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조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의 제기
 2. 조사의 내용

Ⅱ. 본론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처리
 4.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Ⅲ.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본문내용


251
-.3048100
보상 요인
251
-.8118963
유효수 (목록별)
251
2) 공사, 공기업의 위치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1
-.1934209
보상 요인
251
.6352533
유효수 (목록별)
251
3) 대기업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1
.2056962
보상 요인
251
.1856151
유효수 (목록별)
251
4) 중소기업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1
-0.0821065557
보상 요인
251
-.4098607
유효수 (목록별)
251
5) 공무원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0
-.2707247
보상 요인
250
.7624531
유효수 (목록별)
250
6) 대학원진학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0
.6841863
보상 요인
250
-.3947373
유효수 (목록별)
250
7) 고시
N
평균
자아실현 요인
250
-00373218737457
보상 요인
250
003477637947297
유효수 (목록별)
250
(18) 이상적인 직업에 관해 군집 분석한 결과(4개로)
최종 군집중심
군집
1
2
3
4
전공소질
5
6
6
6
존경받기
4
5
6
5
봉사하기
4
4
6
5
자립용이
4
6
6
5
고용안정
3
6
6
5
경제안정
4
7
6
5
Ⅲ. 결론 및 제언
1. 결론
이 연구는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진로 의식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직업과 직업획득을 위한 준비 등 다양한 인식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위해 대학당국에서 학생들의 진로결정을 위해 제공해야 할 점들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희망 진로
둘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이상적인 직업조건 기준
셋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전공 선택
넷째, 고려대학교학생들의 진로관련 준비사항
다섯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학교이용현황 및 원하는 강좌
위의 연구내용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이상적인 직업의 조건으로 직업 사회에 대한 봉사부분을 다른 사항보다 중요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장차 국가의 성장에 일익을 담당할 지식인의 자세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개인의 소질을 살리고 경제적 안정에 초점을 맞추는 자세가 나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한국의 명문대학인 고려대학교 학생의 자세로써는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둘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진로는 고시, 대기업, 대학원 순으로 나타났다. 세 진로의 합계가 70%에 가까웠고 특히 고시의 비중은 30%나 되었다. 이는 지나친 고시집중현상을 보여주는데 단지 수치상의 비율이 높아서 우려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계획(자기적성파악, 정확한 정보획득 등)을 가지지 않고 주변의 권유나, 학교 전반적인 분위기 등으로 진로를 성급하게 결정짓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결과는 심층면접 등의 예비 조사에서도 나타났고, 1~4학년 각각의 선호 진로 순위가 고학년의 고시 결정 비율이 저학년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는 현상에서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셋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42.5%는 현재 본인의 전공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을 전환하고 싶다고 답변한 학생들의 대부분은 입학할 때 전공 선택은 흥미, 관심, 장래 직업 준비 때문이라고 대답한 경우가 많음을 살펴볼 때, 결국 자신의 적성, 흥미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했고 장래 직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 관련 정보를 친구나 선배에게 듣는 정보에 의존하거나 인터넷에서 스스로 찾는 비율이 80% 정도라는 결과와 같이 묶어 보면 향후 진로결정 순간에 의도했던 진로로 나아가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몇 년간의 진로를 노력이 좋은 결과로 돌아오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넷째,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진로에 대해 목표의식을 가지고 진로 준비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하려는 투자도 적절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수업 및 프로그램들의 활용은 7점 척도의 4.17 점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진로 준비를 위해, 진로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 개설, 자격증 특강, 취업준비 및 면접 특강 등의 구체적인 강좌를 학교 당국에서 개설해 주기를 원하는 데서 학교 당국의 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대학 당국의 노력과 학생들의 노력이 결합되어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때, 대학의 위상과 학생들의 만족도가 함께 상승할 것이다. 동반자적 입장에서 양자의 노력이 함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제언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학생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 결과를 전체 고려대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으로 일반화시키기는 어렵다. 전체 고려대학생의 정확한 진로의식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를 학교당국이 받아들여 보다 정확한 연구의 틀로 사용하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고 결과가 보다 낳은 진학지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고려대학교의 학사행정의 효율화와 대외 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본다.
1) 진로 상담의 의무화 및 활성화
첫째, 진로상담실의 홍보를 저학년 위주로 하여 저학년일 때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 또 인터넷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메일로 통보하여 홍보효과를 높여야 한다.
둘째, 각종 심리검사를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통보해 주는 서비스를 먼저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전문상담요원을 확충하여 정기적인 개인 상담과 집단상담을 통해 학생들의 의식개혁을 꾀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2)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강좌개설
첫째, 구체적으로 자격증 획득, 취업준비에 도움이 되는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봉사에 대한, 사회공헌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수업을 개설하거나 사회봉사를 학점으로 인정해 주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들을 고려대학교가 시행한다면 학생들의 진로의식을 더욱 고취시키고 진학지도의 질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4.10.13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