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고분의 특징과 영산강유역권 문화의 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시대 고분의 특징과 영산강유역권 문화의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삼국시대 고분의 특징과 영산강유역권 문화의 성격


Ⅰ. 머리말
Ⅱ. 삼국시대의 명칭문제와 그 범위
Ⅲ. 삼국시대 고분의 지역별․시기별 특징
Ⅳ.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사회의 성격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유물을 하사하였고, 옹관고분집단의 수장층은 백제의 예물을 받아들임으로서 자신의 위상을 높임과 동시에 연맹체내에서 정치적인 장악력을 다지는 수단으로 이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5세기대 옹관집단사회는 상당한 정치력을 갖춘 수장세력에 의해 형성되어 있었고 각 지역의 하위지배계층을 정치군사외교적으로 통제하고 있었기에 백제로서는 견제하지 않으면 아니되었다. 그러나 백제의 내외의 정세로 인하여 직접적인 지배방식을 취할 수 없었기에 배후의 안정과 해양로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영산강유역의 수장세력과 내적 질서라는 범주 내에서 정치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옹관고분집단는 상징적으로는 백제의 행정체제내에 포함이 되었으면서도 독자적인 정치력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백제의 문화적 영향이 옹관고분에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나주 반남세력에 의해 주도된 옹관고분사회는 5세기말에 접어들어 급격한 사회적 위기를 맞이한다. 이는 5세기말에서 6세기 전반대의 고대한 방대형분의 산반적 출현, 외래 묘제의 등장, 그리고 옹관고분사회의 표지적 묘제로 굳혀갔던 대형 옹관이 석실분의 영향을 받아 변형된다는 점, 다장의 전통이 매장형태가 1인인 독점 분구화되는 등의 새로운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 결국 나주 반남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옹관고분사회의 지역간 위계화 시도는 6세기를 전후하여 와해되어 극심한 혼란을 초래하였고 이러한 구조변화는 옹관고분사회 전체를 해체시킴과 동시에 백제의 체제에 복속되는 결과를 맞이하였다고 볼 수 있다.
4. 전남지방 석실분의 성격
전남지역의 석실분는 모두 백제에서 도입된 것으로 생각해 왔고 아직고 그러한 견해를 고수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조근우 1996, 「전남지방의 석실분 연구」, 『한국상고사학회』21, 한국상고사학회.
전남지방의 석실분을 구조적인 면에서 백제 석실분의 영향하에 축조되기 시작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초기에는 옹관묘 전통이 강하게 유지된채 백제의 석실분과 다른 독자적인 발전이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전남지역의 석실묘는 백제식 외에도 영산강식과 남해안식의 두가지 다른 계통의 석실이 더 있으며 이는 시기적으로 백제식보다 빠르다고 본다. 임영진 2002,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 『호남고고학보』11. 호남고고학회.
전남지역 석실분의 특징을 살펴보면 대개 원형의 뚜렷한 봉분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구릉성 산지나 평지에 입지하고 있다. 또한 석실분의 사용에 따라 남-북으로 장축이 고정되고 있으며 지상식의 구조를 보인다.
전남지역에 석실분이 등장하는 시기는 5세기말에서 7세기 중반까지로 보는데 그 시기중 5세기말에서 6세기 초반인 전기의 석실분에 대해서는 영산강식 석실로 구분하며 그 이후 석실을 백제식으로 보고 있는 견해도 있다.
또한 5세기후반부터 6세기 전반까지의 시기에는 외래적인 묘제형식인 전방후원형 고분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형고분에 대해서는 장고분, 장고형고분, 전방후원분 등 다양한 명 칭이 사용되고 있다.
박중환 1997, 「광주전남지역 장고형고분의 분구에 대하여」, 『호남고고학보』5, 호남 고고학회.
이 등장하기도 하는데 그 특징과 피장자의 성격 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기에 제외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기웅 1991, 『고분』, 대원사.
김기웅 1992, 『고분유물』, 대원사.
김원룡 1976, 『한국고고학개설』, 일지사.
송석상이강승 1996, 『그림으로 배우는 우리의 문화유산』, 학연문화사.
최성락 외 2003, 『전남의 고대문화』, 학연문화사.
김영심 2000,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와 백제」,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새로운 조명』,
역사문화학회.
성낙준 1997, 「옹관고분의 분형」, 『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이정호 1996,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의 분류와 변천과정」, 『한국상고사학보』22, 한국상고 사학회.
이영철 2001, 「영산강유역 옹관고분사회의 구조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영진 1997, 「영산강유역의 이형분구 고분 소고」, 『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임영진 2002, 「영산강유역권의 분구묘와 그 전개」, 『호남고고학보』16, 호남고고학회.
조근우 1996, 「전남지방의 석실분 연구」, 『한국상고사학보』21, 한국상고사학회.
최성락 2000,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성격」, 『국사관론총』91.
한옥민 2001, 「전남지방 토광묘 성격에 대한 고찰」, 『호남고고학보』13집, 호남고고학회.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18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