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마케팅-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마케팅-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시마케팅이란 무엇인가?
등장배경
개념
목적
2. Hi Seoul 마케팅 전략
제정 배경
개념
Vision
Hi Seoul 마케팅의 중요성
Hi Seoul의 Target Market
Hi Seoul SWOT Analysis
Hi Seoul의 IMC(Integ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Hi-Seoul Festival
3. 도시마케팅의 사례
뉴욕
런던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 냈다는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3.2 런던
런던의 도시브랜드 지향이미지
런던은 왕정시대의 화려함과 명성이 쇠퇴하자 실용성과 새로움을 추구하는 영국적 활기를 부각시키자는 움직임으로 ‘Creative London' 브랜드 슬로건을 제정하였다. 현대사에 있어서 주요 발명의 70%가 영국에서 이루어졌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세계발명의 5분의 1이 영국인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이러한 모든 발명이나 개혁을 비즈니스에 접목하여 성장의 열매를 따지는 못했다. 또한 런던은 역사와 전통이 가장 강하게 연상되는 도시지만 비와 안개 등의 기후환경 탓으로 여행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유럽의 수도로서 런던의 분위기를 쇄신하자”는 전략으로 “변화무쌍하고 역동적인 런던을 지향한다.”는 의지와 아이디어와 열정으로 가득 찬 런던의 정체성을 ‘Creative London던’이라는 단어로 함축시켰다.
런던의 마케팅 전략
런던은 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문화상품이다. 런던은 역사적 건물의 보존을 통하여 역사교육의 장과 관광장소로 이용하고, 이곳을 중심으로 각종 축제를 개최한다.
런던은 모든 세대가 즐길 수 있는 폭넓은 오락물로 연극, 뮤지컬, 음악무대 등을 갖고 있으며 특히 풍부한 이야기 거리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세계최고의 뮤지컬을 창작해낸다. 런던은 세계적인 문화와 예술, 경제의 중심지로서 세계 최고의 오페라, 연극, 뮤지컬의 무대이자 공연의 중심지이며 오랜 전통부터 새 것까지 모든 문화가 어우러진 곳이다. “캐츠”, “미스 사이공”, “오페라의 유령”, “레미제라블”등 유명한 뮤지컬들이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성공한 후에 미국 뉴욕 브로드웨이나 라스베가스 등에서 공연된다.
패션에 있어서도 밀라노, 파리, 뉴욕 등과 함께 동일한 수준이다. 런던의 물가는 세계적으로 비싸지만 한해 1천만이 넘는 방문객들이 런던을 찾고 있으며 그 이유는 그곳에 가면 보고느끼며 즐길 수 있는 문화가 있기 때문이다.
런던에서는 레저산업과 관광을 위해 런던을 방문하는 최고의 사업가에게 유로스타에서 후원하는 런던방문상을 수여하고 있다.
오늘날 런던이 문화의 중심지로 정착된 원인은 편리하고 잘 갖추어진 대중교통체계가 그 역할을 하고 있다. 도시의 구석구석을 연결하는 노선망 등 편리한 대중교통 체계는 런던을 하나의 문화상품이라 가정했을 때 상품성과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기반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그에 따라 런던은 다른 도시들보다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한 이미지가 존재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Ⅲ. 결론
전 세계적인 금융 파동으로 우리나라 경제가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관광 산업은 고용창출, 외화획득 등 경제에 대한 파급 효과가 크므로 흔히 관광 산업은 '굴뚝 없는 산업'이라 할 만큼 그 파급효과가 높다. 특히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원자재 수입 가격을 결정하는 환율마저 안정이 되지 않아,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 이런 이유로 도시마케팅 전략이 관광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우리경제는 성장해도 일자리가 쉽게 늘지 않는 이른바 '고용 없는 성장'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동력을 대규모로 흡수할 수 있는 관광 산업이 새로운 성장의 동력이자 고용 창출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것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도시마케팅 전략은 도시의 긍정적, 독특한 가치의 발굴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도시정부의 창의성과 아이디어의 창조로 이어지는 것으로 도시정부의 중요한 핵심 과제이다. 글로벌 경쟁과 도시마케팅은 경쟁시장과 핵심 장소로써의 전제를 놓고 볼 때 세계 각국 도시들은 앞 다투어 전략과의 승부수를 띄울 수밖에 없는 현실이 되었다.
따라서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도시마케팅의 정책과 전략이 도시정책의 중요한 핵심과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도시마케팅이라는 전략이 외국인 방문객 유치 및 도시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도시마케팅 전략의 실행의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히 있음에 따라 다른 도시들도 도시마케팅 요소를 발굴하고 종합적인 도시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참고자료
http://hiseoulbrand.sba.kr/
http://www.hiseoul.pe.kr/
http://100.naver.com/100.nhn?docid=777114
http://news.donga.com/3/all/20111006/40869982/1 동아일보 2011.10.06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1004000574
헤럴드경제 2011.10.19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5/31/2011053101505.html
조선일보 2011.05.3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3821624 뉴시스 2011.04.26
http://www.newstown.co.kr/?r=home&m=newstown&bid=bc&uid=103656 뉴스타운
도시 마케팅 측면에서 본 하이서울 페스티벌 연구, 방선주, 2009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 마케팅 전략, 이무용, 2006, 논형
도시 마케팅의 이해 : 도시전략 / 주거문제와 대안, 유승권, 2006, 한솜미디어
장소메케팅 전략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재, 2007, 전남대 대학원
도시브랜드 마케팅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수영, 2010, 건국대학교
Hi Seoul’과 ‘Dynamic Busan’의 도시브랜드개성의 비교, 윤태환, 2010
서울지역 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Hi Seoul Festival을 중심으로, 김희선, 2005
'NYC & Company' 를 중심으로 본 뉴욕시의 관광홍보, 세계도시현장리포트 뉴욕편, 2001
도시를 브랜드 하라, KBS 스페셜, 2011.07.17
  • 가격3,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5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