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신체 검진 및 재활 운동 방법 (시진(Inspection), 뼈의 촉, 임상 구역에 의한 연부조직 촉진, 운동 범위, 신경학적 검사, 정밀검사, 관절내 움직임 Joint Play).PPT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깨 신체 검진 및 재활 운동 방법 (시진(Inspection), 뼈의 촉, 임상 구역에 의한 연부조직 촉진, 운동 범위, 신경학적 검사, 정밀검사, 관절내 움직임 Joint Play).PPT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진(Inspection)
2. 뼈의 촉진(Palpation)
3. 임상 구역에 의한 연부조직 촉진(Soft tissue palpation by clinical zones)
4. 운동 범위(Range Of Motion)
5. 신경학적 검사(Neurologic Examination)
6. 정밀검사(Special Tests)
7. 관절내 움직임 Joint Play

본문내용

어깨 신체 검진 및 재활 운동 방법




1. 시진(Inspection)

(1)일반 환자의 시진
 - 환자가 진찰실로 들어올 때부터 시작.
 - 보행 시
  팔의 움직임이 규칙적인지, 좌∙우측이 대칭인지 관찰.
 - 탈의 시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양쪽이 동일한 움직임인지 관찰, 비정상적인 움직임은 한쪽이 일그러지거나 움찔하는 모양이 나타남.
 - 수포(blebs), 변색(discoloration), 찰과상abrasions), 반흔(scar) 등을 검사.
 - 과거나 현재에 가지고 있는 병변의 징후(sign of pathology)도 검사.
 - 양쪽 어깨의 비교 시진.
 - 비대칭(asymmetry)
  한쪽 팔이 몸 앞을 가로질러 내전 또는 겨드랑이가 보일 정도로 외전
  Erb\'s palsy - 팔이 내회전, 내전된 경우 (웨이터 팁 자세)(그림 1)

      ≪ 그 림 ≫
    그림 1. Erb\'s palsy




 - 견갑대 전면 시진
 ① 쇄골(그림 2)
  피부 위에서 명확하게 식별 가능, 골절 여부, 선천적으로 쇄골이 없는 경우 쇄골의 외형을 나타내는 융기가 없고 양쪽 어깨는 지나치게 둥글다.
 ② 견갑대의 전면에서 삼각근 부위(그림 2)

      ≪ 그 림 ≫
 그림 2. 쇄골은 거의 피하에 있고 피부 위에 뚜렷이 나타난다.

  정상 - 완만한 경사, 둥근 모양, 양쪽 대칭
  위축(atropy) - 상완골 대결절 아래부위 더욱 돌출, 어깨의 둥근 모양 소실
 ③ 견관절 탈구(shoulder dislocation)(그림 3)
  어깨의 비정상적 외형.

      ≪ 그 림 ≫
    그림 3. 견관절 탈구

 ④ 대결절의 전방전위(displacement)
  어깨의 둥근 형태 소실, 견관절 밑은 움푹 들어감, 팔은 약간 외전상태.
 ⑤ 삼각대흉구(deltopectoral groove)(그림 2)
  견관절 전면부의 외과적 절개술 시행의 효과적 위치,
  외관상 두드러지게 요측피 정맥(cephalic vein)을 나타내어 정맥절개를 위해 이용.




≪ … 중 략 … ≫




2. 촉진(PALPATON)
(1) 일반 환자의 촉진
 1) 뼈의 촉진(bony palpation)
 - 검사자의 자세
  환자는 앉도록 하고 검사자는 환자의 뒤에 서서 양 손을 삼각근과 견봉 위에 얹어 놓는다. 맨 처음 접촉시 안정감을 느끼도록 부드럽고 견고하게 만진다. 양손은 컵을 쥐고 있는듯한 자세로 자연스럽게, 손가락 끝으로 체온을 감지한다.
 - 흉골상절흔(suprasternal notch),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

      ≪ 그 림 ≫
  그림 9. 흉골상절흔과 흉쇄관절




 - 쇄골(clavicle)(그림 10, 11)

      ≪ 그 림 ≫
  그림 10. 쇄골의 촉진 : 내측 2/3는 볼록하고 관상 모양이다

      ≪ 그 림 ≫
  그림 11. 쇄골의 외측 1/3은 오목하다

 - 오구돌기(coracoid process)(그림 12)

      ≪ 그 림 ≫
  그림 12. 오구돌기

 - 견봉쇄관절(acromioclavicular joint)(그림 13)

      ≪ 그 림 ≫
  그림 13. 견봉쇄관절




≪ … 중 략 … ≫




5. 신경학적 검사(Neurologic Examination)

1) 일반환자에서의 신경학적 검사(neurologic examination)
 - 견관절 운동근의 각 부분마다의 근력(muscle power)을 평가.
 - 운동범위를 제한시킬 수 있는 운동근의 쇠약 정도를 나타냄.
 - 견관절에 분포되는 신경의 정상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근력검사, 반사검사, 지각검사를 시행함.

(1) 근력검사(muscle testing)
 - 견관절의 근력검사는 다음 아홉 가지의 동작이 포함됨.
  (a)굴곡, (b)신전, (c)외전, (d)내전, (e)외회전, (f)내회전, (g)견갑골 거상(elevation),
  (h)견갑골 후인(retraction), (i)견갑골 전인(protraction)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75페이지
  • 등록일2014.03.31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10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