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우하우스 의의,설립배경,선언문, 목적,원칙, 교육과정, 입학, 예술가들, 소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우하우스 의의,설립배경,선언문, 목적,원칙, 교육과정, 입학, 예술가들,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바우하우스 의의와 설립배경
- 발터 그로피우스 Walter Gropius (1883 ~ 1969)
- 바우하우스 선언문 (전문)
- 바우하우스 목적 (전문)
- 바우하우스 원칙 (전문)
- 바우하우스의 교육과정과 입학 (전문)

2. 바우하우스의 역사

3. 바우하우스의 예술가들
-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 클레(Paul Klee)
- 모홀리나기(Laszlo Moholy-Nagy)
- 슐렘머(Oskar Schlemmer)

4. 20세기 디자인사에 끼친 영향

본문내용

이 '3인조 발레 (Triadic Ballet)'로서 이 작품은 1922년 9월 바우하우스가 아닌 슈투트가르트 극장에서 상연되었다. 한 사람의 여성 발레리나와 두 명의 남자 무용수가 괴상한 인형같은 의상을 입고 등장하는 이 발레는 화려하게 안무된 코스로 3원색으로 장식된 일련의 무대세트를 배경으로 둘, 셋이 그룹져 춤을 추는 작품이었다. 슐렘머의 발레극은 일종의 인형극으로 그가 좋아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인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이론과 연결된다.
폰 클라이스트의 '마리오넷 연극에 관하여 -1798'는 완벽하게 순진한 인간의 메타포로서 줄에 의해 통제되는 생명이 없이 이상화한 인물을 기용하고 있다. 슐렘머는 바우하우스에 합류한 지 얼마 안되어 그 누구보다도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마스터로 부각되었고 그의 연극 프로덕션은 바우하우스의 가장 현저한 활동 중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4. 20세기 디자인사에 끼친 영향
비록 조형학교가 1933년에 완전히 폐쇄되기는 했지만, 이 곳에서 제작한 제품들은 많은 곳에서 모방되었다.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물건들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설계하는 방법 역시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교수법과 교육이념 역시 세계 곳곳에 널리 보급되어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예술 교육과정에 포함될 만큼 현대 조형예술 분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바우하우스가 해체된 다음 그로피우스를 비롯한 많은 바우하우스 교수들은 미국으로 건너와서 그들의 예술적 이념을 새로이 꽃피우기 시작했다. 그러나 앞으로의 발전이 유망하게 보였던 뉴 바우하우스는 오래가지 못했다. 갑자기 학교 관리자로부터 학교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통고를 받게되고 재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흘리 나기는 몸소 유명한 회사를 찾아가며 재정적 원조를 부탁했으나 허사로 끝나고 결국 뉴 바우하우스는 문을 연지 1년도 못되어 해산하게 되었던 것이다.
1939년 1월말경, 모홀리나기는 새로 <디자인 학교>라고 이름붙이고 문을 열었다. 이연구소는 문을 연지 1주일만에 18명의 정규학생과 28명의 야간학생이 등록했다. 어려운 재정 문제에도 불구하고 1942년 봄 처음으로 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그리고 교육의 성과도 두드러지게 좋았다. 1944년 봄 아메리카 컨태이너사 사장 월터.P.페프케를 중심으로 한 시카고 실업가 그룹이 디자인 학교가 당면한 재정문제를 돕기로 결정했다. 그들은 대학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디자인 연구소 >로 바꿀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크게 기대하지않았는데 뜻밖으로 학생들이 몰려들었으며 1945년 가을에는 약 800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이렇게 디자인연구소가 활기르 되찾아 갈때쯤 1946년 11월 24일 모홀리 나기는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디자인 연구소의 창립자 겸 학장으로서 연구소 운영에 절대적으로 필요했고<아무도 대신할 수 없었던>인물이었던 그는 1950년대 말의 미국으 새로운 미술 동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가 죽은 다음 그로피우스는 고문 자격으로 머물면서 연구소의 발전에 계속 기여했다.
바우하우스에서 물러난 그로피우스는 퇴임 2년 후인 1930년에 독일공작연맹으 의뢰를 받아 파리의 장식미술가 협회에서 주최한 <구제응용미술 전시회>의 독일 부문을 기획했다. 독일관에는 근대 가구, 일용품, 공예 디자인의 발전에 미친 독일의공헌도가 집약되었지만 그 전시품은 모두 바우하우스의 제품만은 아니었다. 그리고 독일관은 5개의 전시실이 할당되었는데 라운지는 그로피우스가, 모홀리나기와 마르셀 부로이어는 각기 전시실 하나씩을, 그리고 헬베르트 바이어는 2개의 전시실을 디자인했다. 2개월 동안 열린이 전시회는 오랜 기간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한편 미국에서는 근대미술관 주최로 그로피우스으 지도 아래 전개되었던 바우하우스 시절의 회고전이 열렸다. 이 전시회에 출품되었던 작품들은 그로피우스와 바이어에 의해 같은 제목의 책으로 편집, 발행되었는데, 초판서문에서 근대미술관 관장인 알프레드 .H.바는 바우하우스가 1930년경부터 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논평했다. 그 이래 바우하우스 순회전은 미국을 비롯해서 유럽,아프리카,오스트렐리아,아시아,라틴 아메리카 등의 각지에서 열려 대단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1937 년 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 대학에서 건축을 가르치면서 미국 디자인계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보면, 일본의 경우 이미 1930년대 이후부터 시작되었다. 그 결과 일본의 건축과 공예 디자인에 대한 바우하우스의 영향은 매우 광범위하게 작용했다. 그리고 미국에서의 바우하우스의 영향은 실용 디자인뿐만 아니라 모든 예술교육 및 일반교육에까지도 파급되었다. 이는 뉴욕 근대미술관을 지롯한 여타의 박물관 및 각 미술협회의 활동에 의한 것이다. 1937년 그로피우스가 하버드 대학교수로 부임한 이래 하버드 대학은 바우하우스 전통의 중심지의 하나가 되었다. 특히 1945년 이후부터는 바우하우스의 영향이 괄목할 정도로 확산되었는 바, 일례로<바우하우스 총서>가 영어판으로 출판된 사실은 미국에서의 바우하우스에대한 평가 수준이 높게 확립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한편 1933년 이전의 독일 각지의 미술대학과 공예학교에는 바우하우스의 교과 과정이 채택되었고 1945년 이후부터는 바우하우스의 예비과정 방식이 가 연방국의 대부분 미술학교에 도입되었다. 그리고 1960년에는 독일의 다름쉬트 시에 <바우하우스 자료관>이 설립되어 바우하우스에 대한 역사적,비평적 연구 및 그 이념의 보급을 전시회, 출판물, 강좌 등을 통해 실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면 바우하우스는 현재의 절실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량생산과 기술에 의한 무정부상태로 부터 가정을 보호하고 인간본래의 자세를 회복시킴으로서 인류가 기술에 의해 노예화 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이것은 공업생산을 위해서 디자인된 제품과 건물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이건호, 『한 권으로 배우는 디자인 이야기』유림문화사, 2002
박진배, 『영화 디자인으로 보기』디자인하우스, 2001
Tom Wolf / 이현호 譯, 『바우하우스로부터 오늘의 건축으로』태림문화사, 1995
송종석, 『현대건축이론과 작품해설』연세대학교, 1997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2.06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9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