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교회사] 개혁노력 (Effort At Reform)-종교회의운동(The Conciliar Movement), 교회 바깥의 혹은 교회에 의해 정죄된 운동, 기독교 신비주의(Christian Mysticism), 기독교 인문주의(Christian Humanism)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교회사] 개혁노력 (Effort At Reform)-종교회의운동(The Conciliar Movement), 교회 바깥의 혹은 교회에 의해 정죄된 운동, 기독교 신비주의(Christian Mysticism), 기독교 인문주의(Christian Humanism)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종교회의운동(THE CONCILIAR MOVEMENT)
2. 교회 바깥의 혹은 교회에 의해 정죄된 운동
3. 기독교 신비주의(CHRISTIAN MYSTICISM)
4. 기독교 인문주의(CHRISTIAN HUMANISM)

참고문헌

본문내용

more important than doctrines. His patron saint was the thief on the cross, for he did not have to know any theology to enter into paradise. (d) He stressed the inward character of Christianity, over against theology and structures. But while he severely criticized formal church ceremonies and practices, he would not reject the unity and authority of the Church. (e) He pled for caution and tolerance in an age of intolerance, and believed in learning and education as the best means of achieving reform. (f) He corresponded with and influenced many of the leading reformers and in the early years tended to support Martin Luther, but in 1524 he turned against Luther's doctrine of the bondage of the human will. He had a basic difference in outlook. Erasmus was a humanist. The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were not emphasizing the same thing. The humanists would have reformed the symptoms, but would not have gotten to the heart of the problem.
4) 영국에서는 존 콜렛(John Colet, 1466-1519)과 토마스 모어 (Thomas More, 1478-1535)가 에라스무스와 더불어 옥스퍼드 인문주의자의 트리오를 형성했다. 콜렛은 교육적인 개혁을 도입했고 옥스퍼드와 런던에서 바울 서신을 강의했다. 그는 에라스무스에게 성경연구를 하도록 인도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성경의 우화적인 해석을 거절했고, 성직자의 독신과 고해성사를 비판했고, 성직자의 교육과 도덕이 향상되는 것을 보기를 원했다. Utopia의 저자인 토마스 모어는 교회 개혁자라기 보다는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개혁가였다.
5) 위대한 프랑스 기독교 인문주의자는 Jacques Lefevre d'Etaples (or, Stapulensis, c. 1455-1536)였다. 파리대학에서 가르친 겸손하고 경건한 사제였다. 그는 원시 기독교로 돌아갈 것을 변론했고, 성경을 기독교인의 주요한 권위로 주장했으며, 성경연구와 프랑스어로 성경을 번역하는 데 헌신했다. 바울서신 주석에서, 칭의는 선행에 의해 공적으로 얻는 것을 부정했고 구원은 하나님의 거져 주시는 선물이라고 가르쳤다. 그의 제자들 가운데서 개혁자들이 나왔다: 카톨릭에서는 Guillaume Briconnet, the Bishop of Meaux, and the Greek scholar, Guillaume Bude; 개신교에서는 Louis de Berquin a Protestant martyr, and Guillaume Farel, the fiery reformer of French-speaking Switzerland.
6) Johann Reuchlin (1455-1522)는 독일의 가장 위대한 기독교 인문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히브리어 연구에 종사한 독일의 최초의 비유대인 학자로서 구약을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었다. 그의 연구의 열매로 1506년에 히브리어 문법과 사전을 출판했다. 종교개혁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성경연구에 크게 기여했고 그의 지적인 후계자는 증손 조카인 Philip Melanchthon이었다.
The Christian humanists generally agreed that the path of reform led through sound learning, preaching against immorality and glaring administrative abuses. They exposed corruption and other evils in the Church. They discredited scholastic theology. To a large degree they looked on life from another standpoint than that of medieval traditionalism. They led people to study the Scriptures again. They provided the tools for understanding the sources of Christianity, and they brought in new and more natural methods of exegesis. But, to preserve the solidarity of the Christian community, most of them who survived refused to follow the Protestant leaders in their separation from the Catholic Church. They prepared the way for others, but they would have no part in dividing the Christian Church. Still, without them, the way would not have been prepared for Luther, and Zwingli, and Calvin.
참고문헌
후스토 L. 곤잘레스 저, 초대교회사, 은성 2012
브루스 셸리 저,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11
박용규 저,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2009
김기홍 저, 이야기 교회사, 두란노 2010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1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