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놀이교육 : 유아전래놀이교육의 적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래놀이교육 : 유아전래놀이교육의 적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래놀이란?
2. 전래놀이의 발달
1) 삼국시대 이전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 이후의 문화와 놀이
3. 유아와 아동에게 놀이의 의미
4. 전래놀이 교육의 필요성
1) 협동성
2) 정신·신체적 해소
3) 사회화의 조장
4) 전인적 발달의 조장
5. 전래놀이의 유형
6. 전래놀이와 정서지능과의 관계
1) 전래놀이가 유아에게 미치는 정서적 효과
2) 전래놀잇감의 정서적 성격
7.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전래놀이
1) 윷놀이 2) 연날리기 3) 제기차기
4) 비석치기 5) 투호놀이 6) 고누두기
7) 풀각시 놀이 8) 팽이치기 9) 구슬치기 10) 사방치기(들차기, 팔방치기)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것은 속도, 내구력, 힘, 기억력, 기술, 재능을 가지고 상대방과 정당하게 겨루는 놀이이므로 사람이 역경이나 곤란을 딛고 승리를 차지하는 성취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 이를 통해 얻어지는 규칙들은 합의된 것으로써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율적 도덕성의 놀이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5) 투호놀이
투호놀이는 중국 당나라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에는 고구려, 백제 때 건너왔는데, 문헌에 의하면 서민층에서보다는 궁중에서 많이 즐겼던 귀족 계급의 놀이라고 한다.
투호는 일정한 장소에 둔 투호병을 향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두 편이(푸른살과 붉은살) 한사람씩 12개의 살을 가지고 병구멍 또는 귀구멍 속에 던져서 살이 많이 꽂히는 편이 이기는 게임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의례가 상당히 엄격하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투호는 유아의 집중력, 손과 눈, 팔의 협응력 등 신체 발달을 돕고, 거리, 적당한 힘의 계산을 통해 물리적 지식 형성과 논리 수학적 지식 구성에 기여하며, 편을 갈라 시합하는 동안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6) 고누두기
고누두기는 오래 전부터 서민층에서 성행해졌던 놀이로 오늘날의 장기나 바둑의 원시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두 사람이 특정한 형태로 그려진 놀이판 위에서 정해진 수의 놀이 말을 가지고 겨루면서 상대방의 말을 다 잡아내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상대방의 집을 먼저 차지하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로 한 칸씩 가기, 뛰어넘기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놀이로는 우물고누, 줄고누, 곤질고누, 자동차고누, 호박고누, 밭고누, 패랭이고누, 팔팔고누, 포위고누, 왕고누, 장수고누 등이 있다.
고누는 유아의 연령과 발달 수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아들은 자기 말을 어떻게 움직일 것인가를 결정함으로써 인지가 발달하고 탈중심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가치를 지닌다. 또 고누의 규칙을 통해 사회적 규칙의 가치를 알게 되며, 유아들은 이를 통해 역할 이행, 경쟁, 양보, 공정성과 같은 사회적 기능과 태도를 함양하게 된다.
7) 풀각시 놀이
풀각시 놀이는 여름철에 여아들이 자랑풀, 각시풀, 무릇풀, 진풀의 잎을 뜯어 각시를 만들고 신랑을 만들어서 소꿉장난을 하는 놀이로써, “아가씨들이 푸른 풀을 뜯어다가 머리채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그것을 붙인 다음 붉은 치마를 입히는데, 이를 각시라 한다. 이부자리와 침상을 놓고 놀이하기도 한다”고 전해진다.
유아들은 풀각시가 완성되면 또 하나 신랑을 만들어서 대례상을 차려 놓고 절을 시키고, 신방을 차려 주는가 하면 사금파리 등에게 흙으로 만든 음식상을 차려 서로 나누어 먹는 시늉을 하면서 논다.
이러한 풀각시 놀이는 풀을 뜯는 과정에서 신체발달을 돕고, 여럿이 하는 과정에서 우정을 돈독히 하며, 극화놀이를 통해 언어발달을 촉진시키고, 풀각시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물리적 지식과 논리 수학적 지식, 사회적 지식까지도 습득하며, 이를 통해 상상력, 문화적 소양을 기르게 된다.
8) 팽이치기
팽이치기는 삼국시대부터 행해졌으며 전국적으로 성행된 놀이로, 겨울에 얼음판 위에서 노는 놀이이다.
놀이 방법은 스무 자 가량의 목표 지점을 설정해 놓고 마치 총채처럼 생긴 팽이채로 정확하게 팽이의 허리를 쳐 돌려서 돌아오는 시합이나, 들고 있는 팽이를 맞부딪쳐 한쪽 팽이를 쓰러뜨리는 팽이 싸움 놀이가 점차 줄어들면서 아래위로 총알을 박은 팽이를 팽이줄로 감아서 머리위로 또는 팔을 옆으로 비껴서 팽이를 들려 서로 맞부딪치며 상대방의 팽이를 넘어뜨리는 팽이 찍기가 있다.
이러한 팽이치기는 운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철에 신체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시기적절한 놀이로서, 무게중심을 찾는 과정을 통해 논리 수학적 지식을 형성하게 하고, 규칙에 따라 시합을 하는 과정을 통해 공정한 사회 도덕적 가치를 형성할 수 있다는 가치를 지닌다.
9) 구슬치기
구슬치기는 다마치기라고 하여 일제 시대부터 시작된 놀이로, 오늘날도 문방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놀이 방법으로는 땅바닥에 세모나 원을 그어 놓고 그 안에 인원수 또는 그 배수로 구슬을 놓고 일정 거리에서 순서대로 구슬을 던져서 밖으로 나온 구슬을 따먹는 방법과 땅에 동, 서, 남, 북, 중앙에 작은 구멍을 5개 만들어 순서를 정한 후, 중앙에서 시작하여 구슬을 손가락으로 튕겨 한바퀴 돈 다음 다시 집으로 먼저 돌아온 사람이 이기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구슬치기는 유아의 손 근육 발달과 눈과 손의 협응 기술 발달에 도움을 주며, 구슬세기를 통해 수학적 지식을 발달시킬 수 있고, 아름다운 색상으로 이루어진 구슬을 모으는 과정을 통해 색감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사회적 규칙을 학습할 수 있다는 가치를 지닌다.
10) 사방치기(들차기, 팔방치기)
사방치기는 여아들이 즐겨했던 놀이로 마당에 네모꼴의 놀이판에 금을 그어놓고 납작한 돌을 준비하여 두 사람 또는 여럿이 편을 갈라 놀이판에 돌을 놓은 후 한 칸 한 칸 선을 밟지 않고 앙금질로 차나가는 놀이이다. 이 놀이를 위해서는 사방치기, 하늘사방치기, 통간 사방치기, 등의 놀이판이 있으며, 이것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또한 유아들은 사방치기를 통하여 신체의 균형 잡기, 거리감각, 합리적인 수세기, 규칙을 학습할 수 있다.
참고자료
김경희, 전통놀이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1986.
김영주 외, 유아를 위한 전래놀이, 양지, 2002.
김종만, 아이들 민속놀이 100가지, 우리교육, 1993.
김종필, 전래놀이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5.
배영희, 유치원 전통놀이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오미숙, 실외 전래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2002.
이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논문, 2010.
이은화 외, 한국의 전통 아동놀이 고찰, 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2001.
임소영, 한국 전래아기놀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9.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2.22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0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