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한문] 인천선 공항선 분당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용한문] 인천선 공항선 분당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선도 만들기

2. 노선도 한자로 변환하기

3. 노선도 각 역의 한자 훈음 적기

4. 각 역의 유래 및 정보파악

본문내용

데, 이 줄기에 큰 매지봉과 작은 매지봉의 두 매지봉(梅址峰)이 있으므로 ‘이매동’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에서 유래 3) 옛날 탄천변의 구렛들에 물막이 방죽이 있어서, 주민들이 이곳에서 천렵을 즐기다가 한 아름되는 큰 물고기를 잡아 죽였다고 한다. 그날 밤 마을 사람들이 같은 꿈을 꾸었는데, 그 물고기는 천년만에 용이 되어 하늘로 승천하려던 이무기였다. 그 이무기가 마을 주민들 꿈에 나타나서 “저주를 받으리라” 하면서 소름끼치는 울음소리를 내고 사라졌다. 이에 이무기의 저주를 두려워한 마을 사람들이 상의한 후 이무기의 위령 승천제를 구렛들에서 지냈는데, 이때 제상 주위가 온통 피로 물들었다고 한다. 다시 그날 밤 주민들 꿈에 이무기의 화신인 백발노인이 나타나 동민들의 정성에 보답하여 저주를 풀었다고 하며 그후 승천제를 지냈던 자리에 매화나무 두 그루가 자라났으므로 ‘이매동’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데서 유래 4)마지막으로 〈진주 유씨 세보〉에는 ‘임의곡(任意谷)’또는 이매곡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임의술’로 불리웠다는 데서 유래
48)서현역[書峴驛, Seohyeon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3
②면적: 8.28㎢
③인구: 5만 5007명
④문화재: 청주한씨 문정공파 묘역 신도비(경기문화재자료 84)
⑤유래: 서현동이라는 기존 동명을 이용하여 역명을 제정하였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돌마면 돈서촌, 양현리, 통로골 등의 마을로 이루어진 곳으로, 1914년 일제에 의한 전국의 행정구역 개편 때 돈서촌(遯書村)에서 ‘서(書)’자를 취하고 양현리(陽峴里)에서 ‘현(峴)’자를 취하여 서현리(書峴里)라 부르게 된 곳이다.
49)수내역[藪內驛, Sunae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14
②면적: 2.78㎢
③인구: 4만 6123명
④문화재: 한산이씨묘역(경기기념물 116)
⑤유래: 수내동이라는 기존 동명을 이용하여 역명을 제정하였다. ‘수내(藪內)’라는 이름은 이곳의 ‘숲안’ 마을에서 비롯된 이름인데, 숲 또는 늪을 뜻하는 ‘수(藪)’와 안을 뜻하는 ‘내(內)’자를 취한 것이다. 이 ‘숲안’이라는 이름은 조선 숙종 때 청주목사를 지낸 이병익이 이곳 마을 앞 분당천(수내) 변에 숲을 가꾸었으므로 ‘숲안’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였고, 일설에는 조선 경종 때 이병태(李秉泰, 1688~1758)가 부락 앞에 숲을 가꾸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인근 탄천(炭川)의 우리말 표기가 ‘숯내’이며 지금 분당천(탄천의 지류)을 이 지역에서 ‘수내’라 하였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지역 지명이 분당천(수내) 및 탄천(숯내)과 관련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50)정자역[亭子驛, Jeongja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176-1
②면적: 4.86㎢
③인구: 8만 9563명
④문화재: 전주이씨 태안군파 묘역(경기기념물 118)
⑤유래: 역의 이름은 정자동이라는 기존 동명을 이용하여 붙여졌고, ‘정자동’이란 이름은 이 지역이 조선 중기 이후 전주이씨의 세거지가 되면서 그로 인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즉,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아들(12남) 무산군의 제5째 아들인 태안군 이팽수의 묘역과 그 자손들이 터를 잡았으며, 태안군의 증손이 되는 이경인이 이곳에 낙향하면서부터이다. 그는 병자호란의 치욕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내놓고 이곳 탄천변에 내려와 정자를 짓고 한운야학(閑雲野鶴)으로 소일하였는데, 그가 즐기던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
51)미금역[美金驛, Migeum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507-13
②면적: 7.90㎢
③인구: 5만 5596명
④유래: 구미동과 금곡동의 사이에 있어 이 행정동명을 합성하여 미금이라 역명을 제정하였다. 구미동(九美洞)의 동명 유래는 설이 구구하여 어느 설이 정확한지 알 수 없다. 탄천이 굽이쳐 흐르는 곳에 마을이 위치하기 때문에 ‘굼-구미’를 뜻하는 하천곡류지명이라고도 하고, 일설에 의하면 마을 뒷산이 거북이 형국이라 구미(龜尾) 또는 구산(龜山)이라 한 데서 연유되었다 한다. 또한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지역이 김해김씨, 밀양박씨, 문화유씨 등 아홉 성씨가 각각 아홉 개의 취락을 이루어 살아서 구성리(九姓里)라 하였는데, 그 성씨들의 음이 모두 다르므로 ‘구음(九音)’이라 하였고 또한 그들이 서로 화목하게 살고 사람들도 순박하여 ‘구순(九順)’으로 부르다가 아름다운 일이 많다 하여 구미리(九美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금곡(金谷)’의 지명은 토박이말 ‘쇠골’이라는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지역이 과거 금을 채취하는 광산이 있어서 쇠골이라고 불렀고 그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금곡(金谷)이라고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실제로 이 지역에서 금이 생산되었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52)오리역[梧里驛, Ori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795
②면적: 7.90㎢
③인구: 5만 5596명
④유래: 역의 이름은 기존의 마을명을 이용하여 붙여졌는데, 그전에 오리뜰이었으므로 마을이름을 이용하여 역명을 제정하였다. ‘오리’는 마을 앞 큰 웅덩이가 겨울에도 얼지 않아서 오리가 많이 모여 들었으므로 오리뜰 또는 부평(鳧坪)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한 마을에 방풍림으로 하천을 따라 오리나무를 많이 심어서 ‘오리뜰’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다.
53)죽전역[竹田驛, Jukjeon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용인시 죽전동
②면적: 5.53㎢
③인구: 7만 9238명
④도시공학 참고자료: 인근에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가 위치해 있으며, 죽전역 3번출구로 나가면 무료셔틀버스가 운행중이다.
54)보정역[寶亭驛, Bojeong Station]
①위치: 경기도 용인시 구성면 보정읍 195-6번지
②면적: 81.7km²(구성면->구성읍->기흥구)
③인구: 321,015명
④유래: 구성면에 속한 마을 중 하나로,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할 때 용인현, 구흥면의 역촌일부, 서변면의 보수원, 이현, 독정리를 합치고 보수원에 정자가 있었으므로 보수원의 "보"자와 정자의 "정"자를 합쳐 보정리라 하였다.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5.03.15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