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막이 공법 종류 및 도해(강널말뚝 공법, S.C.W.공법, C.I.P. 공법, 지하 연속벽 공법, 자립식, 버팀보, GROUND ANCHOR 공법, SOIL NAlLING 공법, TOP DOWN 공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흙막이 공법 종류 및 도해(강널말뚝 공법, S.C.W.공법, C.I.P. 공법, 지하 연속벽 공법, 자립식, 버팀보, GROUND ANCHOR 공법, SOIL NAlLING 공법, TOP DOWN 공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0. Flow Chart
01. 강널말뚝 공법 (Sheet Pile 공법)
02. S.C.W.공법 (Soil Cement Wall 공법)
03. C.I.P. 공법 (Cast In Place Pile 공법)
04. 지하 연속벽 공법 (Slurry Wall 공법)
05. 자립식
06. 버팀보(STRUT)
07. GROUND ANCHOR 공법
08. SOIL NAlLING 공법
09. TOP DOWN 공법

본문내용

정리 → Cap Beam설치
비교항목
자 립 식
1. 개 요
- 버팀대, 띠장 등의 지지구조를을 가설하
지 않고 토류벽의 휨저항 및 근입부분 지
반의 휨저항에 의해 토압을 부담시키고
굴착
- 흙의 강도가 크고 얕은 굴착에서 사용하
며 심도가 깊어질 경우 소단을 설치하여
안전을 보완할수 있다.
- 연약지반에서는 근입장이 상당히 길어
진다.
- 자립성이 큰 지반 : 5-6m 이내
- 연약지반 : 3~4m 이내
2. 특 징
- 버팀대가 없으므로 기계 굴착이 가능
- 공기단축
- 벽체변형과 주변지반의 침하가 크므로 시가지에서의 채택은 한정된다
3. 경제성
- 공사비가 가장 저렴
4. 유지.관리
-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5. 환경성
- 양호
6. 종합평가
- 경제성에서 가장 양호하나 제약이 많다.
비교항목
버팀보(STRUT)
1. 개 요
- 토류벽체 시공
- 필요한 위치에 중간 말뚝(post pile) 설치
- 단계별 굴착 후 띠장(wale)설치 및 버팀대 거치
- 굴착규모가 중규모 이하로써 평면형상이 사각형일 때 적용
- 외부용지에 여유가 없을 때
- 인접대지에 대해 G/A 시공이 불가한 경우
- 전지층에 적용가능, 특히 연약한 점토 또는 느슨한 상태의 매립, 퇴적 사질토지반에 대해서는 매우 적용성이 좋은 공법
2. 특 징
- 버팀대의 압축강도 그 자체를 이용하므로 응력상태 확인가능
- 굴착면적이 좁고 깊을 때 유리하며 연약한 지반도 시공가능
- 비교적 변형이나 파괴를 조기에 판별 할 수가 있으며, 시공후 보강이 용이
- 굴착면적이 크면 버팀대 자체의 비틀림, 이음부분의 좌굴우려
- 주변 지반 침하 발생 우려
- 굴착평면의 크기에 제한 받음 (1변의 길이 50~60m한도)
- 버팀보가 내부의 굴착 및 구조물 공사에 지장을 준다.
- 버팀보의 국부적 파괴가 토류구조물 전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 넓은 지역에서는 사용이 곤란하며 고가이므로 시공이 곤란
- 시공 편의상 조기 버팀대 설치가 어려워 배면 변형을 초래
3. 경제성
- 공사비가 비교적 고가이다.
4. 유지.관리
-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5. 환경성
- 양호
6. 종합평가
- G/A 시공이 어려울 경우 적용
비교항목
GROUND ANCHOR 공법
1. 개 요
- 토류벽체 시공
- 단계별 굴착후 띠장(wale)설치
- G/A시공을 위한 천공 후 Anchor체 삽입
- 1,2차 및 3차 그라우팅 주입
- 앵커체 인장, 정착 및 시험
- 굴착면적이 넓을 때
- 양호한 앵커체 정착지반이 있고 피압지하수가 없을 때
- 현장 외부 용지에 여유가 있을 때 또는 앵커체 영향범위내의 용지사용에 대한 승인을 득했을 때
- 연약 점성토층을 제외한 전지층
- 보통 조밀~매우조밀한 상태의 사질 토지반에 용이
2. 특 징
- 일반 지형에 적용성이 높다. (단, 점토질 및 자갈층에서 제외)
- 대규모, 저심도 현장에 적합
- 토류구조물의 변형을 비교적 쉽게 판별
- 굴토공사 및 건축 구조체 공사가 편리
- 굴토공사 기간이 비교적 유리함.
