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A]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정의, 역사,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관련용어, 확산코드,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상용화, 일본 KDDI,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핸드오프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DMA]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정의, 역사,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관련용어, 확산코드,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상용화, 일본 KDDI,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핸드오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정의

Ⅲ.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역사

Ⅳ.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관련용어
1. 셀(Cell)
2. 핸드오프(Handoff)
3. 통화절단(Call Drop)
4. 섹터(Sector)
5. 주파수 재사용

Ⅴ.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확산코드

Ⅵ.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상용화

Ⅶ.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일본 KDDI
1. KDDI의 선전가
1) GPS 케타이
2) Movie 케타이
3) 헬프넷 모바일 서비스
2. 일본 이외 지역에서의 cdma2000 서비스가

Ⅷ. CDMA(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의 핸드오프
1. Handoff(Handover)
1) 핸드오프의 정의
2) 핸드오프 방식
3) 로밍(Roaming)
2. CDMA Handoff Process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지국은 그 단말이 빠져 나간 것으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
핸드오프를 위해서 이동 단말은 pilot 채널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동단말의 입장에서 기지국들을 분류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다.
Active Set : 이동 단말에 할당된 순방향 트래픽 채널과 같은 기지국(섹터)의 파이롯
Candidate Set : 현재 Active set은 아니지만 충분한 크기로 수신되는 파이롯
Neighbor Set : 현재 Active나 Candidate set에는 없지만 candidate 가 될 수 있는 파이롯
Remaining Set : 현재 시스팀으로 위의 집합을 제외한 가능한 모든 파이롯
예를 들자면, 핸드오프 구간에 들어가는 기지국이active set이 되고 그 바로 직전에 T_ADD 값을 넘어서는 순간부터 핸드오프 구간의 시작까지에 해당하는 기지국들이 candidate set이 된다는 것이다. T_ADD 값을 넘어선 후 얼마간의 threshold 시간을 두는 이유는 pingpong 핸드오프 현상을 막기 위해서이다.
Ⅸ. 결론
무선광대역 멀티미디어 통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 기술로는 다중화 및 변복조를 포함한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 안테나 및 RF 신호처리 기술, 네트워크 기술이 있고, 이 밖에도 선행되어 야 할 연구 과제로 전파연구,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들이 있다. 이들 중 몇 가지 기술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중화 방식으로 TDMA, CDMA 등이 고려될 수 있다. TDMA 방식으로 고속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현재 연구되고 있는 기술로 동적채널할당기술(DCA:Dynamic Channel Assignment), 채널 상황에 따라 변조 방식을 바꿀 수 있는 적응변조기술(Adaptive Modulation Scheme), 고속 데이터 전송시 문제가 되는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제거하기 위한 고속 적응등화기술(Fast Adaptive Equali-zer) 등이 있다. 스펙트럼확산(SS:Spread Spec-trum) 통신 방식은 레이크 수신이 가능하여 다중경로에 의한 ISI(Inter-symbol Interference)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로 잘 알려져 있으며, 준밀리미터파 및 밀리미터파대 전송을 위한 하나의 중요한 후보 통신 방식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SS는 데이터의 대역폭보다 훨씬 큰 확산대역폭이 요구되므로 몇몇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수킬로바이트급 전송에 이용되었고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에서 수메가비트급 전송에 이용되는 등 주로 저속 및 중속 데이터 전송에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155Mb/s 무선 ATM을 가정할 경우 15배만 대역폭을 확산시켜도 요구되는 대역폭은 2.325 GHz가 되고 이를 단 순히 직접 확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지는 상당히 의문시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파수 도약방식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한 SS 방식이 대두되고 있다. OFDM은 유럽의 EBU(European Broadcasting Union)에 의해 디지털 지상파 방송 규격으로 채택된 바 있다. OFDM 자체로는 확산스펙트럼의 개념을 갖고 있지 않으나 입력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한다는 점을 이용해 확산스펙트럼 기술을 접목하면 광대역전송 신호를 다수의 협대역으로 쪼개어 서로 직교인 서브캐리어에 실 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미래의 무선광대역시스템을 위한 다중접속 방식으로 wideband-CDMA, multirate-CDMA, multicarrier-CDMA,multitone-CDMA, multicode-CDMA, hybrid DS/FH-CDMA, hybrid CDMA/FDMA, hybrid CDMA /TDMA, hybrid CDMA/ISMA 등 CDMA와 혼합된 형태의 여러 가지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만일 현재 유선망에서 제공되는 광대역 ATM을 무선망으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을 무선광대역 시스템의 목표로 한다면 다중접속 방식으로 multicarrier-CDMA 방식이 가장 훌륭한 방식으로 생 각된다. 현재 몇 가지 종류의 WLAN 시스템이 CDMA방식으로 10Mb/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고 있어 16개의 가지를 가진 multicarrier-CDMA 방식을 채택한다면 무선구간에서 160Mb/s의 전송 속도가 충분히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무선시스템에서 안테나 및 전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의 반도체 기술로도 신호처리에 필요한 회로를 매우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실리콘 기판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및 전지의 크기 및 무게가 단말기의 크기와 무게를 좌우하게 된다. 사용되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해결해야 할 기술들이 많이 있으며 특히 밀리미터파대에서는 전력 소모가 많아 전지의 크기 및 무게가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에 이들을 해결할 새로운 기술이 창출될 것으로 예측된다. WBS에서는 신용 카드 정도의 크기에 방사빔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향하는 적응배열안테나(adaptive array antenna)가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밖에도 원하는 반송주파수대에서 동작하는 증폭 기, mixer, diplexer, attenuator, isolator, switch, local oscillator, coupler, power divider 등의 RF 부품들도 개발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류길현 - CDMA 시스템의 대역폭확장 조합에 따른 성능분석, 대한전자공학회, 2010
오길환 외 1명 - 새로운 모형에 의한 CDMA산업의 성공요인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2001
우종운 외 2명 - CDMA 기반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의 설계, 대한전자공학회, 2006
유대현 외 2명 - CDMA 서비스의 보안취약성과 개선방안, 한국정보과학회, 2003
이명의 - CDMA 모뎀을 이용한 원격 제어 및 계측 시스템 구현, 한국항행학회, 2012
이헌 - CDMA의 원리 및 핵심 기술, 한국통신학회, 1996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12.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