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태, 노동운동의 원인과 활동 및 예, 193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적 성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노동운동(노동운동의 배경과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태, 노동운동의 원인과 활동 및 예, 193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동운동의 배경
2. 조선 노동자들의 노동조건과 생활상태
3. 노동운동의 원인
4. 노동운동의 예 (1930년~1936년)
5. 혁명적 노동운동
6. 중일전쟁 이후의 노동운동
7. 193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적 성격
8.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가거나 아니면 활동이 정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적색노동조합의 조직되고 항일무장투쟁에의 참가가 이루어졌다.
2) 주요 적색노조사건
- 함경도 : 1930년 함흥을 중심으로 당재건 공작을 추진함과 아울러 흥남을 중심으로 조선노동조합전국협의회를 조직하여 경기 황해 황남북 전남 경남북 등에적색노동조합을 조직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제1차 , 2차, 3차, 4차 태평양노동조합사건, 흥남적색노조사건, 원산적색노조사건 및 잡다한 대소 적색노조사건이 발생하였다.
- 평안도 : 신의주 평양 진남포 등지에 일찍부터 공장노동자가 매우 많았으며 특히 평양은 노동운동이 매우 맹렬했던 곳이다. 신의주비합법공장노조사건 평양적색노조사건 겸이포적색비사사건 해주적색노조사건 등이 있었다.
- 경성지방 전라도지방 경상도지방 : 조선공산당재건협의회사건, 보성고보반제반사건, 조선공산당공작사건, 전남노농협의회사건, 조공재건운동사건,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 여수사회과학연구회, 여수적색노조준비사건 등이 있었다.
- 압록강 두만강 연안지대의 한만국경 : 항일무장투쟁의 근원은 의병투쟁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즉, 의병운동은 독립군 운동으로 형태를 바꾼 것이다. 만주지방에의 이주자들의 압도적 다수는 일반대중이었고 국내에서 노동운동이나 농민운동을 통하여 민족 해방투쟁의 일익을 담당하다가 가열해지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도망 오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그러므로 만주지방에 있어서의 항일 무장투쟁이 노농운동의 직접적인 연장이라고는 말할 수 없을지라도 우리는 그 무장투쟁을 담당했던 사람들이 거의 모두가 조선에서 일제의 압박에 밀려간 조선의 노동자 농민이었으며, 또 그 지도자들이 노동운동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담당자였다는 의미에 있어서 노동운동의 전화된 형태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9』, 국사편찬위원회, 1991, 130~134쪽
7. 1930년대 노동운동의 역사적 성격
조선봉건사회 말기부터 임금노동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개항과 더불어 근대적 임금노동이 급속히 성장했다. 이러한 노동자계급을 중심으로 이미 노동자 단체의 조직과 노동운동이 19세기 말엽에 발생하여 일제하 전 기간을 통해서 발전했으며, 그 유산 위에서 현재의 노동운동도 활발히 전개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 시기의 노동운동의 특징은 ,
① 1910년까지만 해도 비조직적이고 자연발생적이며 산발적인 초기적 노동운동이 일어났으나 1920년대부터는 조직화된 전국적인 규모의 근대적 노동운동으로 발전했고, 일제가 파쇼화해가는 1930년대 이후에는 지하에서 반일구국투쟁을 할 만큼 그 조직이 강인해졌다.
② 근대적 노동운동이라고 하지만 1920년대 전반기에는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질 만큼 어려웠으나, 후반기로 옮겨감에 따라 노동운동이 분리되어 독자적인 노동운동으로 발전했고, 노동조합의 노동운동에 대한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③ 이상과 같은 노동운동의 발전과정을 반영하여 노동조합의 조직형태도 처음에는 잡다한 모임에서 점차 직업별 노동조합도 생기고 30년대에는 산업별 노동조합형태도 나타났다.
④ 노동운동의 목적도 처음에는 상호부조를 내세웠으나 점차 임금인상, 노동시간 단축 등 노동조건의 유지향상으로 진일보했고, 나아가서는 민족독립을 위한 투쟁과 반파시즘, 평화와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정치투쟁으로 발전되어 갔다.
⑤ 노동운동의 심도와 범위를 보더라도 남한중심에서 북한으로 노동운동이 확대되어 전국적인 것이 되었고, 산업별로는 부두에서 광산유통부분, 그리고 식민지 공업화에 따라 제조공업부문으로 확대되었다.
⑥ 일제가 1931년에 만주사변을 일으킨 후 노동세력의 강화에의한 파업투쟁이 고조되는 가운데서 탄압이 심했기 때문에 노동쟁의가 공장점거, 경찰서 습격 등 폭력화되었고 집회금지 조직해체를 단행했기 때문에 적색노동조합이 생기는 등 노동운동은 좌경화 비합법조직화 되어 갔다. 더욱이 노동운동에 대한 극도의 탄압은 노동운동을 항일무장 투쟁의 방향으로 전환 시켰다. 1937년에 중 일 전쟁이 일어나고 41년에는 태평양전쟁이 일어나 일제의 군사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서 고도 국방국가를 내세워 정치 경제 사상 문화 등 각 분야에서 통제를 가하기 시작했고 노동력을 군사목적에 동원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집회금지 및 기타 탄압이 심했기 때문에 노동 운동은 지하로 완전히 잠복했고 태업이 일반화 되어 노동생산성이 떨어지고 노동자들의 도주 이탈이 심했다. 그리고 관리에 대한 폭행과 국경지대에서의 무력항쟁 등 폭력적 항거와 적대적 행위가 감행되었다.
∴ 일제하 노동운동의 특징은 일본자본에 의한 노동의 절대적 종속이 강요되고 식민지적 착취가 감행되며 반일민족해방의 거족적인 요청이 팽배한 가운데서 민족해방의 높은 가치를 정치적 목표로 하고 반일구국투쟁의 각종 운동에 앞장섰던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 국사편찬위원회 , 1991, 135~136쪽
8. 맺음말
1930년대 노동운동에 대한 조사는 여기서 끝이 납니다. 발표자로서 평가하자면 , 1930년대 노동운동이 갖는 의의는 많습니다. 반일 구국 투쟁으로 발전했다는 점 , 농민운동과 분리되어 독자적인 운동을 펼쳤고, 노동조합형태도 많이 나타났습니다. 또한. 민족독립을 위한 투쟁과 반파시즘, 평화와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정치투쟁으로 발전되어 갔다는 점입니다.
그렇지만 어느것에나 동전의 양면은 존재하듯 한계도 있습니다. 가면 갈수록 노동자의 계급이 분화되고, 일제에 가혹한 탄압으로 인해 운동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또한 사회주의와의 연대만 있었기 때문에 민주주의자까지 아우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희의 조사가 많이 부족하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편향적인 경향을 나타낼 수도 있으니 독자 분들은 감안하시고 이 자료를 읽어주셨으면 합니다. 지금까지 자료를 읽어주시고, 인터뷰 내용을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박영석,『한민족 독립 운동사 9』,국사 편찬 위원회 1991
『한국사 14』,한길사 2004
『한국 현대 사회 운동 사전』,열음사,1988
윤대원, 『식민지시대 민족해방운동』, 한길사 , 1990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4.06.1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