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출위한 마케팅, 광고전략 제안 레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출위한 마케팅, 광고전략 제안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떡보의하루 선정배경
  1) 회사명
  2) 회사소개
  3) 기업선정동기

Ⅱ. 본론
 1. 타겟시장선정
 2. 시장환경분석
  1) PEST 분석
  2) 산업분석
   (1)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2) 우리기업의 중국 진출 유망 분야
   (3)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전략
  3) 떡보의하루 3C 분석
   (1) 자사분석
   (2) 경쟁사분석
   (3) 고객분석
  4) 떡보의하루 SWOT 분석
 3.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광고전략 제안
  1) PPL(Product PLacement)
  2) SNS 홍보
  3) 중국 프랜차이즈전시회
  4) 판촉행사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시아 최대 프랜차이즈전인 만큼 외국인 중에는 아시아인의 비율이 높으며, 참가 외국 업체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외국인의 참관율도 높아질 것이다. 전시회를 구성하는 식음료, 서비스, 소매업, 공급상 4가지 부문 중 가장 교류가 활발한 부문은 식음료와 서비스 부문이다. 식음료 부문에서는 다양하고 독특한 음식의 무료 시식 또는 현장 판매를 허용함으로써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보고 먹는 즐거움은 물론 가맹 희망자들의 정확한 제품 판단을 돕고 관객과의 교류를 통한 피드백으로 기업체들의 제품 현지화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꾸준한 대 · 내외 홍보 및 기업체 유치 활동, 유명 프랜차이즈 업체 CEO 강연 유치, 업계 트렌드 분석 등의 다양한 세미나 개최와 교류 활동으로 프랜차이즈 업계뿐만 아니라, 일반 참관객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이끌어 내고 있다.
본 전시회에 참여시 한 장소에서 아시아 및 그 외 외국인들에게 동시다발적으로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그 이유는 중국전역으로 규모가 크고 효과가 높은 막대한 투자금이 요구되는 광고활동에 본 기업은 제한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시식 및 판매허용은 즉석에서 관객들의 즉각적인 호기심해결과 함께 구매결단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4) 판촉행사
중국은 다문화와 오래된 역사를 바탕으로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는 문화적 상징물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상품화되고 마케팅에도 자주 활용된다. 중국 남부지역에서는 관우를 재물신(財神)으로 숭배하고 있어 일반 상점과 음식점 등 자영업 점포에서 관우상을 모시는 경우가 많고 물고기라는 뜻의 ‘漁'와 ‘잉여’라는 의미의 ‘餘’가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에 물고기 캐릭터제품이 부유를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많이 팔리고 있다. 사례로 피자헛은 구정기간 중 피자헛 로고와 전화번호가 새겨진 ‘福’그림을 고객에게 증정하고 일부 기업체가 VIP고객에게 관우상 액자선물을 하는 등 명절이나 기념행사시 전통적 부의 상징물을 활용한 마케팅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의 전통음식 중 하나인 ‘떡’에 중국의 문화적 상징물을 입혀서 홍보 및 판매를 하면 효과적일 것이다.
Ⅲ. 결론
떡보의 하루에게는 지금이 중국 시장 진출의 기회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식문화가 비슷하고 아직까지 떡이라는 상품을 가지고 중국에 진출한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대거 중국에 진출한 지금 떡 프랜차이즈 기업도 중국에 진출하기엔 시간문제라는 것이다. 최초로 중국에 진출한 떡 프랜차이즈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가질 수 있는 기회이다. 또한 식문화가 비슷하고 한국에 대한 프리미엄 이미지가 강한 지금이 실패할 가능성이 적은 적절한 때라는 것이다.
떡보의 하루라는 기업과 중국 시장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느낀 한계점은 첫 번째로 떡보의 하루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자사의 상품들에 대한 홈페이지 내에 설명이나, 소비자들의 후기는 풍부하게 있었으나, 기업의 소개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는 많지 않았다. 두 번째로 자사에 대한 궁금했던 점을 본사와 직접적으로 컨택하려고 하였으나, 수능 시즌과 맞물려서 면담이 어려웠고 홈페이지에 남긴 질문에도 답변이 없었다. 세 번째로 중국에 대한 시장분석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는 점이다. 중국 내에 진출한 산업이나 문화에 대한 자료는 꽤나 있었으나, 중국 현지인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타켓으로 잡은 중국인 소비자들에 대한 분석하기가 어려웠다.
<참고자료>
□논문
류성민·김경희·이우헌, 2012, “파리바게트의 글로벌 성장전략 사례분석”, 「2012년 (사)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3~180
류성민·장우정·조혜정, 2013, “글로벌 프랜차이즈 중국진출 전략: 파리바게트 케이스”, 「2013년 (사)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9~115
정력, 2014, “파리바게트 중국 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보고서
한국무역협회, 2014 「Marketing Guide 중국 시장, 이제는 프랜차이즈로 공략한다」
이준·조영삼, 2013-14, 「E-KiET 산업경제정보 중국 내수 식품시장의 성장 전망과 대응과제」산업연구원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2014, 「중국 내 한류 효과와 소비재 수출 동향」
□웹자료
한국무역협회, 2014. 11. 11, ‘Trade Brief 한·중 간 무역투자 동향과 한·중 FTA 기대효과
아시아투데이, 2014. 11. 13, ‘[창간9주년] 별그대·닥터이방인·내그녀 등 한류 드라마 수출가 가파른 상승세’
그린경제신문, 2014. 11. 13, ‘중국인, 한국 커피향에 빠져들다…한국형 커피전문점 돌풍
jtbc 뉴스, 2014. 10. 26, ‘대륙 사로잡은 뷰티 한류…화장품 무역수지 첫 흑자’
KOTRA & globalwindow, 2014. 11. 05, ‘한류 프리미엄 중국 식품시장도 사로잡을까’
KOTRA 상하이, 2011. 6. 4,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과 성공·실패사례
KOTRA & globalwindow, 2011. 05. 22, ‘중국 최대 프랜차이즈 전시회를 가다’
중앙일보, 2014. 03. 22, ‘중국서 명품 팔고 싶다면 한국 드라마 PPL 노려라’
떡보의 하루, http://www.dcake.co.kr,
빚은, http://www.bizeun.co.kr
마케팅 전략 연구소, http://www.msrkorea.co.kr
INDEX
Ⅰ. 서론
1. 떡보의하루 선정배경
1) 회사명
2) 회사소개
3) 기업선정동기
Ⅱ. 본론
1. 타겟시장선정
2. 시장환경분석
1) PEST 분석
2) 산업분석
(1)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현황
(2) 우리기업의 중국 진출 유망 분야
(3) 중국 프랜차이즈 시장 진출전략
3) 떡보의하루 3C 분석
(1) 자사분석
(2) 경쟁사분석
(3) 고객분석
4) 떡보의하루 SWOT 분석
3.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4. 광고전략 제안
1) PPL(Product PLacement)
2) SNS 홍보
3) 중국 프랜차이즈전시회
4) 판촉행사
Ⅲ. 결론
<참고자료>
  • 가격5,2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5.02.2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