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제 해체 찬성 - 의식적 측면에서 (민중 의식,상민층 의식,노비 의식,지배층의 의식,실학,내재적 발전론과 실학,사농공상,노비제에 대한 인식,소청운동,신분제 해체 반대).pptx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분제 해체 찬성 - 의식적 측면에서 (민중 의식,상민층 의식,노비 의식,지배층의 의식,실학,내재적 발전론과 실학,사농공상,노비제에 대한 인식,소청운동,신분제 해체 반대).pptx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분제 해체 찬성

의식적 측면에서


민중 의식
1. 상민층 의식
2. 노비 의식

지배층의 의식
실학 :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
실학이라는 용어의 등장
내재적 발전론과 실학
실학의 관점
실학자들의 ‘신분제’ 인식
사농공상?
실학자들의 사농공상에 대한 개방성
노비제에 대한 인식
생각해 볼 문제
생각해 볼 문제 1 : 근대성
생각해 볼 문제 2 : 민족성
생각해 볼 문제 3 : 민중지향성
생각해 볼 문제 4 : 실현성
생각해 볼 문제 5 : 보편성
소청운동
신분제 해체 반대1
신분제 해체 반대2

본문내용

신분제 해체 찬성

의식적 측면에서




민중 의식

▣ 민중이란?

            상민 + 노비
      피지배 계층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




1. 상민층 의식

▣ 종교와 민중의식
1)서학에 대해서
서학이 조선 후기 사회에서 확산될 수 있었던 이유는?
변화된 사회상을 인정 + 사회의 변화를 촉진

 -결과적으로 신분제도의 문란과 함께 백성들 사이에서 새로운 인간관과 평등성에 대한 자각이 강화됨.
 -종교적 복음으로서의 의미와 함께 사회적 복음(social Gospel)의 역할을 함.




▣ 수용주체
 -처음 성호 좌파 남인들이 중심이 되어 수용.
 -점차 중인 이하 일반 양인들에게까지 확산. -> 몰락 양반을 포함해 비 특권적인 일반 만인들이 주도하기 시작.
 -평등을 실천하는 특성-> 비 특권적인 계층에게 강한 호소력.

천주교의 가르침은 조선후기 사회의 해체와 새로운 사회의 등장에 잠재적 기능을 발휘.




2)동학에 대해서
 조선 후기 동학교도들이 급 증가한 이유는?
 동학은 신분적 차별을 두지 않았음.

 -상하귀천 노소를 구별하지 않는 집단.
 -사회적 평등주의와 경제적 균산 주의가 실현되는 민중적 이상사회를 향한 교도들의 염원이 반영된 종교.




 ≪ … 중 략 … ≫




실학 :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

1. 역사적 흐름 속 ‘실학’의 인식
2. 근거 : 사상가 별 정리
3. 반박 : 생각해 볼 문제들




실학이라는 용어의 등장

▣ 처음? 조선왕조실록
▣ 1920년대
▣ 주목 받은 시기
 ▇ 1930년대 조선학 운동 : 국학운동
 ▇ 1960년대 남북한 학계 실학 연구
  : “내재적 발전론” 주목
  • 가격2,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52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