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는 무엇인가? 미래 대체 에너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그리드\'는 무엇인가? 미래 대체 에너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림인데 이는 구식기술이고 이러한 녹색에너지 발전소는 많은 단점을 가진다.
녹색에너지의 단점
대부분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출력 예측이 어렵다
출력 조정이 어렵다.
출력이 불규칙하다.
직류전기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가졌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 있는 녹색에너지를 상용화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5]
[그림5]는 제주도 풍력발전소의 시간별 발전량인데 출력이 상당히 불규칙한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발전소의 유지가 어려워 현재 우리나라는 풍력발전소 건설을 규제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림6]
[그림6]은 풍력발전소에 스마트그리드를 적용한 모습이다.
오른쪽 그래프에서 빨간선은 스마트그리드를 적용하기 이전의 발전량을 나타낸 것이고, 녹색선은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발전량의 조정을 가능케한 모습이다. 이로써 풍력발전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고, 화석연료를 대신 할 수 있는 막강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다.
[그림7]
[그림7]은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망을 융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Smart Grid의 시스템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그림1]의 과정을 정보통신망으로 조정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이로써 조정, 예측이 어려웠던 녹색에너지의 발전도 수월하게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림8]
[그림8]은 [그림2]에서 Smart Grid를 통한 변화를 보여준다. 기존 전력량의 공급에 비해 상당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스마트 그리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스마트 그리드는 단순히 전력망을 지능화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산업과의 연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2030년에는 1경원에 달하는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 절감
스마트 그리드의 최종적인 목표는 에너지 절감이다. 필요한만큼의 전기를 생산하고, 남는 전기는 축전기를 통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공급하여 버려지는 전기를 줄일 수 있다. 또 전력수요를 분산시켜서 발전 설비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분산 전원 방식을 통해 송배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기 품질 향상
전기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전력수요가 일정 시간대에 몰리지 않게 분산시키고, 전력 공급이 끊기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를 대체할 송배전 선로를 통해 전기를 보내도록 설정하는 등 유연한 대처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높은 품질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만이 살길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0.05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3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