- 소규모 현장에도 적합(장비 소형)
- 대심도 공사시 토공사의 장기화로 인한 벽체 변위의 누적확대
- 타대지 사용할 때 동의서 획득 및 사용료 지불
- 시공후 보강이 어렵다.
- 천공홀에 대한 별도의 차수대책이 필요
- 배면지반의 침하에 대한예측, 대책 필요
- 추후 근접지대의 굴토 공사시 Strand 해체가 문제됨 (타대지 침범시)
3. 경제성
- 공사비가 비교적 저렴하다.
4. 유지.관리
-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5. 환경성
- 양호
6. 종합평가
- 경제성 및 안정성에서 비교적 양호
비교항목
SOIL NAlLING 공법
1. 개 요
- 토류벽체 시공(엄지말뚝, SCW)
- 천공 및 Nail 삽입
- Grouting 실시.(1차)
- 와이어메쉬, 수평철근, 지압판설치
- 숏크리트 타설.
- Grouting 실시(2차)
- 현장 조건에 따라 적용성이 좋다.
- 사면안정, 교대, 옹벽, 기초하부보강 흙막이, 기존벽체 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
- 거의 전지층에 적용 가능
- 연약한 점토 또는 느슨한 상태의 매립, 퇴적사질토 지반에 대해서는 지지효과가 떨어짐
2. 특 징
- 부지면적 및 모양에 제한을 받지않는다.
- 버팀에 의한 장애가 없어 공기 절감 및 공사비 저렴
- 지하구조물에 작용하는 토압이 경감되어 구조물 단면을 줄일수 있다.
- 시공장비가 소형이므로 현장 적용성이 높다.
- 지하수위가 높은 지반 및 연약한 지반(N<10)에는 사면파괴의 발생우려가 높다.
- 절토에 의한 비탈면 변형이 심하므로 인접대지의 침하 예상
- 대심도 공사시 토공사의 장기화로 인한 벽체변위의 누적 확대
- 타대지 사용할 때 동의서획득 및 사용료 지불
- 시공후 보강이 어렵다.
- 천공홀에 대한 별도의 차수대책이 필요
3. 경제성
- 공사비가 비교적 저렴하다.
4. 유지.관리
-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5. 환경성
- 양호
6. 종합평가
- 경제성에서 비교적 양호
비교항목
TOP DOWN 공법
1. 개 요
- 토류벽 설치(Slurry Wall)
- 기초용 기둥의 설치
- 토공 및 건축 구조물의 시공(역타)
- 현장 규모가 중규모 이상(Plant 설치 및 굴착장비 이동공간과 철근망 제작 장소가 필요함)
- 1층 Slab 타설 완료후 1층을 작업장으로 활용가능
- 전지층에 적용가능
- 연암반 이상의 기반암층에서는 굴착 효율이 떨어짐
2. 특 징
- 부지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 인접 구조물의 보호와 연약지반의 안정성 확보.
- 지하, 지상 구조물의 동시 시공으로 공기의 단축 및 관리비절감
- 도심지 공사에서의 민원의 최소화 (소음, 분진의 최소화)
- 주변지반의 침하의 최소화 (역타에 의한 토공작업의 진행)
- 협소한 현장일 경우 공기가 연장될 수 있다.
- Slab 타설후 토공대기 시간이 발생됨 (양생)
- 별도의 설비가 필요함 (강제배기, 지하조명)
3. 경제성
- 공사비가 고가이나, 굴착심도에 따라 타 공법보다 저렴할 수 있다.
4. 유지.관리
- 시공시 건축과의 긴밀한 협조 시공이 필요
5. 환경성
- 도심지 공사에서 민원 최소화
6. 종합평가
- 안전성에서 가장 양호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7.24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1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