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S 조사 - 미숙아 (PREMATURITY),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IRDS), 신생아실 및 NICU 간호기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DS 조사 - 미숙아 (PREMATURITY),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IRDS), 신생아실 및 NICU 간호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미숙아 (PREMATURITY)

1. 미숙아의 정의
2. 미숙아의 원인
3. 미숙아의 특징
4. 미숙아의 임상증상
5. 미숙아의 생리적 취약점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IRDS)

1. 정의
2. 역학
3. 발생기전,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합병증
8. 감별진단
9. 예방
10. 예후


◆ 신생아실 및 NICU 간호기술

1. 정상 신생아 간호
2. 제대도관술(unbilical catheterization)
3. phototherapy의 적용 (실습 지침서 20p 참조)

본문내용

연고나 안약
- tetracycline(1%) 안연고나 안약
- 눈꺼풀을 벌리고 결막낭에 안약 2방울 또는 연고 1~2cm 점적 후 약이 잘 퍼지도록
눈꺼풀을 문지른다. 생리식염수로 눈을 헹구지는 않는다.
비타민 K 투여
- 출혈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근육으로 0.5~1mg 투여
- 외측광근이 주사부위로 권장됨
페닐케톤뇨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갈락토즈혈증, 겸상적혈구병에 대한 선별검사
HBV 예방접종
- 외측광근에 투여 (대둔근은 아직 발달되지 않았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제대간호
- 제대 절단면은 박테리아가 성장하는 훌륭한 매개가 되므로 소독이 필요하다.
- 소독방법 : bacitracin, 삼중색소(triple dye) 사용
- 제대의 기저 부위를 알코올 혹은 베타딘 면봉으로 하루에 적어도 2~3회 청결히 한다.
- 실습지침서 69p 참조
(4) 영양공급 (모유수유, 인공수유, 조제유)
모유수유의 장점
- 장에서 쉽게 소화
- 양과 질적으로 우수한 미세 영양소로 구성, 다량의 면역물질 함유
- 모유에 들어있는 콜레스테롤은 뇌성장에 필수적인 요소
- 친밀한 모아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는 심리적인 장점
모유수유 방법
- 혀 위에 유륜을 두고, 넓게 벌린 입의 뒤쪽에 젖꼭지의 끝이 닿아야 한다.
- nipple care : 임신 4~5개월 때부터 시작
인공수유
- 엄마의 모유보다는 상품화된 조제유나 농축유의 수유를 n이해 젖병을 사용하는 것
- 적어도 하루에 2시간 이상 빠는 것이 필요 ⇒ 구강 욕구 충족
조제유
- 보통 물 20cc에 한숟가락
- 조제유를 준비하였다가 수유 직전에 병에 붓는다.
- 수유 후 병에 남아있는 우유는 박테리아 성장에 최상의 배지가 되므로 버린다.
2. 제대도관술(unbilical catheterization)
혈액 가스 검사 자주 하거나 장기간 수액 공급이 필요할 때
제대동맥도관삽입(UAC)
- 대동맥의 분기 부위(L3-L4)나 횡격막 위(T6-T10)에 끝이 위치하도록
제대정맥도관삽입(UVC)
- 끝을 IVC의 횡격막 위치에 두도록 함
3. phototherapy의 적용 (실습 지침서 20p 참조)
목적 : 빌리루빈의 분해와 배설 증가
적응증
가. Total Bilirubin이 10㎎/㎗ 이상인 경우
나. Total Bilirubin이 5㎎/㎗ 이상이면서 용혈이 있는 경우
다. 미숙아(1500gm 미만)에서 예방적 광선요법을 하는 경우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2.21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4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