01
57
1.25
196
10.9/0.96
0.5
0.1
290
282
1.08
BUN과 Creatinine은 신장으로 배설되는 물질로 정상에서 B/C비율은 10:1로 유지된다. 증가시 단백과인섭취, 장관출혈, 열상, 고열, steroid대량투여, 소모성 질환
UA
Protein
RBC
WBC
Neg~Neg
0~1
0~3
/HPF
/HPF
+
0~2
0~2
* 종합의의
대개의 질병에서 알부민은 별 변화를 보이지 않거나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알부민의 감소로 인해 칼슘도 낮게 나온 것 같다. LDH는 lactate dehydronase라는 당분해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작용하는 효소의 이름이다. 이 LDH는 간, 근육, 골격, 뇌, 신장, 적혈구, 심장 등에 많이 분포하는 효소인데, 이러한 장기에 염증이 있을 때에는 LDH가 올라갈 수 있다. AST, ALT 상승으로 보아 급성 감염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BUN과 creatinine이 정상 범위 안에는 있지만 비율이 상승한 것은 고열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5. 간호과정
간호진단
1. 감염과 관련된 고열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 “열은 계속 있어요.”
객관적 자료 : 체온 → 38.5℃
식은땀으로 환의가 젖어 있음.
고열로 인한 빈맥 빈호흡이 나타남.
-과학적 근거 : 우리 몸이 열이 심하게 나면 많은 효소(우리몸의 여러 신진대사를 돕는 촉매)들이 기능을 정지하기에 따라서 많은 신진대사들이 멈추게 된다. 신진대사에는 생명과 직결된 것도 있기 때문에 위험한 것이다.
2. 고열과 관련된 두통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 “머리가 아파요.”
객관적 자료 : 체온 → 37.5℃ checked
이마에 손 얹으면서 인상 찌푸림.
-과학적 근거 : 반복적이고 만성적인 두통은 가장 먼저 뇌의 이상이나 감염 등에서 금본적인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다. 그 밖에 별다른 이상 없이 생기는 만성 두통은 대개 심인성 두통이다. 복잡한 일로 인한 스트레스나 정신적 갈등, 불안, 초조, 우울등이 원인이다. 두통 환자의 뇌를 보면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산소와 영양 물질이 잘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통에서 해방되기 위해서는 뇌의 혈액 순환과 산소의 공급에 신경을 써야 한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운동이다.
3. 잦은 기침과 관련된 인후 통증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 “침삼킬 때마다 목이 아파요.”
객관적 자료 : 목부위를 잡으며 힘들어 하심
coughing(+) sputum(-)
-과학적 근거 : 공기가 너무 건조해도 그렇고,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목이 많이 아플수 있다.
간호계획
간호목표1.
치료적 계획 : 체온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진단적 계획 : 고체온의 징후와 증상이 없다.
교육적 계획 : 열이 날 때 응급조치를 교육한다.
계획
수분섭취를 장려한다.
고열시 ice bag apply
항생제 들어감을 교육하고 호전 될 거라고 심리적으로 지지한다.
간호목표2.
치료적 계획 : 두통을 느끼지 않는다.
진단적 계획 : 두통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교육적 계획 : 두통시 대처법을 교육한다.
계획
동통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관심을 다른 곳으로 유도한다.
심할 시에는 두통약을 투여한다.
수액요법을 사용한다.
간호목표3.
치료적 계획 : 인후통증이 없다.
진단적 계획 : 인후통증의 증상,징후가 없다.
교육적 계획 : 인후통증 대처법을 교육한다.
계획
수분섭취를 장려한다.
가습기 apply
간호수행
간호수행1.
체액 손실 우려가 있으므로 환자에게 음료나 물을 많이 먹도록 권유했다.
고열을 호소하면 ice bag을 머리에 얹어 주었다.
항생제 들어감을 교육하고 점점 호전될 것이라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었다.
간호수행2.
언제 어떻게 머리가 아픈지 사정하였다.
환자가 통증 호소 시 다른 곳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가 원치않아 진통제는 투여하지 않았다.
간호수행3.
미지근한 물을 먹도록 권유했다.
가습기를 틀어주었다.
간호평가
간호평가1.
체온이 36.5℃로 정상범주를 유지하였다.
빈맥과 빈호흡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평가2.
더 이상의 두통 호소 없이 환자나 보호자 모두 편안해 하시고 일어나서 자주 움직이고 운동도 하셨다.
간호평가3.
인후통증의 경감을 보여 말을 할 때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으셨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2.17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