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질서와 중국의 대외정책-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와 중국 및 중국의 대외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질서와 중국의 대외정책-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와 중국 및 중국의 대외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와 중국
1) 동아시아질서의 변화
2) 탈냉전기 중국의 국가목표와 안보전략

2. 중국의 대외정책
1) 대외정책의 변화
(1) 냉전시기 중국의 대외정책
(2) 냉전 종식 이후 중국의 대외정책
2) 중국의 동아시아정책

본문내용

‘중국위협론’이 중국을 압박하는 가운데 2003년 ‘평화적인 부상’ 화평굴기(和平起) 외교전략을 통해 중국이 강대국들과 주변 인접 국가들에게 중국이 위협이 되지 않고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점을 표명하였다. 중국의 국가목표가 경제발전인 만큼 경제발전을 위한 안정적인 주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킬 필요성이 높아진 것이다. 2002년 11월 중국 공산당 제16차 당대회에서 선출된 새 지도부는 21세기의 초반 20년이 번영된 사회 건설이라는 중국의 목표를 신속히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전략적 기회”의 시기라고 선언했다. 중국지도부는 이러한 기회를 현실화하기 위한 최선의 전략으로 미국 및 국제사회에 대해 ‘적극적 관여정책’을 취하기로 결정을 내렸다(이태환 2004: 21)
화평굴기(和平起) 외교전략은 평화로운 환경을 이용해 중국의 발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발전을 통해 세계평화를 유지하여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국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 나가는데 있어 국제사회로부터 중국이 평화를 지향하며 책임 있는 대국으로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동시에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과 일본의 노력을 상쇄하고, 주변국들의 두려움을 불식시키기 위한 것이다(김흥규: 2).
2006년 1월 3일 중국외교부 대변인 류젠차오는 2006년 중국의 대외정책의 원칙은 갈등보다는 화합을 최우선시(和字爲先)하는 정책을 지향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는데 이는 그간 중국이 보여주었던 공세성을 완화하고 속도조절을 시도할 것이라는 것을 표명한 것이다(김흥규: 5). 이는 중국이 국내발전문제에 더욱 치중하며 ‘중국위협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국제적으로 평화로운 발전전략을 지속하겠다는 의사를 국제사회에 강하게 전달한 것이다. 중국의 화자위선은 아직 중국의 외교 전략으로 자리를 확고히 잡고 있는 개념은 아니지만 장쩌민체제의 도광양회론과 다른 점은 보다 적극적인 외교행위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2) 중국의 동아시아정책
냉전기 중국은 국력상의 제약으로 인해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구하지 못했다. 그동안 중국은 미국과 소련과의 관계를 우선시 하였지 지역국가들과의 독자적인 관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지역주의를 강조하는 것을 주저해 왔다(김재철: 8). 그러나 중국의 경제발전에 주변국과의 관계가 더욱 중시되면서 중국은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밀접한 연계 속에서 진행되었다. 동아시아 국가들은 중국에 시장, 자본, 기술을 제공하는 등 중국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의 주요 교역대상 국가들이자 동시에 주요 투자국들이라는 점에서 확인된다.
중국은 탈냉전과 동시에 전개된 다극화 추세 하에서 강대국들과의 관계 증진에 관심을 기울이는 한편, 아시아에서 강대국들간의 관계 변화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강대국관계 중에서도 중국은 미-중-일 삼각관계를 21세기 동북아 질서형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보고 있다.(唐永勝: 32-35) 한편 중국지도부는 미-중-일 삼각관계를 중시하는 가운데에서도 자국의 경제성장에 대해 높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의 경제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중국은 자국의 안보를 확보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두던 데서 점차 자국의 등장에 대한 지역 국가들의 경계심을 해소하는 동시에 자국의 영향력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정책목표를 변화시켜 왔다.(김재철: 9) 이는 중국의 한반도정책에도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은 과거 경제중심의 한반도정책에서 벗어나 정치안보적 측면에서 한중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