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용액의 산도 (acidity, pH)측정법 및 완충계 (buffer system) : 생물체액의 특성인 완충계를 조사 비교한다. 여러 종류의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titration)하면서 pH의 변화를 관찰 비교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 용액의 산도 (acidity, pH)측정법 및 완충계 (buffer system) : 생물체액의 특성인 완충계를 조사 비교한다. 여러 종류의 용액을 사용하여 적정(titration)하면서 pH의 변화를 관찰 비교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용액의 산도 (acidity, pH)측정법 및 완충계 (buffer system)

서론

1. 생물체액의 성질
 (1) 산성과 알칼리성
 (2) pH와 pOH
 (3) 생물체액의 완충성
 (4) 완충용액의 제조
 (5) 완충계의 선택
 (6) 다양성자 산

목적

실험 기구 및 재료

실험 방법

본문내용

반응으로 진행되어
PH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다 초기의 H3PO4가 모두 반응하면
그 후 NaOH가 첨가함에 따라 PH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다음번엔 H2PO4-가
그 짝염기인 HPO42-와 똑같은 식으로 반응해 PH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것이다.
Further Study
1) M농도 : 1L의 용액에 녹아있는 용질의 몰 수 (용질의 몰수(mol)/용액의 부피(L))
예를 들어, 2M 농도의 NaCl 이 3L 있다면 그 용액에는 총 2*3=6몰의 NaCl이 들어있는 것이다.
2) N농도 : 1L의 용액당 용질의 g당량수 (용질의 g당량수(eq)/용액의 부피(L))
이 때 당량수란 H+이온이나 OH-이온과 반응할 수 있는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HCl 1몰은 OH-이온 1몰과 반응할 수 있으므로 HCl의 당량수는 1이고
H2SO4 1몰은 OH-이온 2몰과 반응할 수 있으므로 H2SO4의 당량수는 2이다.
그리고 이러한 당량수를 1당량에 해당하는 그 물질의 질량을 말한다.
즉, H2SO4 1몰의 질량은 98g이나 H2SO4 1몰은 2당량이므로 H2SO4의 g당량수는 49g/eq인 것이다.
N농도는 주로 산화 환원반응, 혹은 중화반응 등에 자주 쓰인다.
Reference : 생명과학 대사전 (화학 , 화학일반)
3) 신체 내부에 있는 buffer system에는 무엇이 있는가?
신체 내 많은 화학반응은 효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효소들은 결국 단백질들이기 때문에 PH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인체의 혈액은 PH 7.35~7.45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액의 PH를 이 수준으로 조정하고 유지하는데 탄산-탄산수소 완충 시스템이(/) 사용된다. 탄산과 탄산수소이온은 서로 짝산-짝염기 관계이고 또 탄산은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어 인체에는 큰 해를 입히지 않으며 효율적으로 PH를 관리할 수 있다.
(aq) + (aq) (aq) (l) + (g)
주로 폐와 신장에서 이 완충시스템의 PH를 조절하는 역할을 맡지만, 이 시스템의 중추는 뇌이다. 뇌의 수용체는 인체의 과 의 농도에 매우 민감하다. 뇌의 수용체에서 과 의 농도를 감지하고 위의 화학반응식에서 정반응 혹은 역반응으로의 평형이동을 통해 혈액의 PH를 조절한다.
Reference : Principles of Biochemistry (원리 생화학) 1권, Garrett & Grisham, P.52 ~ 55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