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이문화 이해교육, 이질성과 동질성의 문화, 한국어와 일본어의 발음상 문제점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anguage Culture in Japan)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개론] -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과 언어문화, 이문화 이해교육, 이질성과 동질성의 문화, 한국어와 일본어의 발음상 문제점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anguage Culture in Japa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문화(異文化) 이해 교육
 가) 자기민족중심주의를 없애는 교육
 나) 복은 안으로, 귀신은 밖으로 (福は内、鬼は外 in group, out group)
 다) 이문화 이해 교육의 기본 방침
 라) 일본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의 개선해야 할 사항

2. 이질성과 동질성의 문화
 가) 오신코(お新香)와 침채(沈菜)
 나) 낫토(納豆)와 청국장(清麹醤)
 다) 오조니(お雑煮)와 떡국

3. 한국어와 일본어의 발음상 문제점


4. 일본인이 한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점


5. Life stage의 문화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간장을 쳐서 따뜻한 밥에 얹어 먹는다. 이와 같이 콩을 발효시켜 먹는 것하고, 그 발효한 것을 끓여 먹는 것하고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다) 오조니(お煮)와 떡국
새해가 오면 정월 초하룻날에 오조니를 먹는다. 우리나라 떡국과 비슷하다. 오조니는 찹쌀로 만든 네모진 떡을 넣어서 끓인 것이고, 떡국은 멥쌀로 만든 떡가래를 만들어 먹기 좋게 썰어서 끓여 먹는 음식이다. 다른 것은 네모진 떡을 두서너 개 넣어서 끓인 찰떡국과, 떡가래를 얇게 썰어서 끓여 먹는 것의 차이이다. 그런데 일본의 찰떡은 크고 찰 져서 정초에 노인들이 먹다가 목에 걸려 죽는 예가 많다.
3. 한국어와 일본어의 발음상 문제점
가) ㄴ과 ㅇ의 종성 발음 구별
종성 발음은 일본인들이 발음하기가 가장 어려운 발음이다. 그래서 발음 연습을 아래와 같은 말로 연습을 시킨다.
「간장 공장 공장장 된장 공장 공장장
ㄴ+ㅇ ㅇ+ㅇ ㅇ+ㅇ+ㅇ ㄴ+ㅇ ㅇ+ㅇ ㅇ+ㅇ+ㅇ
설음과 후음의 구별이 어렵고 연음으로 발음을 하면 아무래도 설음 발음으로 나와 버린다. 그것을 고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을 되풀이해야 한다.
나) 격음의 발음
격음 ㅊ, ㅋ, ㅌ, ㅍ의 발음
ㅊ: 일본어의 チャ(茶) 행음에 가깝게 내는 음으로 유기음의 숨을 뱉아 내는 것 같이 격한 소리로 발음을 한다.
ㅋ: 일본어의 カ 행의 음을 숨을 뱉듯이 격한 소리로 발음을 한다.
ㅌ: 일본어의 タ 행의 음을 숨을 뱉듯이 격한 소리로 발음을 한다.
ㅍ: 일본어의 パ 행의 음을 숨을 뱉듯이 격한 소리로 발음을 한다.
다) 경음의 발음
경음농음(硬音濃音)의 ㄲ, ㄸ, ㅃ, ㅆ, ㅉ 발음
ㄲ: 일본어 カ 행의 음에 발음하기 전에 숨을 정지하는 것같이 발음을 한다.
ㄸ: 일본어 タ 행의 음에 발음하기 전에 숨을 정지하는 것같이 발음 한다.
ㅃ: 일본어 パ 행의 음에 된소리로 발음한다.
ㅆ: 일본어 サ 행의 음에 된소리로 발음한다.
ㅉ: 일본어 チャ 행의 음에 된소리로 발음한다.
4. 일본인이 한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점
가) 한자어의 발음이 한국어와 일본어가 같은 점
( 관 / カン) : 官、冠、、、、管、慣
( 시 / シ ) : 市、始、視、示、詩、試
( 산 / サン) : 山、産、算、散、酸
( 기 / ギ、キ): 、起、記、基、期、奇、企、旗、忌、器、機、騎
( 대 / タイ) : 大、代、待、、貸、隊、台、
( 가 / カ ) : 可、加、歌、架、
( 비 / ヒ ) : 妃、比、非、批、卑、秘、飛、費、悲、碑
( 신 / シン) : 神、新、信、辛
( 유 / ユウ) : 由、有、裕、誘、遊
나) 한국어와 일본어의 음이 비슷한 점()
( 사 / シ ) : 史、司、仕、四、死、私、使、思
( 지 / シ ) : 止、支、志、指、紙、誌
( 하 / カ ) : 下、何、河、夏、荷
( 화 / カ ) : 火、花、化、禍
( 천 / セン): 千、川、泉、
등등 많이 대조할 수 있다.
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어
기분 / きぶん(分)
얽보 / エクボ
쫌보 / ちょんぼ
높보 / のっぽ
꾀병 / けびょう
잔치 / チャンチキ(祝宴)
국 / コク(スプ)
하나 / ハナ
매 / メ
총각 / チョンガ(未婚の男)
다발 / たば(束)
고을 / こおり
5. Life stage의 문화
가) 미각의 차이와 의복의 차이
한국인은 혀로 미각을 느낀다면, 중국인은 코로 미각을 느끼고 일본인은 눈으로 미각을 느끼는 것 같다.
한국인은 치마저고리, 일본인은 기모노, 중국인은 차이나 드레스를 입는다.
나) 미식(味食)의 습관
한국인은 섞어서 음식을 만드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비빔밥이나 김치가 좋은 예다. 중국인은 볶아서 먹는 것 같은 느낌이다. 일본인은 얹어서 먹는 것 같다.(돈부리, 스시) 동남아세아는 쪄서 먹는 것 같고, 서양 사람들은 끼워서 먹는 것 같다.(샌드위치)
다) 주거에서 온 문화의 차이
지역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주거에 차이가 있다. 온돌과 다다미의 차이도 있지만 신을 벗고 집 안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벗고 들어간다.
일본은 지진에 잘 대비해서 집을 짓고 있기 때문에 벽이 얇고, 후스마로 가볍게 집을 짓는 경향이다.
考 文
千田 稔金子祐之 共編著 飛鳥藤原京の謎を掘る 文英堂
鄭 大聲  食文化の中の日本と朝鮮 講談社現代新書
金 思燁  古代朝鮮語と日本語 明石書店
坂本太 外 日本古典文大系 日本書紀 岩波書店
高之助 外 日本古典文大系 万葉集 岩波書店
石井 敏 外 異文化コミュニケション 有斐閣
池田理知子 外 多文化社と異文化コミュニケション 三修社
柳 熙 英元 共著 韓語話  成美堂出版
柳 熙 英元 共著 やさしいコリア語入門 評論社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0.21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2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